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립자 유실 방지용 토류벽(linear panel for retaining wal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2년07월16일
(11) 등록번호 10-1165662
(24) 등록일자 2012년07월09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E02D 17/04 (2006.01) E02D 17/08 (2006.01)
(21) 출원번호 10-2011-0137115
(22) 출원일자 2011년12월19일
심사청구일자 2011년12월19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200328605 Y1
KR200409056 Y1
(73) 특허권자
주식회사 삼영기술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대로199번길 15, 현대
타워오피스텔 3층 (전포동)
(72) 발명자
김종순
부산광역시 연제구 과정로 211, 한솔솔파크
104-405 (연산동)
최낙진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연로21번길 102, 경동아
파트 103-1104 (연지동)
(74) 대리인
이중섭
전체 청구항 수 : 총 1 항 심사관 : 김영표
(54) 발명의 명칭 토립자 유실 방지용 토류벽
(57) 요 약
본 발명은 일정 거리 떨어진 상태로 수직으로 고정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H-파일과, 상기 H-파일들 사
이에 위치하며 양단부를 상기 H-파일의 삽입홈 내면에 끼워넣어 가며 적층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류판을
포함하는 토류벽에 있어서, 상, 하로 적층된 두 개의 토류판 사이에는 수평으로 누운 상태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 하로 적층된 두 개의 토류판 사이 공간에 끼워지며 상기 공간을 기밀 처리하는
수평판부와, 상기 수평판부의 일단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토류판 사이 공간
입구에 걸려지며 상기 입구를 막음 처리하는 수직판부로 구성한 제 1고무지수판이 설치되며, 상기 H-파일의 삽
입홈 내면에 끼워지는 토류판의 양단부에는 하나의 토류판 양단 상면부에 밀착되며 상기 토류판 위에 적층되는
다른 토류판의 양단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기밀 처리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전면에 수직으로 절곡 형
성되며 상기 토류판의 양단 전면부와, 상기 토류판이 끼워지는 H-파일의 삽입홈 내면 사이에 끼워지며 기밀 처
리하는 전면판부로 구성한 제 2고무지수판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립자 유실 방지용 토류벽을 제공한다.
대 표 도 - 도2
등록특허 10-1165662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일정 거리 떨어진 상태로 수직으로 고정 배치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H-파일(10)과, 상기 H-파일(10)들 사이
에 위치하며 양단부를 상기 H-파일(10)의 삽입홈(12) 내면에 끼워넣어 가며 적층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류판(20a, 20b)을 포함하는 토류벽에 있어서,
상, 하로 적층된 두 개의 토류판(20a, 20b) 사이에는;
수평으로 누운 상태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 하로 적층된 두 개의 토류판(20a, 20b) 사이 공간
(22)에 끼워지며 상기 공간(22)을 기밀 처리하는 수평판부(32)와;
상기 수평판부(32)의 일단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토류판(20a, 20b) 사이
공간(22) 입구(22a)에 걸려지며 상기 입구(22a)를 막음 처리하는 수직판부(34)로 구성한 제 1고무지수판(30)
이 설치되며;
상기 H-파일(10)의 삽입홈(12) 내면에 끼워지는 토류판(20a, 20b)의 양단부에는;
하나의 토류판(20a) 양단 상면부에 밀착되며 상기 토류판(20a) 위에 적층되는 다른 토류판(20b)의 양단부 사
이에 형성된 공간을 기밀 처리하는 상판부(42)와;
상기 상판부(42)의 전면에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토류판(20a)의 양단 전면부와, 상기 토류판(20a)이
끼워지는 H-파일(10)의 삽입홈(12) 내면 사이에 끼워지며 기밀 처리하는 전면판부(44)로 구성한 제 2고무지수
판(4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립자 유실 방지용 토류벽.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토립지 유실 방지용 토류벽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무지수판을 이용하여 토립자[0001]
유실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토립자 유실 방지용 토류벽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도로나 옹벽 등을 설치하기 위하여 행한 절토공사나 건물의 기초 터파기 공사시에는 토[0002]
사나 암반이 무너지거나 흘러내리지 않도록 토압, 수압 등의 측압에 대해 저항하는 것을 목적으로 흙막이 공
법이 시행된다.
