직관형 LED 조명장치(TUBULAR TYPE LED LIGHTING APPARATUS)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7년05월19일
(11) 등록번호 10-1737744
(24) 등록일자 2017년05월12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F21K 9/275 (2016.01) F21V 17/12 (2006.01)
F21V 29/70 (2014.01) F21Y 103/10 (2016.01)
F21Y 115/10 (2016.01)
(52) CPC특허분류
F21K 9/275 (2016.08)
F21V 17/12 (2013.01)
(21) 출원번호 10-2016-0183684
(22) 출원일자 2016년12월30일
심사청구일자 2016년12월30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1122532 B1*
KR101502949 B1*
KR1020120005679 A*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주)동화조명
인천광역시 서구 가정로47번길 12 (가좌동)
(72) 발명자
류용열
경기도 부천시 경인로117번길 27 205동 802호 (송
내동,중동역2차푸르지오아파트)
(74) 대리인
이대선
전체 청구항 수 : 총 2 항 심사관 : 송원규
(54) 발명의 명칭 직관형 LED 조명장치
(57) 요 약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장방형으로 이루어져 천장재(20)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프레임부(111) 및, 상기 프레임
부(111)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부(111)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관통된 복수의 나사공(114)이
일렬로 정렬배치된 반사판(112)을 포함하는 하우징(110);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상부에는 복수의 방열판(124)이
형성된 히트싱크(121)와, 상기 히트싱크(121)의 하부에 밀착배치되고 하부에는 하향 발광하는 LED(125)가 실장된
PCB(122) 및, 상기 PCB(122)를 커버하는 형태로 상기 히트싱크(121)에 장착되는 투광커버(123)를 포함하는 직관
형 램프(120); 및 상기 반사판(112)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나사공(114)을 관통하여 히트싱크(121)의 상부에 회
전결합되면서 상기 직관형 램프(120)를 반사판(112)의 하부면에 밀착되게 고정시키는 복수의 체결나사(130);를
포함하는 직관형 LED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대 표 도 - 도2
등록특허 10-1737744
- 1 -
(52) CPC특허분류
F21V 29/70 (2015.01)
F21Y 2103/10 (2016.08)
F21Y 2115/10 (2016.08)
등록특허 10-1737744
- 2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장방형으로 이루어져 천장재(20)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프레임부(111) 및, 상기 프레임부(111)의 내측에 배치되
며 상기 프레임부(111)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관통된 복수의 나사공(114)이 일렬로 정렬배치된 반사
판(112)을 포함하는 하우징(110);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상부에는 복수의 방열판(124)이 형성된
히트싱크(121)와, 상기 히트싱크(121)의 하부에 밀착배치되고 하부에는 하향 발광하는 LED(125)가 실장된
PCB(122) 및, 상기 PCB(122)를 커버하는 형태로 상기 히트싱크(121)에 장착되는 투광커버(123)를 포함하는 직관
형 램프(120); 및 상기 반사판(112)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나사공(114)을 관통하여 히트싱크(121)의 상부에
회전결합되면서 상기 직관형 램프(120)를 반사판(112)의 하부면에 밀착되게 고정시키는 복수의 체결나사(130);
를 포함하며,
상기 히트싱크(121)의 상부에는 직립된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히트싱크(121)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
장된 복수의 방열판(124)이 측방으로 이격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방열판(124) 중 중앙에 배치된 두 방열판(124a)은 상기 체결나사(130)의 몸통(131)이 갖는 직경
(L1)보다 길고 상기 체결나사(130)의 나사산(132)이 갖는 직경(L2)보다 짧은 길이(L3)로 상호 측방으로 이격되
어 상기 두 방열판(124a) 사이에는 각 체결나사(130)가 회전결합되기 위한 체결홈(126)이 상향 개구된 형태로
히트싱크(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직관형 LED 조명장치.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112)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용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LED(125)를 발광구동시키는데 필요한 구동전원
의 형태로 변환하는 전원공급모듈(140);
상기 반사판(112)에 상하로 개구된 인출공(115)을 통해 연장배치되어 상기 전원공급모듈(140)과 직관형 램프
(1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원케이블(150); 및
상기 인출공(115)으로부터 전원공급모듈(140)까지 연장되면서 외부로 노출된 전원케이블(150)과 대응되는 길이
로 연장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전원케이블(150)을 커버하도록 하향 개구된 수용홈(16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반사판(112)에 고정장착되는 장착부(162)가 마련된 커버몰딩(1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
관형 LED 조명장치.
