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이온 도입용 패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한증 치료 장치(A pad apparatus for ion-transmission and an excessive sweating treatment device using thereof)

갈때까지가는거야 2018. 3. 26. 20:40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08년07월31일
(11) 등록번호 10-0849392
(24) 등록일자 2008년07월24일
(51) Int. Cl.

A61N 1/30 (2006.01) A61N 1/44 (2006.01)
(21) 출원번호 10-2007-0053163
(22) 출원일자 2007년05월31일
심사청구일자 2007년05월31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20010076600 A
US6078842 A
KR100628946 B1
KR100461915 B1
(73) 특허권자
전자부품연구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68번지
(72) 발명자
홍혁기
경기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345-2 한승 베네피아
608호
최연식
서울 강남구 역삼2동 707-15 우정에쉐르 3차 60
2호
(뒷면에 계속)
(74) 대리인
서천석
전체 청구항 수 : 총 9 항 심사관 : 이영완
(54) 이온 도입용 패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한증 치료 장치
(57) 요 약
본 발명은 피부에 대한 화학 및 전기 화상의 위험성이 적은 이온 도입용 패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한증 치료
장치에 대한 것으로 이온 겔을 흡수하는 흡수 패드, 그물 형상 또는 서로 연결된 다수의 가지를 가진 형상을 가
지고 흡수 패드에 형성되는 음극, 음극이 아닌 흡수 패드 영역에 형성되는 양극 및 음극과 양극에 전류를 공급하
는 제어기로 구성되고, 흡수 패드가 피부에 부착되어 음극과 양극 사이에서 흐르는 전류에 의해 이온 겔의 이온
을 피부에 흡수되도록 하는 이온 도입용 패드 장치.
대표도 - 도1
- 1 -
등록특허 10-0849392
(72) 발명자
조영창
경기 수원시 영통구 영통동 948-4 황골주공아파트
109-903
박효덕
경기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효자촌 삼환아파트 51
3동 1102호
- 2 -
등록특허 10-0849392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이온 겔을 흡수하는 흡수 패드;
그물 형상 또는 서로 연결된 다수의 가지를 가진 형상을 가지고 상기 흡수 패드에 형성되는 음극;
상기 음극이 아닌 상기 흡수 패드 영역에 형성되는 양극; 및
상기 음극과 상기 양극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어기
로 구성되고, 상기 흡수 패드가 피부에 부착되어 상기 음극과 상기 양극 사이에서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상기 이
온 겔의 이온을 상기 피부에 흡수되도록 하는 이온 도입용 패드 장치.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의 면적은 상기 양극의 면적의 2배 이상인 이온 도입용 패드 장치.
청구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패드는,
상기 피부에 부착되는 부착면 방향에 상기 이온 겔을 흡수한 이온층; 및
상기 피부에 부착되지 않는 외부면 방향에 고전도성 겔을 흡수한 고전도층
으로 구성되는 이온 도입용 패드 장치.
청구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은 상기 고전도층에 형성되는 이온 도입용 패드 장치.
청구항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패드는 외부면에 비투과성 막을 더 포함하는 이온 도입용 패드 장치.
청구항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는 0.2 내지 1.0 mA 인 이온 도입용 패드 장치.
청구항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음극과 상기 양극 사이의 전류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전류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전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이온 도입용 패
드 장치.
청구항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패드는 안면용 마스크 형상인 이온 도입용 패드 장치.
청구항 9
제 8 항에 의한 이온 도입용 패드 장치를 이용하고, 상기 음극은 안면의 이마를 중심으로 광대뼈에 이르는 부분
- 3 -
등록특허 10-0849392
에 부착되는 흡수 패드 영역에 형성되는 안면용 다한증 치료 장치.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이온 도입용 패드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피부에 대한 화학 및 전기 화상의 위험성이 적은 이온<10>
도입용 패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한증 치료 장치에 대한 것이다.
