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문인식 스마트카드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SMART CARD SYSTEM FOR FINGERPRINTING CONGNI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0년11월04일
(11) 등록번호 10-0991883
(24) 등록일자 2010년10월28일
(51) Int. Cl.
G06K 17/00 (2006.01) G06K 19/07 (2006.01)
(21) 출원번호 10-2008-0012554
(22) 출원일자 2008년02월12일
심사청구일자 2008년02월12일
(65) 공개번호 10-2009-0087233
(43) 공개일자 2009년08월17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2006072890 A
KR1020010069593 A
KR1020010017056 A
(73) 특허권자
(주)디에스앤에스
서울 강남구 신사동 528
(72) 발명자
박연의
서울 강서구 방화동 862 (35/3) 한숲마을 대림아
파트 102동1503호
(74) 대리인
김성규
전체 청구항 수 : 총 5 항 심사관 : 김창주
(54) 지문인식 스마트카드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57) 요 약
본 발명은 스마트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카드 정보가 저장되는 스마트카드에 더하여 사
용자의 지문인식을 통하여 부정사용을 방지하도록 하고, 신호데이터 입출력, 정보가 저장된 중앙처리부 및 지문
인식 센서 등이 서로 단일모듈로 구성되어지되, 서로 통신하는 각 모듈이 인증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 유
출이 방지되도록 하는 지문인식 스마트카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10)의 정보가 저장되어 사용자 인증이 되도록 하기 위한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와,
상기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와 통신하도록 하는 카드리더기(30)가 구비되고, 상기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는 사
용자센싱부(21), 중앙처리부(22), 입출력부(24)가 포함되어 구비되고, 상기 중앙처리부(22)는 주제어부(221), 센
싱신호처리블럭(222), 입출력신호처리블럭(223), 그리고 중앙처리부(22)의 중앙고유ID, 입출력부(24)의 입출력고
유ID, 사용자센싱부(21)의 센싱고유ID 및 지문정보 등이 저장되는 중앙메모리부(22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 표 도 - 도1
등록특허 10-0991883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사용자(10)의 정보가 저장되어 사용자 인증이 되도록 하기 위한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와, 상기 지문인식스마
트카드(20)와 통신하도록 하는 카드리더기(30)가 구비되는 스마트카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는 카드 사용자(10)의 지문이 센싱되도록 하는 사용자센싱부(21);
상기 사용자센싱부(21)로부터 전송되는 센싱데이터가 저장되고 저장된 사용자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별하도록 구
비되는 중앙처리부(22);
상기 중앙처리부(22)의 제어에 의하여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23)를 통하여 출력하는 입출력부(24)가 포함되어
구비되고,
상기 중앙처리부(22)는 주제어부(221)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센싱부(21)에 대하여 입출력되는 신호를 처
리하는 센싱신호처리블럭(222);
상기 주제어부(221)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입출력부(24)에 대하여 입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입출력신호처리
블럭(223);
상기 중앙처리부(22)의 구동프로그램, 상기 중앙처리부(22)의 중앙고유ID, 상기 입출력부(24)의 입출력고유ID,
상기 사용자센싱부(21)의 센싱고유ID, 상기 입출력부(24)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상기 사용자센싱부(21)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및 사용자의 지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중앙메모리부(224)가 포함되어 구비되고,
상기 중앙처리부(22)는 사용자센싱부(21)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센싱고유ID와 중앙메모리부(224)에 저장된
센싱고유ID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전송된 센싱고유ID가 정상으로 판별되면 전송된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입출력부(24)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입출력고유ID와 중앙메모리부(224)에 저장된 입출력고유
ID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전송된 입출력고유ID가 정상으로 판별되면 전송된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 스마트카드 시스템.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센싱부(21)는 상기 중앙처리부(22)와 통신을 위한 센싱부입출력신호처리블럭(211);
사용자(10)의 지문정보를 센싱하는 사용자지문센서(212);
상기 사용자센싱부(212)의 센싱고유ID와 상기 중앙처리부(22)의 중앙고유ID가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지문센서
(212)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센싱메모리부(213); 및
상기 사용자센싱부(21)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제어하는 센싱제어부(214)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지문인식 스마트카드 시스템.
청구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24)는 상기 중앙처리부(22)와 통신을 위한 송수신신호처리블럭(241);
상기 입출력부(24)의 입출력고유ID와 상기 중앙처리부(22)의 중앙고유ID가 저장되고, 상기 중앙처리부(22)로부
터 전송되는 데이터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23)를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입출력메모리부(242); 및
상기 입출력부(24)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제어하는 입출력제어부(243)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 스마트카드 시스템.
청구항 4
등록특허 10-0991883
- 2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센싱부(21)는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체온감지센서(215) 또는 사용자의 인체전류를 감지하는 인
체전류감지센서(216)가 더 구비되고,
상기 중앙처리부(22)는 상기 사용자센싱부(21)의 체온감지센서(215)에 의하여 감지되는 사용자의 체온 또는 상
기 사용자센싱부(21)의 인체전류감지센서(216)에 의하여 감지되는 사용자의 인체전류에 대한 데이터를 판별하여
정상으로 판별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센싱부(21)의 사용자지문센서(212)에 의하여 감지되는 사용자의 지문이
정상사용자의 지문인지여부를 판별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 스마트카드 시스템.