청구항 3
삭제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직관형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형광램프와 유사하게 길이가 긴 직관형[0001]
의 램프를 장착하되 광원수단으로 LED를 사용하여 저전력, 고효율의 조명을 제공하고 수명을 대폭 연장시킨 직
관형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도 1에는 LED를 광원으로 하는 종래의 직관형 LED 조명장치(10)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0003]
의 직관형 LED 조명장치(10)는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천장재(20)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프레임(11) 및, 상기 고정
등록특허 10-1737744
- 3 -
프레임(11)의 양측에 장착된 소켓(15)에 양단의 접속단자가 끼움결합되며 상부에는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히
트싱크(13)가 배치되고 하부에는 LED광을 투과시키는 투광커버(14)가 배치된 직관형 램프(12)로 구성되었다.
여기서, 상기 히트싱크(13)는 직관형 램프(12)의 내부에서 발광구동하는 LED광원으로부터 전달되는 발열을 외부[0004]
로 방출시켜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단으로서, 가늘고 긴압출바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인발(Drawing) 가공되어
직관형 램프(12)의 상부에 장착된다. 또한, 기존의 형광램프의 경우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관체가
유리재로 이루어졌으나 상기 투광커버(14)의 경우 LED를 커버하기만 할뿐 내부를 밀봉할 필요가 없으므로
PC(Polycarbonate)와 같은 합성수지재로 제조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직관형 램프(12)는 양단이 스프링 가압방식의 소켓(15)에 고정되어 중앙부위로 하중이 집중되고[0005]
가늘고 긴 형상을 갖는 구조적 특징에 의해 직관형 조명장치(10)에 설치된 이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도면에서와
같이 중앙부가 휘어지면서 하부방향으로 쳐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히트싱크(13)가 하향 만곡된 형상으
로 외관이 불량해짐은 물론, 심한 경우 고정프레임(11)의 소켓(15)에 고정된 직관형 램프(12)가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1,200mm 규격과 같이 길이가 긴 직관형 램프(12)의 경우, LED가 실장된 두 개 이상의 PCB를 납땜으로[0006]
연결하여 제조되는데, 상기와 같이 직관형 램프(12)의 중앙부가 하부로 쳐지게 되어 납땜한 부위가 단선되어 램
프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소켓(15) 사이에 직관형 램프(12)가 장착되면서 직관형 램프(12)와 고정프[0007]
레임(11)의 하부면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발생하여 조명장치의 전체적인 상하 높이가 증가하게 되고, 이 때문에
텍스와 같은 천장재(20)의 내부로 고정프레임(11)을 더 깊이 매설해야 하나 상기 천장재(20)의 상부에는 천장재
(20)를 고정시키기 위한 엠바 및 캐링이 기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캐링과 고정프레임(11) 간의 간섭으로 고
정프레임(11)의 매립부분을 26mm 이상으로 매설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재(20)로부터 고정프레임(11)의 하단이 외부로 노출된 상하두께(D1)이 대[0008]
략 18mm 내지 25mm 가량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러한 돌출된 형태로 인해 외관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LED 조명광의 반사각이 좁아지는 현상으로 인해 광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고정프레임(11)의 상부에는 직관형 램프(12)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모듈(미도시)이 장착[0009]
되나 이를 고정프레임(11)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나사가 조명광이 반사되는 반사면 상으로 노출되어 외관이
저하되고 체결나사의 그림자가 표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12044호(2011.11.30), 직관형 LED 램프 [0011]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길이가 긴 관형상으로 이루어진[0012]
직관형 램프가 하우징에 직접 체결되는 고정구조로 이루어져 장기간 사용하면서 자중에 의해 직관형 램프의 중
앙부가 하부로 쳐지는 현상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직관형 LED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직관형 램프가 하우징에 장착되면서 조명장치의 전체적인 두께를 슬림화하고 천장재의[0014]
하부로 노출된 하우징의 상하두께를 9mm 내외로 대폭 감소시킬 수 있어,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LED 조명광의 반
사각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직관형 LED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직관형 램프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하우징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나[0016]