땀샘의 가장 큰 기능은 체온 유지로, 우리 몸의 체온이 올라가게 되면 교감신경계에 의하여 땀의 분비가 늘어나<11>
피부 표면에서 땀을 증발시키면서 체온을 낮추는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더운 곳에 오랜 시간 있다 보면 정
상적으로 체온을 낮추기 위하여 땀의 분비가 늘어나게 된다. 또한 평상시 기초대사량이 많아 유난히 체온이 높
은 분의 경우에도 땀을 많이 흘리게 된다. 하지만 이런 정상적인 생리 반응 이외에 정서적인 긴장이나 흥분 등
에 의하여 교감신경계가 자극이 되면서 불필요하게 땀이 많이 나는 경우를 다한증이라고 한다.
이러한 다한증은 주로 이온도입법(iontoporesis)을 이용하여 치료되어 왔는데, 이온도입법이란 직류전류를 이용<12>
해서 약물 이온을 피부 또는 점막을 통해 신체 안으로 침투시키는 치료방법이다.
종래 다한증 치료를 위한 이온도입장치는 전극이 설치된 수조에 염소 전해질을 넣고 직류 전류를 가하여 염소이<13>
온을 피부에 침투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임상에서 이미 활발하게 사용되던 방법이다.
다한증에 사용되는 이온도입법은 치료용 물질을 이온화시키고, 이온화된 물질을 전기적 작용으로 체내에 강제적<14>
으로 침투시키는 방식이다. 주로 사용되는 이온은 염소 이온이며 이를 이용한 다한증의 치료는 매우 효과적으로
임상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장치는 수조라는 물을 담아두는 장치를 사용하여 10 ~ 30분
동안 수조에 다한증 부위를 담그는 형식으로서 이러한 이온도입법을 안면에 사용할 경우 치료자의 호흡곤란 등
의 문제로 인해 직접적으로 적용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이온의 주된 이동경로는 땀샘관으로 전류에 의한 침투깊이는 1㎜ 이하로 대개 진피층(dermis)까지 침투<15>
된다. 음극에서는 수소이온 농도가 높고 상대적으로 반응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그 주면은 양극에서보다 피부자
극 및 화상 위험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안면에 적용이 가능한 이온 도입용 패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한증 치료 장치를 제공하는데<16>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 자극, 화학화상 및 전기화상의 염려가 없는 이온 도입용 패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17>
다한증 치료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형이고, 휴대가 가능한 이온 도입용 패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한증 치료 장치를<18>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이온 겔을 흡수하는 흡수 패드, 그물 형상 또는 서로 연결된 다수의 가지를 가진 형상을<19>
가지고 상기 흡수 패드에 형성되는 음극, 상기 음극이 아닌 상기 흡수 패드 영역에 형성되는 양극 및 상기 음극
과 상기 양극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어기로 구성되고, 상기 흡수 패드가 피부에 부착되어 상기 음극과 상기 양극
사이에서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상기 이온 겔의 이온을 상기 피부에 흡수되도록 하는 이온 도입용 패드 장치에 의
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 도입용 패드 장치에서 상기 흡수 패드는 피부에 부착되는 부착면 방향에 이온 겔을 흡수하<20>
는 이온층 및 피부에 부착되지 않는 외부면 방향에 고전도성 겔을 흡수하는 고전도층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며, 이때 음극은 고전도층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흡수 패드는 외부면에 비투과성 막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흡수 패드의 형상은 경우에 따라 안면용 마스크 형상으로 될 수 있다.