청구항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지문인식 스마트카드 시스템(A)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카드리더기(30)로부터 정보호출요청신호를 입출력부(24)에서 수신받아 입출력메모리부(242)에 저장되도록 하는
수신측정보요청신호수신단계(S11);
상기 카드리더기(3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호출요청신호 데이터에 입출력부(24)의 입출력고유ID 데이터를 합산하
여 중앙처리부(22)측으로 전송하는 입출력측신호발신단계(S12);
상기 중앙처리부(22)에서, 상기 입출력부(24)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
된 입출력고유ID와 중앙메모리부(224)에 저장된 입출력고유ID가 일치하는지 판별하는 수신입출력ID판별단계
(S13);
상기 중앙처리부(22)에서, 수신된 입출력고유ID가 정상 입출력고유ID로 판별되면 사용자센싱부(21) 측으로 사용
자인증요청데이터와 함께 중앙고유ID 데이트를 합산하여 전송하는 인증요청신호발신단계(S14);
상기 사용자센싱부(21)에서, 상기 중앙처리부(22)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중앙고유ID와 센싱메모리부(213)에 저장된 중앙고유ID가 일치하는지 판별하는 센싱측중앙고유ID판별단계
(S15);
상기 사용자센싱부(21)에서, 중앙고유ID가 정상으로 판별되는 경우에, 사용자지문센서(212)로부터 입력되는 사
용자의 지문에 대한 정보를 센싱메모리부(213)에 저장하는 지문센싱단계(S16);
상기 사용자센싱부(21)에서, 센싱된 사용자 지문에 대한 데이터와 함께 사용자센싱부(21)의 센싱고유ID의 데이
터를 합산하여 중앙처리부(22) 측으로 전송하는 지문데이터전송단계(S17);
상기 중앙처리부(22)에서, 상기 사용자센싱부(21)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수신된 데이터
에 포함된 센싱고유ID와 중앙메모리부(224)에 저장된 센싱고유ID가 일치하는지 판별하는 센싱고유ID판별단계
(S18);
상기 중앙처리부(22)에서, 센싱고유ID가 정상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센싱부(21)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의 지문데이터와 중앙메모리부(224)에 저장된 사용자의 지문데이터를 판별하여 정상 사용자인지여부를 판별하는
사용자지문판별단계(S19);
상기 중앙처리부(22)에서, 센싱된 사용자의 지문이 정상 사용자의 지문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카드리더기(3
0)로부터 전송된 정보호출요청신호를 판별하여 중앙메모리부(224)에 저장된 해당 데이터와 중앙고유ID를 합산하
여 입출력부(24) 측으로 전송하는 저장정보송출단계(S20);
상기 입출력부(24)에서, 상기 중앙처리부(22)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수신된 데이터에 포
함된 중앙고유ID와 입출력메모리부(242)에 저장된 중앙고유ID가 일치하는지 판별하는 입출력측중앙고유ID판별단
계(S21);
상기 입출력부(24)에서, 중앙고유ID가 정상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중앙처리부(22)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부(23)를 통하여 상기 카드리더기(30) 측으로 전송하는 요청데이터발신단계(S22)가 포함되어 이
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 스마트카드 시스템의 제어방법.
등록특허 10-0991883
- 3 -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스마트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카드 정보가 저장되는 스마트카드에 더하여 사[0001]
용자의 지문인식을 통하여 부정사용을 방지하도록 하고, 신호데이터 입출력, 정보가 저장된 중앙처리부 및 지문
인식 센서 등이 서로 단일모듈로 구성되어지되, 각 모듈이 상호 인증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 유출이 방
지되도록 하는 지문인식 스마트카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스마트카드(Smart Card)는 크게 접촉형 스마트카드(Contact Smart Card)와 비접촉형 스마트 카드[0002]
(Contactless Smart Card)로 분류되며, 접촉형 스마트 카드는 물리적인 접점을 통해 단말기로부터 전원 및 신호
를 전달받는 카드로 구성된다. 그리고 비접촉형 스마트 카드는 알에프(Radio Frequency, RF) 무선신호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 카드(Card)로, 단순히 시리얼(Serial) 번호를 읽혀지도록 하는 기능과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도록 하는 카드 등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스마트 카드는 접촉형 스마트 카드로 구성되어 은행업무용, 신용카드용 등으로 이용되[0003]
기도 하고, 비접촉형 스마트 카드로 구성되어 버스, 지하철 등의 교통카드로 이용되기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마트 카드는 복사방지나 자료 유출 우려가 적다고 하나, 분실, 도난을 당하거나 겁박에[0004]
의하여 비밀번호가 유출되는 경우에는 쉽게 타인이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어, 개인 신용 및 금융관리에 문제점
이 발생되고 있다.
특히 근래에는 스마트 카드에 적용되는 메모리칩이 소형화되고 또한 고성능화되어가기 때문에 더욱 많은 개인정[0005]
보가 저장될 수 있으나, 이러한 스마트 카드가 도난, 분실될 경우에는 개인정보가 유출될 우려가 있어, 개인정
보의 보호 및 신용정보 보호의 문제가 심각할 수 있는 것이다.
발명의 내용
해결 하고자하는 과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카드 정보가 저장되고, 단말기를 통하여 이용되는 스[0006]
마트카드의 기능에 더하여 사용자의 지문인식을 통하여 부정사용을 방지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신호데이터 입출력, 정보가 저장되고 인증프로세싱 되도록 하는 중앙처리부 및 지문인식 센서 등이 서로[0007]
단일모듈로 구성되어져 하나의 스마트카드로 이루어지되, 각 모듈이 통신시 서로 고유ID에 의하여 인증되도록
하여, 고유ID가 일치하지 않아 인증되지 않는 다른 수단에 의한 부정사용시에도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나아가 접촉식 및 비접촉식으로 구성되어지되, 접속식의 경우 단자별 신호접속되는 개별접속단자의 위치 및 구[0008]
성에 따라 이용되는 서비스가 서로 다르도록 구성되어 서비스구별을 해야 하는 처리프로세싱이 단순화되도록 하
는 목적이 있다.