사가 상기 직관형 램프의 상부에 회전결합되면서 조명광이 반사되는 반사면 상으로 체결나사가 노출되지 않아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체결나사의 그림자가 표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직관형 LED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등록특허 10-1737744
- 4 -
과제의 해결 수단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장방형으로 이루어져 천장재(20)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프레임부(111) 및, 상기 프레[0018]
임부(111)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부(111)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관통된 복수의 나사공(11
4)이 일렬로 정렬배치된 반사판(112)을 포함하는 하우징(110);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상부에는 복수의 방열판
(124)이 형성된 히트싱크(121)와, 상기 히트싱크(121)의 하부에 밀착배치되고 하부에는 하향 발광하는 LED(12
5)가 실장된 PCB(122) 및, 상기 PCB(122)를 커버하는 형태로 상기 히트싱크(121)에 장착되는 투광커버(123)를
포함하는 직관형 램프(120); 및 상기 반사판(112)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나사공(114)을 관통하여 히트싱크
(121)의 상부에 회전결합되면서 상기 직관형 램프(120)를 반사판(112)의 하부면에 밀착되게 고정시키는 복수의
체결나사(130);를 포함하는 직관형 LED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반사판(112)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용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LED(125)를 발[0020]
광구동시키는데 필요한 구동전원의 형태로 변환하는 전원공급모듈(140); 상기 반사판(112)에 상하로 개구된 인
출공(115)을 통해 연장배치되어 상기 전원공급모듈(140)과 직관형 램프(1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원케이
블(150); 및 상기 인출공(115)으로부터 전원공급모듈(140)까지 연장되면서 외부로 노출된 전원케이블(150)과 대
응되는 길이로 연장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전원케이블(150)을 커버하도록 하향 개구된 수용홈(16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반사판(112)에 고정장착되는 장착부(162)가 마련된 커버몰딩(1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LED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히트싱크(121)의 상부에는 직립된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히트싱크(121)[0022]
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복수의 방열판(124)이 측방으로 이격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방열판
(124) 중 중앙에 배치된 두 방열판(124a)은 상기 체결나사(130)의 몸통 직경(L1)보다 길고 상기 체결나사(130)
의 나사산 직경(L2)보다 짧은 길이(L3)로 상호 측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두 방열판(124a) 사이에는 각 체결나사
(130)가 회전결합되기 위한 체결홈(126)이 상향 개구된 형태로 히트싱크(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LED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원공급모듈(140)은 상기 반사판(112)을 사이에 두고 상기 직관형 램[0024]
프(120)의 상부위치에 배치되고, 양측에는 상기 나사공(114)과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공(142)이 상하로 개구된
장착편(141)이 마련되며, 상기 체결나사(130)는 상기 장착공(142) 및 나사공(114)을 연속 관통하여 상기 체결홈
(126)에 회전결합되면서 상기 반사판(112)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전원공급모듈(140)과 직관형 램프(120)를 상하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LED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0026]
첫째, 장방형으로 이루어져 천장재(20)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하우징(110)의 내측에는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0027]
상하로 관통된 복수의 나사공(114)이 일렬로 정렬배치된 반사판(112)이 형성되고, 직관형 램프(120)의 상부에는
복수의 방열판(124)이 형성된 히트싱크(121)가 장착되며, 각 나사공(114)을 관통하여 히트싱크(121)의 상부에
회전결합되는 복수의 체결나사(130)를 통해 직관형 램프(120)를 반사판(112)의 하부면에 밀착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직관형 램프(120)의 양단 뿐만 아니라 중앙부위까지 반사판(112)에 고정되어 장기간 사용하면서 자중
에 의해 중앙부가 하부로 쳐지는 현상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직관형 램프(120)가 하우징(110)에 직접 장착되면서 조명장치의 전체적인 두께를 슬림화할 수 있[0028]
고 천장재(20)의 하부로 노출된 하우징(110)의 상하두께를 9mm 내외로 대폭 감소시킬 수 있어,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LED 조명광의 반사각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빛의 균제도 및 광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둘째, 상기 히트싱크(121)의 상부에는 직립된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히트싱크(121)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길[0029]