이러한 흙막이 공법은 토목시공현장의 지하층 작업을 위해서, 시공자가 원하는 소정의 지점을 굴착하게 된다.[0003]
굴착작업을 통해 노출된 흙벽은 상당한 세기의 토압이 발생되는데, 이 토압이 지정한도를 초과하게 되면 흙벽
은 자연적으로 융출, 침하, 또는 붕괴현상을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붕괴위험성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종래의 흙막이 시설은 굴착되어 노출된 흙벽면에 수직되게 소[0004]
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배치된 하나 이상의 H-파일과, 상기 H-파일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토류판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H-파일과 토류판으로 이루어진 토류벽의 경우, 지하수의 차단효과가 약하기 때문에 토류벽[0005]
배면의 지하수 수위가 높은 경우에는 전혀 사용할 수 없으며, 수위가 높지 않더라도 토류벽 배면의 지하수가
토류벽을 통해 누수될 경우, 토류벽 배면에 위치한 토립자(토사)가 함께 침투하여 토립자 유실로 인해 구조물
이 붕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토류벽의 배면에 Sheet Pile 및 시멘트 그라우팅 공법으로 토립자 유실방지와 차수효과를 동[0006]
시에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공법은 좁은 도시공간에 적용시, 대형장비로 인한 소음 등 민원이
발생할 뿐 아니라 시추와 그라우팅 설치로 공사기간 연장과 이로 인한 공사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10-1165662
- 2 -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무지수판을 이용하여 토립자 유실 방[0007]
지 및 차수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토립자 유실 방지용 토류벽을 제공함에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 거리 떨어진 상태로 수직으로 고정 배치되는 적어도 두개 이[0008]
상의 H-파일과, 상기 H-파일들 사이에 위치하며 양단부를 상기 H-파일의 삽입홈 내면에 끼워넣어 가며 적층시
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류판을 포함하는 토류벽에 있어서, 상, 하로 적층된 두 개의 토류판 사이에는 수
평으로 누운 상태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 하로 적층된 두 개의 토류판 사이 공간에 끼워지며
상기 공간을 기밀 처리하는 수평판부와, 상기 수평판부의 일단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소정 길이 연장 형
성되며 상기 토류판 사이 공간 입구에 걸려지며 상기 입구를 막음 처리하는 수직판부로 구성한 제 1고무지수
판이 설치되며, 상기 H-파일의 삽입홈 내면에 끼워지는 토류판의 양단부에는 하나의 토류판 양단 상면부에 밀
착되며 상기 토류판 위에 적층되는 다른 토류판의 양단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기밀 처리하는 상판부와, 상
기 상판부의 전면에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토류판의 양단 전면부와, 상기 토류판이 끼워지는 H-파일의
삽입홈 내면 사이에 끼워지며 기밀 처리하는 전면판부로 구성한 제 2고무지수판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상, 하로 적층되며 토류벽을 이루게 되는 토류판과 토류판 사이에 고무지수판을 삽입시켜, 토류판[0009]
과 토류판 사이 공간을 기밀 처리함으로서 토류벽 배면에서 지하수가 누수되어 토립자가 유실되는 것을 차단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시멘트 그라우팅 공법 등과 같은 고가의 공법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토립자 유실[0010]
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경제성과 또한 시공성을 높일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토립자 유실 방지용 토류벽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도면. [0011]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토립자 유실 방지용 토류벽 주요 구성을 발췌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2의 평단면도.
도 5는 제 1고무지수판의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 1고무지수판과 토류판간의 조립상태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제 2고무지수판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0012]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 하로 적층되며 토류벽을 이루게 되는 토류판과 토류판 사이에 고무지수판을 삽입시켜, 토[0013]
류판과 토류판 사이 공간을 기밀 처리함으로서 토류벽 배면에서 지하수가 누수되어 토립자가 유실되는 것을
등록특허 10-1165662
- 3 -
차단할 수 있는 토립자 유실 방지용 토류벽을 구현하고자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별도의 공법을 접목할 필요없이 토류판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고무지수판을 삽입하는 것만으[0014]
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어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0015]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토립자 유실 방지용 토류벽의 시공상태를 도시한[0016]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토립자 유실 방지용 토류벽 주요 구성을 발췌하여 입체적으로 도시
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2의 평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토립자 유실 방지용 토류벽은 일정깊이 굴착된 흙벽[0017]
면에 일정 거리 떨어진 상태로 수직으로 고정 배치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H-파일(10)과, 상기 H-파일(10)에
지지되며 토압, 수압 등의 측압을 상기 H-파일과 함께 저항하는 토류벽을 포함한다.