과제 해결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 스마트카드 시스템은, 사용자(10)의 정보가 저장되[0009]
어 사용자 인증이 되도록 하기 위한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와, 상기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와 통신하도록 하
는 카드리더기(30)가 구비되는 스마트카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는 카드 사용자(10)의
지문이 센싱되도록 하는 사용자센싱부(21); 상기 사용자센싱부(21)로부터 전송되는 센싱데이터가 저장되고 저장
된 사용자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별하도록 구비되는 중앙처리부(22); 상기 중앙처리부(22)의 제어에 의하여 데이
등록특허 10-0991883
- 4 -
터를 인터페이스부(23)를 통하여 출력하는 입출력부(24)가 포함되어 구비되고, 상기 중앙처리부(22)는 주제어부
(221)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센싱부(21)에 대하여 입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센싱신호처리블럭(222);
상기 주제어부(221)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입출력부(24)에 대하여 입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입출력신호처리
블럭(223); 상기 중앙처리부(22)의 구동프로그램, 상기 중앙처리부(22)의 중앙고유ID, 상기 입출력부(24)의 입
출력고유ID, 상기 사용자센싱부(21)의 센싱고유ID, 상기 입출력부(24)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상기 사용자센싱
부(21)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및 사용자의 지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중앙메모리부(224)가 포함되어 구비
되고, 상기 중앙처리부(22)는 사용자센싱부(21)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센싱고유ID와 중앙메모리부(224)에 저
장된 센싱고유ID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전송된 센싱고유ID가 정상으로 판별되면 전송된 데이터를 처리
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입출력부(24)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입출력고유ID와 중앙메모리부(224)에 저장된 입
출력고유ID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전송된 입출력고유ID가 정상으로 판별되면 전송된 데이터를 처리하도
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 사용자센싱부(21)는 상기 중앙처리부(22)와 통신을 위한 센싱부입출력신호처리블럭(211); 사용자(1[0010]
0)의 지문정보를 센싱하는 사용자지문센서(212); 상기 사용자센싱부(212)의 센싱고유ID와 상기 중앙처리부(22)
의 중앙고유ID가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지문센서(212)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센싱메모리부(213); 및
상기 사용자센싱부(21)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제어하는 센싱제어부(214)가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부(24)는 상기 중앙처리부(22)와 통신을 위한 송수신신호처리블럭(241); 상기 입출력부(24)의[0011]
입출력고유ID와 상기 중앙처리부(22)의 중앙고유ID가 저장되고, 상기 중앙처리부(22)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및
상기 인터페이부(23)를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입출력메모리부(242); 및 상기 입출력부(24)의 데이
터를 처리하고 제어하는 입출력제어부(243)가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센싱부(21)는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체온감지센서(215) 또는 사용자의 인체전류를 감지[0012]
하는 인체전류감지센서(216)가 더 구비되고, 상기 중앙처리부(22)는 상기 사용자센싱부(21)의 체온감지센서
(215)에 의하여 감지되는 사용자의 체온 또는 상기 사용자센싱부(21)의 인체전류감지센서(216)에 의하여 감지되
는 사용자의 인체전류에 대한 데이터를 판별하여 정상으로 판별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센싱부(21)의 사용자지
문센서(212)에 의하여 감지되는 사용자의 지문이 정상사용자의 지문인지여부를 판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지문인식 스마트카드 시스템(A)의 제어방법은,[0013]
카드리더기(30)로부터 정보호출요청신호를 입출력부(24)에서 수신받아 입출력메모리부(242)에 저장되도록 하는[0014]
수신측정보요청신호수신단계(S11);
상기 카드리더기(3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호출요청신호 데이터에 입출력부(24)의 입출력고유ID 데이터를 합산하[0015]
여 중앙처리부(22)측으로 전송하는 입출력측신호발신단계(S12);
상기 중앙처리부(22)에서, 상기 입출력부(24)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0016]
된 입출력고유ID와 중앙메모리부(224)에 저장된 입출력고유ID가 일치하는지 판별하는 수신입출력ID판별단계
(S13);
상기 중앙처리부(22)에서, 수신된 입출력고유ID가 정상 입출력고유ID로 판별되면 사용자센싱부(21) 측으로 사용[0017]
자인증요청데이터와 함께 중앙고유ID 데이트를 합산하여 전송하는 인증요청신호발신단계(S14);
상기 사용자센싱부(21)에서, 상기 중앙처리부(22)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수신된 데이터에[0018]
포함된 중앙고유ID와 센싱메모리부(213)에 저장된 중앙고유ID가 일치하는지 판별하는 센싱측중앙고유ID판별단계
(S15);
상기 사용자센싱부(21)에서, 중앙고유ID가 정상으로 판별되는 경우에, 사용자지문센서(212)로부터 입력되는 사[0019]
용자의 지문에 대한 정보를 센싱메모리부(213)에 저장하는 지문센싱단계(S16);
상기 사용자센싱부(21)에서, 센싱된 사용자 지문에 대한 데이터와 함께 사용자센싱부(21)의 센싱고유ID의 데이[0020]
등록특허 10-0991883
- 5 -
터를 합산하여 중앙처리부(22) 측으로 전송하는 지문데이터전송단계(S17);
상기 중앙처리부(22)에서, 상기 사용자센싱부(21)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수신된 데이터[0021]
에 포함된 센싱고유ID와 중앙메모리부(224)에 저장된 센싱고유ID가 일치하는지 판별하는 센싱고유ID판별단계
(S18);
상기 중앙처리부(22)에서, 센싱고유ID가 정상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센싱부(21)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0022]
의 지문데이터와 중앙메모리부(224)에 저장된 사용자의 지문데이터를 판별하여 정상 사용자인지여부를 판별하는
사용자지문판별단계(S19);
상기 중앙처리부(22)에서, 센싱된 사용자의 지문이 정상 사용자의 지문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카드리더기(3[0023]
0)로부터 전송된 정보호출요청신호를 판별하여 중앙메모리부(224)에 저장된 해당 데이터와 중앙고유ID를 합산하
여 입출력부(24) 측으로 전송하는 저장정보송출단계(S20);
상기 입출력부(24)에서, 상기 중앙처리부(22)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수신된 데이터에 포[0024]
함된 중앙고유ID와 입출력메모리부(242)에 저장된 중앙고유ID가 일치하는지 판별하는 입출력측중앙고유ID판별단
계(S21);
상기 입출력부(24)에서, 중앙고유ID가 정상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중앙처리부(22)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0025]
상기 인터페이스부(23)를 통하여 상기 카드리더기(30) 측으로 전송하는 요청데이터발신단계(S22)가 포함되어 이
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효 과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은 사용자의 카드 정보가 저장되어 단말기에 적용되는 스마트카드에 더하여 사용[0026]
자의 지문인식을 통하여 부정사용을 방지하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신호데이터 입출력, 정보가 저장된 중앙처리부 및 지문인식 센서 등이 서로 단일모듈로 구성되어져 하나의[0027]
스마트카드로 이루어지되, 각 모듈이 서로 고유ID에 의하여 인증되도록 하여, 고유ID가 인증되지 않는 다른 수
단에 의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유출됨을 방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나아가 접촉식 및 비접촉식으로 구성되어지되, 접속식의 경우 단자별 신호접속되는 개별접속단자의 위치 및 구[0028]