게 연장된 복수의 방열판(124)이 측방으로 이격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방열판(124) 중 중앙에 배치된 두 방열판
(124a)은 체결나사(130)의 몸통 직경(L1)보다 길고 상기 체결나사(130)의 나사산 직경(L2)보다 짧은 길이(L3)로
상호 측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두 방열판(124a) 사이에는 각 체결나사(130)가 회전결합되기 위한 체결홈(126)이
상향 개구된 형태로 히트싱크(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므로, 상기 히트싱크(121)를 인발 가공하는 것
만으로 체결나사(130)를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홈(126)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조단가를 더욱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홈(126)은 히트싱크(121)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형성되어 있어
체결홈(126)과 나사공(114)을 길이방향으로 정렬시키지 않아도 조립이 가능하므로 체결공정이 더욱 간소해질 수
등록특허 10-1737744
- 5 -
있다.
셋째, 상기 전원공급모듈(140)은 반사판(112)을 사이에 두고 상기 직관형 램프(120)의 상부위치에 배치되고, 양[0030]
측에는 상기 나사공(114)과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공(142)이 상하로 개구된 장착편(141)이 마련되며, 상기 체결
나사(130)는 상기 장착공(142) 및 나사공(114)을 연속 관통하여 상기 체결홈(126)에 회전결합되면서 상기 반사
판(112)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전원공급모듈(140)과 직관형 램프(120)를 상하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조명광이
반사되는 반사면 상으로 체결나사(130)가 노출되지 않아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체결나사(130)의 그림자가 표시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모듈(140)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홈부를 형성하지 않으므로
체결구조를 더욱 간소화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넷째, 상기 반사판(112)의 상부에는 상용전원을 입력받아 구동전원의 형태로 변환하는 전원공급모듈(140)이 장[0031]
착되고, 상기 반사판(112)에 상하로 개구된 인출공(115)을 통해 연장배치된 전원케이블(150)은 전원공급모듈
(140)과 직관형 램프(1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인출공(115)으로부터 전원공급모듈(140)을 향해 연장
되고 상기 전원케이블(150)을 커버하도록 하향 개구된 수용홈(161)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반사판(112)에 고정장
착되는 장착부(162)가 마련된 커버몰딩(16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전원케이블(150)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
으므로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하고, 외부압력에 의해 전원케이블(15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직관형 LED 조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0033]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관형 LED 조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관형 램프가 하우징에 장착되는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관형 램프의 체결홈에 체결나사가 회전결합되면서 직관형 램프가
하우징에 직접 체결되는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가 체결나사에 의해 직관형 램프와 상하로 고정되
는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관형 LED 조명장치의 저면을 나나낸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몰딩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0034]
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관형 LED 조명장치(100)는 길이가 긴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직관형 램프[0035]
(120)가 하우징(110)에 직접 체결되는 고정 구조로 이루어져 장기간 사용하면서 자중에 의해 직관형 램프(120)
의 중앙부가 하부로 쳐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조명장치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110), 직관형 램프(120) 및 복수의 체결나사(1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먼저, 상기 하우징(110)은 직관형 LED 조명장치(100)의 베이스를 형성하는 프레임구조물로서, 장방형으로 이루[0036]
어져 천장재(20)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프레임부(111) 및, 상기 프레임부(111)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부
(111)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관통된 복수의 나사공(114)이 일렬로 정렬배치된 반사판(112)을 포함하
여 구비된다.