상기 토류벽은 직사각의 단면을 가지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된 토류판(20)을 H-파일(10) 사이에 다수[0018]
개 수직으로 적층시켜 구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토류판들 사이사이에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제 1고무지수판이 설치되는 바, 하기에서는 상, 하[0019]
로 적층된 두 개의 토류판(20a, 20b) 사이에 끼워지는 제 1고무지수판(30)의 구조에 대하여 대표하여 기술하
기로 한다.
상기 제 1고무지수판(30)은 상, 하로 적층되는 두 개의 토류판(20a ,20b) 사이에 삽입되며 토류판(20a)과 토[0020]
류판(20b) 사이에 발생하는 공간(22)(틈새)로 지하수가 누수되어 토류벽 배면의 토립자가 유실되는 것을 차단
할 목적으로 제공되는 수단이다.
도 5와 도 6은 상기한 제 1고무지수판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들이다.[0021]
도 5와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고무지수판(30)은 전체적으로 "T"형 단면을 가지도록 성[0022]
형되는 데, 바람직하게는 수평으로 누운 상태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수평판부(32)와, 상기 수평판부(3
2)의 일단에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수직판부(34)로 구성한다.
상기 수평판부(32)는 상, 하로 적층되는 토류판(20a)과 토류판(20a) 사이에 형성된 공간(22)에 끼워지며, 상[0023]
기 공간(22)을 기밀 처리하게 된다.
상기 수직판부(34)는 상기 토류판(20a)과 토류판(20b) 사이에 형성된 공간(22)에 수평판부(32)가 끼워지고 나[0024]
면, 상기 공간(22)의 입구(22a)에 걸려지며 토압, 수압 등의 측압에 의해 제 1고무지수판(30)이 밀려나 이탈
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또한 상기 공간(22) 입구(22a)로 지하수와 토립자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한 구조를 가진 제 1고무지수판(30)을 토류판들 사이 공간에 삽입시켜 기밀 처리함으로서, 종래와 같이[0025]
고가의 시멘트 그라우팅 공법을 적용하지 않더라도 토류벽 배면에서 지하수가 누수되어 토립자가 유실되는 것
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제 1고무지수판(30)은 토류판(20a, 20b)의 길이 보다 짧게, 바람직하게는 H-파일(10)과 H-파일(10) 사[0026]
이에 끼워지는 토류판(20a, 20b)의 양단부를 제외한 토류판(20a, 20b)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제
작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토류판(20a, 20b)의 양단부는 다시 별도의 제 2고무지수판(40)으로 차수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H-파일(10)의 삽입홈(12)에 끼워지는 상기 토류판(20a, 20b)의 양단부에는 다시 별도의 제 2고무[0027]
지수판(40)이 더 부착되도록 한다.
첨부된 도 7은 제 2고무지수판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0028]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고무지수판(40)은 "ㄱ"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판부(42)와, 상기[0029]
상판부(42)의 전면에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는 전면판부(4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상판부(42)는 하나의 토류판(20a) 양단 상면부에 밀착되며 상기 토류판 위에 적층되는 다른 토류판(20[0030]
b)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기밀 처리하게 되고, 상기 전면판부(44)는 토류판(20a)의 양단 전면부와, 상기
토류판(20a)이 끼워지는 H-파일(10)의 삽입홈(12) 내면과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틈새를 기밀 처리하게 된다.