성에 따라 이용되는 서비스가 서로 다르도록 구성되어 서비스구별에 따른 처리프로세싱이 단순화되도록 하는 장
점이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0029]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스마트카드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스[0030]
마트카드시스템의 지문인식스마트카드에 대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스마트카드시스템의 지문
인식스마트카드에 대한 제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스마트카드시스템의 제어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스마트카드시스템의 제어 흐름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스마트카드시스
템의 접촉식 접속단자에 대한 일실시예시도가 각각 도시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 스마트카드 시스템(A)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0)의 정보가[0031]
저장되어 사용자 인증이 되도록 하기 위한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와, 상기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와 통신하도
록 하는 카드리더기(30)가 구비되는 스마트카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도 1에서와 같이, 카드리더기(30)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카드리더기(30)에서 전송되어진 데이터[0032]
를 처리하고 각 외부 서버로 정도를 전송하도록 하는 호스트부(40)가 함께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카드리
더기(30)와 호스트부(40)는 ATM기와 같이 일체의 함체로 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도 1에서의 예에서와 같이 호
스트부(40)가 단말기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카드리더기(30)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단순리더기로도 구성
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카드리더기(30) 및 호스트부(40) 등의 구성은 설치환경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등록특허 10-0991883
- 6 -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이에 상기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카드 사용자(10)의 지문이 센싱되도록 하는 사[0033]
용자센싱부(21); 상기 사용자센싱부(21)로부터 전송되는 센싱데이터가 저장되고 저장된 사용자정보와 일치하는
지 판별하도록 구비되는 중앙처리부(22); 상기 중앙처리부(22)의 제어에 의하여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23)를
통하여 출력하는 입출력부(24) 등이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주요특징은 입출력부(24)가 중앙처리부(22)의 제어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0034]
또한 별도의 구동프로그램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나 통상의 스마트카드에서와 같
이 입출력부(24) 측에 전체 구동프로그램 또는 중요정보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전체 구
동프로그램(메인구동프로그램) 및 중요정보데이터는 중앙처리부(22)에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
고 입출력부(24)는 단순히 카드리더기(3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중앙처리부(22)로 전송하고, 또한
중앙처리부(22)에서의 데이터를 카드리더기(30)로 전송하도록 구성됨을 주요 특징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 중앙처리부(22)는 주제어부(221)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센싱부(21)에 대하여 입출력되는 신호[0035]
를 처리하는 센싱신호처리블럭(222); 상기 주제어부(221)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입출력부(24)에 대하여 입출력
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입출력신호처리블럭(223); 상기 중앙처리부(22)의 구동프로그램, 상기 중앙처리부(22)의
중앙고유ID, 상기 입출력부(24)의 입출력고유ID, 상기 사용자센싱부(21)의 센싱고유ID, 상기 입출력부(24)로부
터 전송되는 데이터, 상기 사용자센싱부(21)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및 사용자의 지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중앙메모리부(224)가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중앙메모리부(224)는 상기 중앙처리부(22)의 구동프
로그램이 저장되는 구동프로그램메모리부; 상기 중앙처리부(22)의 중앙고유ID가 저장되는 중앙고유ID메모리부;
상기 입출력부(24)의 입출력고유ID가 저장되는 입출력고유ID메모리부; 상기 사용자센싱부(21)의 센싱고유ID가
저장되는 센싱고유ID메모리부; 상기 입출력부(24)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수신데이터메모리부; 상기
사용자센싱부(21)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센싱데이터메모리부; 사용자의 지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
는 사용자지문정보메모리부, 또는 기타 정보메모리부 등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중
앙메모리부(224)의 개별 메모리부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메모리부들이 단일 메모리모듈 내에 구별된 영
역 또는 통합된 영역으로 하여 구성될 수도 있고, 또한 롬(ROM), 램(RAM), EEPROM, 플래쉬메모리 등과 같이 서
로 구별되는 메모리모듈로 하여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기 중앙처리부(22)는 사용자센싱부(21)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센싱고유ID와 중앙메모리부[0036]
(224)에 저장된 센싱고유ID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전송된 센싱고유ID가 정상으로 판별되면 전송된 데이
터를 처리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입출력부(24)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입출력고유ID와 중앙메모리부(224)에
저장된 입출력고유ID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전송된 입출력고유ID가 정상으로 판별되면 전송된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센싱부(21)는 상기 중앙처리부(22)와 통신을 위한 센싱부입출력신호처리블럭(211); 사용자[0037]
(10)의 지문정보를 센싱하는 사용자지문센서(212); 상기 사용자센싱부(212)의 센싱고유ID와 상기 중앙처리부
(22)의 중앙고유ID가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지문센서(212)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센싱메모리부
(213); 및 상기 사용자센싱부(21)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제어하는 센싱제어부(214) 등이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
다. 또한 센싱메모리부(213)는 센싱고유ID가 저장되는 센싱고유ID메모리부(미도시됨)와 중앙처리부(22)의 중앙
고유ID가 저장되는 중앙고유ID메모리부가 포함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사용자센싱부(21)에서는 중앙처리부(22)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우선 저장한 후, 전송된 데이[0038]
터에서 중앙고유ID와 센싱메모리부(213)에 저장된 중앙고유ID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일치하면 중앙처
리부(22)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센싱부(21)는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체온감지센서(2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사용[0039]
자의 인체전류를 감지하는 인체전류감지센서(216)가 더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중앙처리부(22)는 상기 사용자센싱부(21)의 체온감지센서(215)에 의하여 감지되는 사용자의 체온[0040]