여기서, 도 3과 같이 각 나사공(114)은 직관형 램프(120)가 장착될 방향에 맞추어 일렬로 정렬배치되며 이에 따[0037]
라 두 개 이상의 직관형 램프(120)가 장착되는 경우 각 직관형 램프(120)의 개수에 맞추어 각각 매칭되는 복수
개의 열로 정렬된 나사공(114)들이 필요하다. 더불어, 상기 반사판(112)은 스텐인리스, 알루미늄 및 구리 등과
같이 열전도 재질로 이루어져 직관형 램프(120)의 상부에 배치된 히트싱크(121)를 통해 전달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사판(11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가 프레임부(111)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향 오목하게[0038]
절곡되어 하향 개구된 램프장착공간(113)을 형성하며, 상기 반사판(112)의 중앙부위는 프레임부(111)보다 더욱
등록특허 10-1737744
- 6 -
높은 위치까지 상향 융기되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램프장착공간(113)의 상하높이를 더욱 길게 할 수 있으므로 상
기 프레임부(111)의 상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직관형 램프(120)는 LED광을 발광하여 일정 조명영역에 조명광을 제공하는 발광수단으로서, 도 4 및 도 5[003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상부에는 복수의 방열판(124)이 형성된 히트싱크(121)와, 상기 히트
싱크(121)의 하부에 밀착배치되고 하부에는 하향 발광하는 LED(125)가 실장된 PCB(122) 및, 상기 PCB(122)를 커
버하는 형태로 히트싱크(121)에 장착되는 투광커버(12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도 3과 같이 상기 직관형 램프(120)의 양측에는 개구된 단부를 커버하기 위한 사이드캡(127)이 장착되[0040]
며 상기 사이드캡(127)은 히트싱크(121)와 투광커버(123)의 조립된 단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끼움결합되어 조립
된 상태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내부에 배치된 PCB(122)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케이블
(150)은 사이드캡(127)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고 도 9와 같이 반사판(112)의 단부에 상하 개구된 인출공(114)을
통해 반사판(112)의 상부 위치로 연장되어 전원공급모듈(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복수의 체결나사(130)는 직관형 램프(120)를 하우징(1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으로서, 도 3 내지[0041]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사판(112)의 상부에 배치되고 나사공(114)을 관통하여 히트싱크(121)의 상부에
회전결합되면서 상기 직관형 램프(120)를 반사판(112)의 하부면에 밀착되게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각 나사공(114)을 관통하여 히트싱크(121)의 상부에 회전결합되는 복수의 체결나사(130)를 통해 직[0042]
관형 램프(120)를 반사판(112)의 하부면에 밀착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직관형 램프(120)의 양단 뿐만 아니
라 중앙부위까지 반사판(112)에 고정되어 장기간 사용하면서 자중에 의해 중앙부가 하부로 쳐지는 현상을 미연
에 차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쳐짐현상에 따라 외관이 저하되거나 PCB(122)의 PCB의 납땜 부위가 단선되어
램프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관형 램프(120)가 하우징(110)에 직접 장착되면서 조명장치의 전체적인 두께를 슬림화할 수 있고[0043]
천장재(20)의 하부로 노출된 하우징(110)의 상하두께(D2)를 9mm 내외로 대폭 감소시킬 수 있어, 외관을 미려하
게 하고 LED 조명광의 반사각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빛의 균제도 및 광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히트싱크(121)의 상부에는 직립된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히트싱크(121)의 연장된 길[0044]
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복수의 방열판(124)이 측방으로 이격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방열판(124) 중 중앙에
배치된 두 방열판(124a)은 상기 체결나사(130)의 몸통(131)이 갖는 직경(L1)보다 길고 상기 체결나사(130)의 나
사산(132)이 갖는 직경(L2)보다 짧은 길이(L3)로 상호 측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두 방열판(124a) 사이에는 각 체
결나사(130)가 회전결합되기 위한 체결홈(126)이 상향 개구된 형태로 히트싱크(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
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홈(126)은 히트싱크(121)의 상부 상에서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좁은 슬릿형태로 형[0045]
성되나, 방열판(124)을 반사판(112)의 저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체결나사(130)를 회전시키면서 하향 가압하게
되면 회전가압력에 의해 두 방열판(124) 사이가 좌우로 벌어지고 동시에 나사산(132)이 두 방열판(124)의 대향
하는 내측벽면에 삽입되면서 직관형 램프(12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나
사(130)의 상단에는 상기 나사공(114)보다 직경이 큰 헤드(133)가 측방으로 돌출형성되어 반사판(112)을 하부방