즉, 제 2고무지수판(40)의 상판부(42)는 상, 하로 적층되는 토류판(20a)과 토류판(20b) 사이에 형성된 공간[0031]
(22)을 기밀 처리하는 제 1고무지수판(30)의 수평판부(32)와 같이, H-파일(10)의 삽입홈(12)에 토류판(20a,
등록특허 10-1165662
- 4 -
20b)이 적층되고 나면 상, 하로 적층되는 토류판(20a)과 토류판(20b)의 양단부 사이 공간에 끼워지며 기밀 처
리하게 되고, 상기 제 2고무지수판(40)의 전면판부(44)는 상기 토류판(20a)의 양단부 전면과 H-파일(10)의 삽
입홈(12) 내면 사이의 틈새를 차단시켜 기밀 처리하게 된다.
[0032]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토립자 유실 방지용 토류벽의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0033]
다.
먼저, 일정깊이 굴착된 흙벽면에 H-파일들을 일정 거리 떨어진 상태로 수직으로 고정 배치한 다음, 두 개의[0034]
H-파일(10)의 삽입홈(12) 내면에 토류판(20a, 20b)의 양단부를 끼워넣어 가며 상기 토류판(20a, 20b)을 순차
적으로 적층시켜 토압, 수압 등의 측압을 상기 H-파일(10)과 함께 저항할 수 있는 토류벽을 시공토록 한다.
이때 토류벽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 하로 적층되는 토류판(20a)과 토류판(20b)의 사이 공간(22)은 본 발명[0035]
의 제 1고무지수판(30)으로 기밀 처리토록 하고, 상기 H-파일(10)의 삽입홈(12)에 끼워지는 토류판(20a, 20
b)의 양단부는 제 2고무지수판(40)으로 기밀 처리토록 한다.
즉, 하나의 토류판(20a)을 수평으로 눕힌 상태에서 상기 토류판(20a)의 양단부를 H-파일(10) 삽입홈(12) 내면[0036]
에 끼워넣은 다음, 다른 토류판(20b)을 올려놓기 전, 제 1고무지수판(30)의 수평판부(32)를 끼워넣고, 상기
수평판부 (32)위에 다른 토류판(20b)을 올려놓음으로서 상, 하로 적층된 두 개의 토류판(20a, 20b) 사이 공간
(22)은 상기 제 1고무지수판(30)의 수평판부(32)에 의해 기밀 처리됨으로서 지하수가 누수되어 토립자가 유실
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더욱이 수평판부(32)의 일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수
직판부(34)가 상, 하로 적층된 두 개의 토류판(20a, 20b) 사이 공간(22) 입구(22a)를 막아주게 됨은 물론, 수
직판부(34)가 두 개의 토류판(20a, 20b) 사이 공간(22) 입구(22a)에 걸려진 상태가 됨으로서 토압, 수압 등의
측압에 의해 제 1고무지수판(3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H-파일(10) 삽입홈(12) 내면에 끼워진 하나의 토류판(20a) 양단부 상면에 본 발명의 제 2고무지수판(4[0037]
0)인 상부판(42)을 올려놓게 되면, 상기 상부판(42)의 전면에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는 전면판부(44)는
토류판(20a)의 전면과 H-파일(10a) 삽입홈(12a) 내면 사이에 끼워지며 H-파일(10a)과 토류판(20a)의 접촉면
사이 틈새를 기밀 처리하게 되고, 그리고 상기 제 2고무지수판(40)의 상부판(42) 위에 다른 토류판(20b)의 양
단부가 올려지게 됨으로서 상, 하로 적층된 두 개의 토류판(20a, 20b) 양단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기밀 처
리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토류벽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토류판 사이 사이에 제 1, 2고무지수판(30, 40)을 함[0038]
께 시공토록 함으로서 종래와 같이 고가의 시멘트 그라우팅 공법 등을 적용하지 않더라도 비교적 적은 공사비
로 토립자 유실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시공성과 경제성 그리고 친 환경성등의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부호의 설명
10: H-파일 20a, 20b: 토류판[0039]
30: 제 1고무지수판 32: 수평판부
34: 수직판부 40: 제 2고무지수판
42: 상판부 44: 전면판부
등록특허 10-1165662
- 5 -
도면
도면1
도면2
등록특허 10-1165662
- 6 -
도면3
등록특허 10-1165662
- 7 -
도면4
등록특허 10-1165662
- 8 -
도면5
도면6
등록특허 10-1165662
- 9 -
도면7
등록특허 10-1165662
-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