또는 상기 사용자센싱부(21)의 인체전류감지센서(216)에 의하여 감지되는 사용자의 인체전류에 대한 데이터를
판별하여 정상으로 판별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센싱부(21)의 사용자지문센서(212)에 의하여 감지되는 사용자
의 지문이 정상사용자의 지문인지여부를 판별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사용자센싱부(21)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접촉시키면 사용자지문센서(212)에서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함과 함[0041]
께, 체온감지센서(215), 인체전류감지센서(216) 등에서 사용자에 대한 체온, 인체전류 등을 감지하여 중앙처리
등록특허 10-0991883
- 7 -
부(22)로 전송되도록 하며, 이에 중앙처리부(22)에서는 해당 사용자의 체온, 인체전류에 대한 측정값과 중앙메
모리부(224)에 저장된 해당 사용자의 체온, 인체전류 등에 대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정상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만
사용자 지문에 대한 정보비교판별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지문을 복사지 등에 복사하여 거짓으로 지문인식을 시키려 하거나, 손가락에 타인의 지문을 복[0042]
사한 용지를 덧대어 거짓 지문으로 인식시키려 하는 경우에는 지문인증 도용 등으로 판별되도록 구성되도록 하
여, 안전하게 스마트카드가 이용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의 예에서는 사용자센싱부(21)에서 감지된 체온, 인체전류에 대한 정보를 중앙처리부(22)에서 진위 판[0043]
별을 하도록 하는 구성을 예로 하였으며, 또한 사용자에 대한 체온, 인체전류를 사용자센싱부(21)에서 판별하도
록 하여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체온, 인체전류에 대한 측정된 값이 정상 사용자에 대한 감지데이터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정상 사용자"에 대한 신호값과 함께 스캔된 사용자의 지문데이터 및 사용자센싱부(21)의 센
싱고유ID가 함께 발신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반면 센싱된 체온, 인체전류에 대한 측정값이 비정상 사용자에 대한 감지데이터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비정상[0044]
사용자"에 대한 신호값과 사용자센싱부(21)의 센싱고유ID가 함께 발신되도록 하고, 이에 중앙처리부(22)에서는
비정상 사용자에 의한 사용으로 하여 카드리더기(30)로 신호전송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중앙처리부(22)의 중앙메모리부(224)에는 비정상 지문으로 판별되는 경우, 체온, 인체전류 등이 비정상[0045]
사용자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해당 내용이 저장되도록 하고, 또한 비정상 사용에 대한 날짜 등이 함께 저장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비정상 사용에 대한 누적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하여 도용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입출력부(24)는 상기 중앙처리부(22)와 통신을 위한 송수신신호처리블럭(241); 상기 입출력부(24)[0046]
의 입출력고유ID와 상기 중앙처리부(22)의 중앙고유ID가 저장되고, 상기 중앙처리부(22)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23)를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입출력메모리부(242); 및 상기 입출력부(24)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제어하는 입출력제어부(243) 등이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입출력메모리부(242)는
입출력고유ID가 저장되는 입출력고유ID메모리부(미도시됨)와 중앙처리부(22)의 중앙고유ID가 저장되는 중앙고유
ID메모리부(미도시됨)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입출력부(24)에서도 중앙처리부(22)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우선 저장한 후, 데이터의 중[0047]
앙고유ID와 입출력메모리부(242)에 저장된 중앙고유ID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일치하면 정상 데이터로
판별하여 중앙처리부(22)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입출력부(24)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접속식 스마트카드에 이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리더기와 접[0048]
속식으로 단자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접촉식용 단자(231)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비접촉식 스마트카드에
이용되도록 하기 위한 안테나인 비접촉식용 안테나(232)가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각각 개별적인 입출
력부(24)의 회로에 의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 접촉식용 단자(231) 및 비접촉식용 안테나(232)가 함께
구비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입출력부(24)에 대하여 접촉식용 단자(231)는 대체로 다수의 전기접촉용 개별단자로 구성될 수 있[0049]
는 것으로, 이러한 개별 단자의 형태 및 개별 단자의 수 등은 설치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성될 수 있
음은 당연한 것이다.
이에 이러한 복수의 단자에 대하여, 카드리더기와 접속되는 개별 단자의 수 및 접속 단자의 위치 등에 의하여[0050]
이용되는 서비스 내용이 선택적으로 적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이용될 수 있는 서비스 내용으로는, 은행서비스, 신용카드서비스, 인터넷서버의 회원서비스,[0051]
홈쇼핑의 회원서비스, 인터넷쇼핑의 회원서비스, 동사무소·구청 등의 주민신원서비스, 공항·선박·철도·버스
등의 교통관리서비스, 출입국관리서비스, 신원관리서비스, 재직회사의 직원관리서비스, 호텔·콘도·놀이공원
등 편의시설이용서비스 등이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중앙처리부(22)의 중앙메모리부(224)에는 은행서비스에 대해 은행계좌번호, 비밀번호, 해당계좌에 대한 인[0052]
식코드, 해당 계좌의 잔고 또는 거래 일시, 내역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신용카드서비스에 대해 해당 카
드번호, 비밀번호, 해당카드번호에 대한 인식코드, 카드한도, 잔여한도, 거래내용 및 일시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인터넷서버의 회원서비스, 홈쇼핑의 회원서비스, 인터넷쇼핑의 회원서비스 등의 인터넷 서비스에 대해서[0053]
등록특허 10-0991883
- 8 -
는 접속 로그아이디, 비밀번호, 접속일시 등이 저장될 수 있으며, 기타 프로그램된 서비스 내용에 따라 다양한
내용이 저장될 수도 있다. 특히 이러한 인터넷, PDA, 휴대용단말기 또는 전화 등을 이용한 서비스에서는, 카드
번호를 타이핑으로 하여 입력되어 이용될 수 있으나, 해당 서비스에 대한 개별 단말기가 별도로 구비되어 이용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컴퓨터 또는 노트북 등에서는 해당 컴퓨터 또는 노트북과 연결되는 카드리더기가 이용
될 수 있고, 무선연결이 가능한 핸드폰, PDA, 전화기, 무선서비스용 단말기 등이 이용되는 경우에는 비접촉식용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가 무선연결되도록 하여 이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동사무소·구청 등의 주민신원서비스, 공항·선박·철도·버스 등의 교통관리서비스, 출입국관리서비스,[0054]
신원관리서비스, 재직회사의 직원관리서비스 등의 신원관리서비스에 이용되는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의 주민등
록번호, 인상착의, 용모사진, 본적, 주소, 가족사항, 병역관련정보, 신용등급 등의 정보가 중앙메모리부(224)에
저장될 수도 있는 것이다.
나아가 호텔·콘도·놀이공원 등 편의시설이용서비스에 이용될 경우에는, 해당 서비스의 아이디, 비밀번호, 인[0055]
식코드 등이 중앙메모리부(224)에 저장될 수 있으며, 또한 이용일시 및 이용내역 등이 저장될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에 열거된 이용서비스 등에서 전에 이용된 내역에 따른 적립된 포인트 등도 함께 저장되어 이용될 수[0056]
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개별 서비스에 대하여, 단일의 통합된 스마트카드에 다수의 서비스 내용이[0057]
저장되어 이용될 수도 있고, 또한 몇몇 개별 서비스만 선별되어 통합된 서비스 내용으로 저장되어 이용될 수도
있다. 물론 단일 서비스만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도 당연한 것이다.