향으로 압박하기 위한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두 방열판(124a) 사이에는 각 체결나사(130)가 회전결합되기 위한 체결홈(126)이 상향 개구된[0046]
형태로 히트싱크(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므로, 상기 히트싱크(121)를 인발 가공하는 것만으로 체결
나사(130)를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홈(126)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조단가를 더욱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홈(126)은 히트싱크(121)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형성되어 있어 체결홈(12
6)과 나사공(114)을 길이방향으로 정렬시키지 않아도 조립이 가능하므로 체결공정이 더욱 간소해질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관형 LED 조명장치(100)는 상기[0047]
반사판(112)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용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LED(125)를 발광구동시키는 필요한 구동전원의 형태
로 변환하는 전원공급모듈(140)을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모듈(140)은 반사판(112)을 사이에 두고 상기 직관형 램프(120)의 상부위치에 배치되고,[0048]
양측에는 나사공(114)과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공(142)이 상하로 개구된 장착편(141)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체
결나사(130)는 장착공(142) 및 나사공(114)을 연속 관통하여 체결홈(126)에 회전결합되면서 상기 반사판(112)을
등록특허 10-1737744
- 7 -
사이에 두고 전원공급모듈(140)과 직관형 램프(120)를 상하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원공급모듈(140)을 반사판(112)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별도의 나사공을 반사판(112)에[0049]
형성하거나 반사판(112)으로 삽입되는 체결나사가 이용되지 않으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판(112)에
는 조명광이 반사되는 반사면 상으로 체결나사(130)가 노출되지 않아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체결나사(130)의 그
림자가 표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모듈(140)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홈부를 형성하지
않으므로 체결구조를 더욱 간소화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사판(112)의 상부에는 상용전원을 입력받아 구동전원의 형태로 변환하는[0050]
전원공급모듈(140)이 장착되고, 상기 반사판(112)에 상하로 개구된 인출공(115)을 통해 연장배치된 전원케이블
(150)에 의해 전원공급모듈(140)과 직관형 램프(1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인출공(115)으로부터 전원
공급모듈(140)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원케이블(150)을 커버하도록 하향 개구된 수용홈(161)이 형성되며 타측
에는 반사판(112)에 고정장착되는 장착부(162)가 마련된 커버몰딩(16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전원케이블(150)
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므로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하고 외부압력에 의해 전원케이블(150)이 손상되는 것
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몰딩(160)의 장착부(162)에는 반사판(112)에 형성된 나사공(114)과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공[0051]
(163)이 상하로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체결나사(130)는 장착공(163) 및 나사공(114)을 연속 관통하여 직관형
램프(120)의 체결홈(126)에 회전결합되면서 상기 반사판(112)을 사이에 두고 상기 커버몰딩(160)과 직관형 램프
(120)를 상하로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몰딩(160)은 나사결합 방식 이외에 접착테잎이나 납땜으로 반사판(112)의 상부면에 고정될 수[0052]
있으며, 상기 인출공(114)의 하부위치에는 직관형 램프(120)의 사이드캡(127)이 위치하여 사이드캡(127)의 상부
부분이 개구된 인출공(114)의 하부를 커버함으로써 발광된 LED 조명광이 인출공(114)을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0053]
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
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직관형 LED 조명장치 110...하우징[0055]
111...프레임부 112...반사판
120...직관형 램프 121...히트싱크
122...LED모듈 123...투광커버
130...체결나사 131...몸통
132...나사산 133...헤드
140...전원공급모듈 150...전원케이블
160...커버몰딩
등록특허 10-1737744
- 8 -
도면
도면1
도면2
등록특허 10-1737744
- 9 -
도면3
등록특허 10-1737744
- 10 -
도면4
등록특허 10-1737744
- 11 -
도면5
등록특허 10-1737744
- 12 -
도면6
등록특허 10-1737744
- 13 -
도면7
등록특허 10-1737744
- 14 -
도면8
도면9
등록특허 10-1737744
-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