- 4 -
등록특허 10-0849392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 도입용 패드 장치를 이용하고, 음극이 안면의 이마를 중<21>
심으로 광대뼈에 이르는 부분에 부착되는 흡수 패드 영역에 형성되는 안면용 다한증 치료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22>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23>
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
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24>
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
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온 도입용 패드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온 도입용 패드 장치는 패드부<25>
(200)와 제어기(130) 그리고 패드부(200)와 제어기(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으로 구성된다. 패드부
(200)는 흡수 패드(100) 그리고 양극(120a, 120b, 120c)과 음극(110)의 전극으로 이루어진다. 흡수 패드(100)
는 종이나 천 등 이온 겔 등을 그 내부조직에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흡수 패드(100)에 흡수
되는 이온 겔의 종류는 흡수 패드(100)의 사용 목적에 따라 달라진다. 흡수 패드(100)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 마스크 형태로 될 수도 있으나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흡수 패드(100)
에는 음극(110)과 양극(120a, 120b, 120c)이 부착되고, 외부의 제어기(130)에서 전선을 통해 음극(110)과 양극
(120a, 120b, 120c)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음극(110)과 양극(120a, 120b, 120c)은 얇은 금속으
로 형성되며, 도 1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음극(110)은 양극(120a, 120b, 120c) 보다 흡수 패드(100)와의 접촉면
적이 넓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흡수 패드(100)의 표면에는 흡수된 이온 겔의 증발을 막아줄 수 있는 비투과
성막(23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의 흡수 패드(100)는 안면에 사용될 수 있도록 안면 마스크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사용예에 따라서<26>
는 복부, 허벅지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사각형 등의 패치 형태가 될 수도 있으며, 다른 사용예에 따라 흡수 패드
(100)의 형상은 자유롭게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흡수 패드(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온 겔을 흡수한 층과 고전도성 겔을<27>
흡수한 층, 즉 피부에 부착되는 부착면 방향에 이온 겔을 흡수하는 이온층(210)과 피부에 부착되지 않는 외부면
방향에 고전성 겔을 흡수하는 고전도층(220)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전도층(220)은 이온층(210)만이 있
을 경우 음극(110)과 양극(120a, 120b, 120c)이 형성된 영역 주위에서만 전류가 집중적으로 흘러 그 부근에서만
이온 도입이 될 수 있는 문제를 완화하여 음극(110)과 양극(120a, 120b, 120c) 사이의 흡수 패드(100) 부분에
전체적으로 전류가 흐르게 하여 흡수 패드(100) 전체에서 이온 도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아울러 고전도층
(220)을 포함한 흡수 패드(100)는 화학화상 및 전기화상의 가능성을 낮추어 주는 이점이 있다. 고전도층(220)을
형성한 경우에도 이온 도입 중 흡수 패드(100)에 흡수된 겔에 포함된 수분의 증발 등으로 인한 이온 농도의 변
화 가능성을 억제시키기 위해 도 2에서와 같이 흡수 패드(100)의 외부면에 비투과성막(230)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흡수 패드(100)에 부착되는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음극(110)과 양극(120a, 120b, 120c)의 전극(240)은 흡수 패<28>
드(100)의 이온층(210)과 접촉하거나 흡수 패드(100)에 고전도층(220)이 형성된 경우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이
고전도층(220)과 접촉한 형태일 수 있다. 전극(240)은 금속 박막과 같은 유연한 성질을 가진 도전성 물질로 형
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240)이 형성된 영역은 전극(240)에 의해 패드부(200)에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도 있으나, 도 2에서와 같이 흡수 패드(100)에 함몰된 영역을 만들고 여기에 전극(240)을 결합하는 형태일 수
있고, 매우 얇은 전극(240)을 사용해 흡수 패드(100)의 함몰된 영역 없이도 패드부(200)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비투과성막(230)이 형성될 경우 도 2에서와 같이 전극(240)과 흡수 패드(100)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방해하지 않도록 전극(240)이 결합하는 영역에서는 전극(240) 위에 형성되며, 전극(240)이 제어기(130)
와 연결된 전선의 연결부(260)와 결합하는 접촉 영역(250)에는 도 2에서와 같이 비투과성막(230)이 없도록
한다.