이에 하나의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에 다수의 서비스가 이용되도록 하는 구성의 경우, 하나의 접촉식용 단자[0058]
(231)의 다수 접촉단자가 복수로 선택되는 위치 및 접속단자 수 등에 의하여 이용가능한 서비스가 선택되어 이
용되도록 하여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일예로 하면, 도 2, 도 3 및 도 6의 경우 접촉식용 단자(231)에서 크게 구분되는 개별 단자(233)는 총 8개로[0059]
구분됨을 예로 하고 있으며, 이에 이용되는 서비스로는 은행·신용카드에 대한 금융서비스, 인터넷포탈서버·홈
쇼핑·인터넷쇼핑 등의 인터넷서비스, 동사무소·구청 등의 주민신원서비스, 공항·선박·철도·버스 등의 교통
관리서비스, 출입국관리서비스, 재직회사의 직원관리서비스, 호텔·콘도·놀이공원 등의 편의시설이용서비스 등
이 이용됨을 예로 할 수 있다.
이에 금융서비스에서는 2번접속단자(b)와 3번접속단자(c)로 신호접속하도록 하며, 따라서 지문인식스마트카드[0060]
(20)에서는 2번접속단자(b)와 3번접속단자(c)로 신호접속되는 경우에는 금융서비스와 관련된 처리를 하도록 구
비될 수 있는 것이다. 즉 2번접속단자(b)와 3번접속단자(c)로 데이터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입출력부(24)에
서는 "금융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로 판별하고, 이에 입출력부(24)에서는 "금융서비스"에 대한 인식코드, 카드리
더기(3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데이터 및 입출력부(24)의 입출력고유ID가 합성된 신호를 중앙처리부(22)측으로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신호를 수신받은 중앙처리부(22)에서는, 전송된 신호가 "금융서비스"와 관련된 정보임을 판별하[0061]
게 되고, 따라서 다시 카드리더기(30) 측으로 송출되는 응답신호가 금융서비스와 관련된 정보가 전송되도록 구
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중앙메모리부(224)에서는 "금융서비스"와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도록 금융서비스메모
리부가 별도로 구별되어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의 금융서비스와 관련되어 입출력부(24)의 2번접속단자(b)와 3번접속단자(c)를 이용하도록 구성됨을 예시함[0062]
에, 인터넷서비스의 경우 4번접속단자(d)와 6번접속단자(f)가 접속되어 신호전송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해당될
수 있으며, 또한 주민신원서비스의 경우 7번접속단자(g)와 8번접속단자(h)가 접속되어 신호전송되는 경우에 해
당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에서와 같이 두 개의 접속단자가 상호 접속되어 신호전송될 수도 있고, 또한 3개 이상의 접속단자를[0063]
통하여 신호전송되도록 접속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교통관리서비스는 2번접속단자(b), 3번접속단자(c) 및 4번
접속단자(d)가 접속되는 경우에, 출입국관리서비스는 2번접속단자(b), 3번접속단자(c) 및 6번접속단자(f)가 접
속되는 경우에, 직원관리서비스는 3번접속단자(c), 6번접속단자(f) 및 7번접속단자(g)가 접속되는 경우에, 그리
고 편의시설이용서비스는 6번접속단자(f), 7번접속단자(g) 및 8번접속단자(h) 등이 접속되는 경우에 각각 해당
서비스에 따른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등록특허 10-0991883
- 9 -
이와 같은 접속단자들의 예시는 본 발명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임의의로 설정하여 기술한 것인바, 이에[0064]
한정되어 본 발명이 실시되는 것이 아니라, 설치 상황에 따라 알맞게 설정되어 이용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카드리더기(30)와 접속식용 단자(231)가 서로 신호접속되기 위한 단자가 결정됨에 따라 이용[0065]
될 수 있는 서비스가 구별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카드리더기(3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중앙처리부(22)에서 어
느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인지 별도로 분류하여 판별하지 않아도 되므로, 어느 서비스인지를 판별해야 하는 처리
프로세서를 단순화가 가능하여 바로 해당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진행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카드리더기(30)에서도 해당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가 아닌 다른 내용의 서비스의 데이터를 수신할 우려가[0066]
없기 때문에 안전하고 정확한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는 등의 장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복수의 접속단자를 이용하여 신호접속됨을 구별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의 정보에 대하여, 해당 스마트[0067]
카드의 접속단자와 해당서비스의 카드리더기의 접속단자가 서로 일치하여 해당 서비스의 데이터가 신호전송되기
때문에 다른 접속단자로 이용되는 카드리더기 및 스마트카드에 대하여, 정상 카드리더기 및 정상 스마트카드인
가를 별도로 분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고, 이에 따라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되는 등의 장
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 스마트카드 시스템(A)의 제어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0068]
즉 도 4 및 도 5 등에서와 같이, 사용자(10)가 카드리더기(30)에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를 접속시키면, 카드리[0069]
더기(30)에서는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의 접속을 감지하게 된다.
이에 호스트부(40) 또는 카드리더기(30)의 디스플레이패널에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표시한 후, 해당메뉴를 선[0070]
택하면, 호스트부(40) 또는 해당 메뉴의 서버에서는 사용자(10)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따라서 서버 또는 호스트부(40)에서 전송되는 요청신호는 카드리더기(30)를 통하여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 측[0071]
으로 전송되는 것으로, 카드리더기(30)는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로부터의 응답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신호
대기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이에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에서는, 카드리더기(30)로부터 정보호출요청신호를 입출력부(24)의 인터페이스부[0072]
(23)에서 수신받아 입출력메모리부(242)에 저장되도록 하는 수신측정보요청신호수신단계(S11)가 수행되는 것이
다. 물론 카드리더기(30) 및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가 서로 신호전송이 접촉식인 경우에는 접촉식용 단자(23
1)를 통하여 신호수신되고, 비접촉식인 경우에는 비접촉식용 안테나(232)를 통항여 신호수신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카드리더기(3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호출요청신호 데이터에 입출력부(24)의 입출력고유ID 데이터를[0073]
합산하여 중앙처리부(22)측으로 전송하는 입출력측신호발신단계(S12)가 수행되는 것이다. 그리고 입출력부(24)
에서는 중앙처리부(22) 측으로부터 전송되어질 신호에 대하여 수신대기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중앙처리부(22)에서, 상기 입출력부(24)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수신된 데이터에[0074]
포함된 입출력고유ID와 중앙메모리부(224)에 저장된 입출력고유ID가 일치하는지 판별하는 수신입출력ID판별단계
(S13)가 수행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부(22)에서, 수신된 입출력고유ID가 정상 입출력고유ID로 판별되면 사용자센싱부(21) 측으[0075]
로 사용자인증요청데이터(사용자정보요청신호)와 함께 중앙고유ID 데이트를 합산하여 전송하는 인증요청신호발
신단계(S14)가 수행되는 것이다.