음극(110)의 면적은 양극(120a, 120b, 120c)의 면적보다 2배 이상 크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음극<29>
(110)에서는 수소이온 농도가 높고 상대적으로 반응속도가 빨라 양극(120a, 120b, 120c)에서보다 피부자극 및
화상 위험이 크므로 전류를 분산시킬 필요성이 크기 때문이다. 또한 같은 이유에서 음극(110)은 흡수 패드(10
- 5 -
등록특허 10-0849392
0)와 결합하는 면적보다는 흡수 패드(100)와 결합하는 선이 더 크도록 형성되어야 하는데 예를 들어, 그물 형상
또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된 다수의 얇은 가지를 가진 형상을 가지도록 하거나, 그 사용되는
목적에 따라 여러 개로 나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양극(120a, 120b, 120c)은 음극(110)과 같은 형태일 필요는
없으며, 단순히 흡수 패드(100)와 전기적 접촉만을 이루는 형태를 취할 수도 있고, 흡수 패드(100) 영역 전체에
서 전기 영동이 발생할 수 있도록 도 1에서와 같이 흡수 패드(100)의 여러 영역에 복수의 양극(120a, 120b,
120c)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제어기(130)는 전선을 통해 음극(110)과 양극(120a, 120b, 120c)에 일정한 전류를 공급한다. 전선의 연결부<30>
(260)와 전극의 접촉 영역(250)은 쉽게 분리가 가능한 탈착식으로 구성하여 제어기(130)와 패드부(200)가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기(130)는 계속 사용하면서 소모성의 패드부(200)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제어기(130)를 통해 공급되는 전류는 0.2 내지 1.0 mA 사이의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
하며, 약 0.6 mA의 전류를 공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제어기(130)에는 음극(110)과 양극(120a, 120b,
120c) 사이의 전류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을 구비하여 만일 있을지 모르는 이온 농도 변화에 따른 전류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이온 농도 변화가 생긴 경우 제어기(130)에서 음극(110)과 양극(120a, 120b, 120c)에 인
가되는 전압을 변화시켜 일정한 전류가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측정 수단을 통해 측정된
음극(110)과 양극(120a, 120b, 120c) 사이의 전류가 급격히 증가할 경우 제어기(130)는 전원을 차단하던가 전압
을 급격히 낮추어 만일의 안전 사고를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 도입용 패드 장치는 다한증치료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 도입용 패드<31>
장치를 적용한 다한증치료장치는 다한증이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는 부위에 집중적으로 배치된 음극(110)과 다
한증치료용 이온 겔을 포함한 흡수 패드(100)를 사용하여 다한증 치료가 가능하다. 이때 흡수 패드(100)를 도 1
과 같은 형상으로 하고, 음극(110)은 안면의 이마를 중심으로 광대뼈에 이르는 부분에 부착되는 흡수 패드(100)
영역에 형성시켜 안면의 다한증 치료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한증치료장치는 전도성
겔과 비교적 넓은 영역의 얇은 음극(110)을 이용함으로써 전류가 국한된 부분으로 몰리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줄
여 화학화상 및 전기화상을 일으킬 염려가 적다. 본 발명에 따른 다한증치료장치에 사용되는 전극으로는 알루미
늄, 구리, 금, 백금, 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전도성 금속을 사용하여 전기 분해가 될 경우 피부
에 자극을 줄 염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한증치료장치에 사용되는 이온 겔은 염소 이온과 다한증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알루미<32>
늄 이온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비타민 C,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트렌사믹 산
(transamic acid)를 이온 겔에 더 포함시켜 피부 안정 및 미백효과를 더할 수 있다. 이때 첨가 물질은 매우 소
량으로 하여 본래의 치료에 사용되는 염소 및 알루미늄에 대한 이온 영동에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단순히 안면 다한증 치료를 위한 장치로 용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생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33>
하고 전극의 위치를 바꾸어 주면 다른 부위의 다한증 치료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다한증 치료
장치 이외에도 최근 많이 개발되고 있는 전기 화장품에도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온 도입용 패
드 장치는 이온 겔의 첨가물을 조절함에 따라서 미백, 색소침착, 주름살 제거 등의 목적으로도 폭 넓게 사용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이온 도입용 패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한증 치료 장치는 안면에 적용이 가능하고, 피부<34>
자극, 화학화상 및 전기화상의 염려가 없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소형으로 구성될 수 있
으며, 따라서 USB 전원 또는 건전지를 사용하여 휴대성을 극대화하여 병원이 아닌 사무실, 가정, 옥외에서도 쉽
게 사용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 도입용 패드 장치를 이용한 다한증 치료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1>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 도입용 패드 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2>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3>
100: 흡수 패드 110: 음극<4>
120a, 120b, 120c: 양극 130: 제어기<5>
- 6 -
등록특허 10-0849392
200: 패드부 210: 이온층<6>
220: 고정도층 230: 비투과성막<7>
240: 전극 250: 접촉 영역<8>
260: 연결부<9>
도면
도면1
도면2
- 7 -
등록특허 10-08493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