그러나 입출력부(24)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의 입출력고유ID와 중앙처리부(22)에 저장된 입출력고유ID가 일치하지[0076]
않는 경우에는, 입출력부(24)를 통하여 카드리더기(30) 측으로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의 훼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에러신호에 대한 정보는 중앙메모리부(224)에 저장되는 것이다.
그리고 입출력고유ID가 정상으로 되어 정상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지문정보를 요청함에, 상기 사용자센싱[0077]
부(21)에서는, 상기 중앙처리부(22)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중앙고
등록특허 10-0991883
- 10 -
유ID와 센싱메모리부(213)에 저장된 중앙고유ID가 일치하는지 판별하는 센싱측중앙고유ID판별단계(S15)가 수행
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사용자센싱부(21)에서, 중앙고유ID가 정상으로 판별되는 경우에, 사용자지문센서(212)로부터 입력되[0078]
는 사용자의 지문에 대한 정보를 센싱메모리부(213)에 저장하는 지문센싱단계(S16)가 수행되는 것이다.
그러나 중앙처리부(22)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의 중앙고유ID와 저장된 중앙고유ID가 정상으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0079]
에는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의 훼손에 대한 정보를 카드리더기(30) 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센싱부(21)에서, 센싱된 사용자 지문에 대한 데이터와 함께 사용자센싱부(21)의 센싱고유ID[0080]
의 데이터를 합산하여 중앙처리부(22) 측으로 전송하는 지문데이터전송단계(S17)가 수행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중앙처리부(22)에서는, 상기 사용자센싱부(21)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수신된[0081]
데이터에 포함된 센싱고유ID와 중앙메모리부(224)에 저장된 센싱고유ID가 일치하는지 판별하는 센싱고유ID판별
단계(S18)가 수행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부(22)에서, 센싱고유ID가 정상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센싱부(21)로부터 전송되는[0082]
사용자의 지문데이터와 중앙메모리부(224)에 저장된 사용자의 지문데이터를 판별하여 정상 사용자인지여부를 판
별하는 사용자지문판별단계(S19)가 수행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중앙처리부(22)에서, 센싱된 사용자의 지문이 정상 사용자의 지문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카드리더[0083]
기(30)로부터 전송된 정보호출요청신호를 판별하여 중앙메모리부(224)에 저장된 해당 저장데이터 정보와 중앙고
유ID를 합산하여 입출력부(24) 측으로 전송하는 저장정보송출단계(S20)가 수행되는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센싱부(21)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의 센싱고유ID와 저장된 센싱고유ID가 정상으로 일치하지 않는 경[0084]
우에는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의 훼손에 대한 정보를 카드리더기(30) 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입출력부(24)에서, 상기 중앙처리부(22)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수신된 데이[0085]
터에 포함된 중앙고유ID와 입출력메모리부(242)에 저장된 중앙고유ID가 일치하는지 판별하는 입출력측중앙고유
ID판별단계(S21)가 수행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입출력부(24)에서, 중앙고유ID가 정상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중앙처리부(22)로부터 전송되는 저장[0086]
데이터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부(23)를 통하여 상기 카드리더기(30) 측으로 전송하는 요청데이터발신단계(S22)
가 수행되는 것이다.
그러나 중앙처리부(22)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의 중앙고유ID와 저장된 중앙고유ID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역시[0087]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의 훼손으로 판별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카드리더기(30) 측으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입출력부(24)에 저장된 입출력고유ID, 중앙처리부(22)에 저장된 중앙고유ID 그리고[0088]
사용자센싱부(21)에 저장된 센싱고유ID 등은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가 제조된 상태에서 각각의
메모리부에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개별단일 모듈로 되는 입출력부(24), 중앙처리부(22) 및 사용자센싱부(21) 등이 개별적으로 제조되어질[0089]
때 각각의 메모리부, 바람직하게는 구동프로그램과 함께 각각의 롬(ROM)에 저장되도록 한 후, 입출력부(24), 중
앙처리부(22), 사용자센싱부(21) 등이 결합되어, 하나의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인 단일의 카드로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에서 열거되는 예에서 중요한 점은 입출력부(24), 중앙처리부(22), 사용자센싱부(21) 등에 대하여, 각[0090]
각의 고유ID들은 한번 저장된 후에는 변경되지 않도록 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하여 서로 다른 입출
력장치, 센싱장치 또는 프로세싱부 등이 차후에 결합되어 이용되는 경우에는 미리 입력된 상호의 고유ID가 상이
하면 에러가 발생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가 분실, 도난
등에 의하여 올바르지 않게 이용되는 경우, 별도의 입출력장치, 프로세싱 및 센서 등에 의하여 저장된 정보를
읽어들이려 해도, 해당 고유ID가 상이하면 정보전송이 이뤄지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 정보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등록특허 10-0991883
- 11 -
아울러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가 훼손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개별 서비스별로 해당 카드리더기(30)가 올바르지[0091]
않는 경우, 접속식용 인터페이스부(23)일 때 접촉식용 단자(231)의 개별접속단자가 상이하게 접속되는 경우에는
카드리더기(30) 또는 지문인식스마트카드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의 수신측정보요청신호수신단계(S11) 내지 요청데이터발신단계(S22) 등은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0092]
스마트카드(20)의 신호 입출력에 따른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금융서비스, 인터넷서비스, 주민신
원서비스, 교통관리서비스, 출입국관리서비스, 직원관리서비스, 편의시설이용서비스 등에 대하여 개별 서버 또
는 호스트부(40) 등에서 요청되는 신호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의 일련의 제어방법에 의하여 신호전송되도
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수신측정보요청신호수신단계(S11) 내지 요청데이터발신단계(S22) 등은
바람직한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의 제어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기재한 것으로, 이에 설치 환경에 따라 다소
의 변경이 가능함은 당연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다양한 서비스에 대하여 실시되는 개별 실시예를 살펴보면, 은행의 금융서비스의 경우에는, 지문[0093]
인식스마트카드(20)가 ATM 기 등으로 하는 카드리더기에 삽입하게 되면, 이를 카드리더기(30)가 감지하게 되고,
이에 해당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표시하게 된다.
이에 예금된 금액의 출금을 선택하게 되면, 단말기에서는 사용자의 계좌정보, 비밀번호 등에 대한 사용자 기초[0094]
정보를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에 요청하게 된다. 이후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의 입출력부(24), 중앙처리부
(22)로 정보요청 신호가 전송되고, 지문인식에 대한 요청신호를 사용자센싱부(21) 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중앙처리부(22)에서는 입출력부(24) 측을 통하여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지문인식센싱에 대한 알림메세[0095]
지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의 사용자센싱부(21)로 지문이 스캔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물
론 사용자센싱부(21)에서는 지문센싱과 더불어 사용자의 체온, 인체전류 등이 센싱되도록 하여, 정상 사용자에
의한 지문인식인지 여부를 함께 판별함이 바람직하다.
이후 정상 사용자의 지문인식으로 판별되면, 중앙메모리부(224)의 은행용 금융서비스저장부(미도시됨)에 저장된[0096]
사용자의 계좌정보, 계좌비밀번호 또는 계좌인증코드 등이 입출력부(24)를 통하여 단말기 및 은행서버로 전송되
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은행서버에서는 해당 사용자가 정상 사용자인지 또는 정상계좌인지를 판별하고, 이에 대한 응답신호를 단[0097]
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은행서버 또는 단말기에서는 사용자가 해당 계좌에 대하여 원하는 서비스가 무엇인지 표시하도록 구성될[0098]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가 예금인출을 선택하게 된다. 이에 대한 정보가 은행서버로 전송되어짐에, 은행서버에
서는 은행잔고가 은행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은행서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에도
해당 계좌의 잔고의 정도가 저장될 수도 있다.
이에 은행서버의 예금인출 프로세싱이 지문인식스마트카드로만 인출입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지문인식스마[0099]
트카드에 저장된 잔고 정보와 은행서버에 저장된 잔고의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정상사용자로 인식하도록 구
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인터넷 뱅킹, 텔레뱅킹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입출금이 가능한 경우에는, 단순히 은행서버에 저장된 잔고[0100]
정보가 지문인식스마트카드에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은행서버 또는 지문인식스마트카드에 저장된 계좌 잔고 정보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0101]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는 원하는 금액이 인출되도록 입력하게 된다. 물론 단말기 디스플레이부에 잔고
가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말기의 메모리에만 잔고정보가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사용자가 입력한 인출금액이 잔고 금액보다 많게 되면, 잔액부족의 메세지를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정상[0102]
인출금액일 경우에는 인출에 대한 사용자 승인을 위하여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 측으로 지문인증요청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진행되는 인증과정을 앞서 살펴본 바에 따라 데이터가 전송되어 정상 사용자
로 판별되는 경우에 인출승인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이 완료되면, 해당 은행 서버로 인출에 대한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은행서버에서는[0103]
단말기 측으로 인출승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함에, 단말기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인출금액을 출금하게 된다. 또
등록특허 10-0991883
- 12 -
한 은행서버에서는 이미 저장되어 있던 잔고에서 인출금액을 제외한 잔액 정보를 은행서버에 저장되도록 함과
함께, 단말기 측으로 해당잔액의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이후 단말기측에서는 카드리더기(30)를 통하여 지문인
식스마트카드(20) 측으로 해당잔액의 정보를 전송하여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은행에 관한 금융서비스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에 의[0104]
하여 은행에서 입출금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예금의 계좌이체, 공과금 납부 등과 같은
은행업무에 대해서도 상가와 같은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를 통한 제어방법이 응용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연
한 것이다.
그리고 신원서비스 등 해당 사용자의 주소, 주민등록번호, 가족관계, 혈액형 등과 같은 개인정보가 지문인식스[0105]
마트카드(20)에 저장되어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동사무소, 구청, 공항, 건물의 출입구 등에 설치된 카드리더기(30)인 단말기에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가[0106]
접속되도록 하게 되면, 해당 단말기에서 요청되는 정보가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에서 송출되어 이용되는 것이
다. 그리고 주소이전과 같이 새로이 갱신되어 입력되는 정보는 신규정보로 하여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의 중앙
메모리부(224)의 주소메모리부(미도시됨)에 저장되는 것이고, 물론 예전 구주소와 같은 예전정보는 별도의 중앙
메모리부(224)에 저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중앙메모리부(224)에는 언제든 수시로 바뀔 수 있는 주소와 같은 데이터용 메모리부와 함께, 해당 사용[0107]
자의 주민등록번호와 같이 항상 바뀌지 않는 데이터용 메모리부가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호텔, 콘도, 놀이공원, 식당 등 편의시설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편의시설에 대한 가입 고유번호 및[0108]
접속비밀번호와 같은 고유코드값 등이 지문인식스마트카드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이용일시 및 누적된
포인트 등이 함께 저장되어 언제든 이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특히 각 편의 시설들이 서로 통합되어 운영될 수 있는 통합포인트에 대하여 해당 개별 편의시설을 개별적으로[0109]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용에 따른 누적포인트가 이용시에 개별적으로 통합되면서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
에 통합포인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어느 편의시설에서 누적되었는지 무관하게 통합되어 저장되어 있는 통합포인
트를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스마트카드(20)에 저장된 통합포인트에 대한 정보에 의하여 다양한 정보를 이용[0110]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0111]
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
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스마트카드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0112]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스마트카드시스템의 지문인식스마트카드에 대한 구성도.[0113]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스마트카드시스템의 지문인식스마트카드에 대한 제어구성도.[0114]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스마트카드시스템의 제어블럭도.[0115]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스마트카드시스템의 제어 흐름도.[0116]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스마트카드시스템의 접촉식 접속단자에 대한 일실시예시도.[0117]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0118]
A : 지문인식 스마트카드 시스템 10 : 사용자[0119]
20 : 지문인식스마트카드 21 : 사용자센싱부[0120]
등록특허 10-0991883
- 13 -
22 : 중앙처리부 23 : 인터페이스부[0121]
24 : 입출력부 30 : 카드리더기[0122]
40 : 호스트부[0123]
도면
도면1
도면2
등록특허 10-0991883
- 14 -
도면3
도면4
등록특허 10-0991883
- 15 -
도면5
등록특허 10-0991883
- 16 -
도면6
등록특허 10-0991883
- 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