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자형 천장 마감재용 연결장치(a joint device for ceiling finishing materia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2년09월19일
(11) 등록번호 10-1183896
(24) 등록일자 2012년09월12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E04B 9/06 (2006.01)
(21) 출원번호 10-2012-0037378
(22) 출원일자 2012년04월10일
심사청구일자 2012년04월10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0448471 B1
KR101129076 B1
JP11172847 A
(73) 특허권자
주식회사 기연써프라이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노곡리 263-8
(72) 발명자
오광재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금어로 6, 2003동 1702호
(유방동, 인정프린스아파트)
(74) 대리인
경일호
전체 청구항 수 : 총 5 항 심사관 : 김선
(54) 발명의 명칭 격자형 천장 마감재용 연결장치
(57) 요 약
본 발명은 격자형 천장 마감재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L)를 갖는 "U"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상측에 복수개의 행거 연결홀(120)을 가지며 종방향
으로 연속 연결되는 메인 분할체(100), 상기 메인 분할체(100)와 다른 메인 분할체(100)가 평행을 유지하도록 상
기 메인 분할체(100)와 직교방향으로 양단이 등간격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 분할체(200), 상기 메인 분할체
(100)와 메인 분할체(100) 사이에서 등간격 배열되며 상기 연결 분할체(200)에 직교방향으로 결합수단을 통해 결
합되는 복수개의 지지 분할체(300)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분할체(100)와 이와 연속된 메인 분할체(100a)가 연결
수단을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 분할체(200)와 지지 연결체(300)가 결합수단을 통해 서로 연결되
도록 하여서 된다. 본 발명은 평면 격자를 이루게 되는 메인 분할체, 연결 분할체, 지지 분할체들이 상호간에 간
편한 끼움 방식을 통해 조립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간편화는 물론 원가를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대 표 도 - 도1
등록특허 10-1183896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상호 결합시 평면 격자를 이루도록 복수개의 분할체로 구성되고 각기 상향으로 개방되게 수평부(H)와 수직부
(L)를 갖는 "U"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상측에 복수개의 행거 연결홀(120)을 가지며 종방향으로 연속 연
결되는 메인 분할체(100);
상기 메인 분할체(100)와 다른 메인 분할체(100)가 평행을 유지하도록 상기 메인 분할체(100)와 직교방향으로
양단이 등간격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 분할체(200);
상기 메인 분할체(100)와 메인 분할체(100) 사이에서 등간격 배열되며 상기 연결 분할체(200)에 직교방향으로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되는 복수개의 지지 분할체(300);
상기 메인 분할체(100)와 이와 연속된 메인 분할체(100a)를 연결하되, 상기 메인 분할체(100)와 메인 분할체
(100a)의 대응단부인 수직부(L) 하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160)과, 중간에 상기 가이드홈
(160)에 끼워지도록 양쪽으로 전개되는 좌우 한 쌍의 가이더(420)(422)가 형성되고 전후방에 상기 메인 분할체
(100)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지지부(430)(440) 및 이 지지부(430)(440)의 저면에서 상기 메인 분할체
(100)(100a)의 수평부(H) 바닥면에 걸림되어 역방향 이동이 제어되도록 하되 상기 지지부(430)(440) 양쪽에 하
향으로 절곡되는 절곡편(452)(453)과 이 절곡편(452)(453)에 각기 형성되며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각을 갖는 복수개의 쐐기(456)로 구성된 래칫구(450)가 형성된 조인트(400)를 구비한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격자형 천장 마감재용 연결장치.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분할체(100)와 조인트(400)가, 알루미늄소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천장 마감재용 연결
장치.
청구항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분할체(100)의 중간부의 표면이 상기 쐐기(456)가 걸림되도록 거친면(180)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천장 마감재용 연결장치.
청구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연결 분할체(200)의 수직부(L)에 상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결합홈(240), 상기 결합홈(240)의 내측벽에 대
응되게 형성된 걸림돌기(242), 상기 지지 분할체(300)의 수평부(H) 및 수직부(L)에 하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 분할체(200)의 수직부(L)가 안내되도록 형성된 가이드홈(340), 및 상기 걸림돌기(242)가 걸림되도록
상기 지지 분할체(300)의 수직부(L)에 형성된 걸림홀(36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천장 마감재용
연결장치.
등록특허 10-1183896
- 2 -
청구항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연결홀(120)의 상측에 행거(500)의 하측 결합단(520)이 끼워져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걸림홀(12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천장 마감재용 연결장치.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격자형 천장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분할체들을 평면 격자형으로 연결시켜[0001]
행거를 통해 천장에 걸어서 고정하는 격자형 천장 마감재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격자형 천장 마감재는 일체식 격자형 천장 마감재와 T바를 이용한 격자형 천장 마감재가 주로 적용[0002]
되고 있다.
일체식 격자형 천장 마감재는 일측의 격자체와 타측의 격자체가 끼워져 천장 전체를 구성하게 되므로, 천장 전[0003]
체가 동일한 격자무늬를 지니게 되어 통일된 모양의 천장 마감이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으나, 반면에 천장 전체
가 하나로 결합되기 때문에 천장 내부의 조명시설이나 공조시설의 점검, 교환이 불편하게 되고, 또한 천장의 일
부 손상시 수리가 힘든 문제점이 있다.
T바를 이용한 격자형 천장 마감재는, 일체식 격자형 천장 마감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것이며, 격[0004]
자판은 일정한 크기로 구성되고, 이러한 단위 격자판들을 T바위에 올려놓는 형태로 천장을 마감하게 된다. 이는
각 격자판의 분리 및 결합이 간편하여 천장 내부의 조명시설이나 공조시설의 점검, 교환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
나, T바가 단위 격자판 크기의 격자를 구성하고 단위 격자판이 그 위에 올려지기 때문에 T바에 의한 격자가 노
출되어 통일된 천장 마감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천장의 분리와 결합이 간편하고, 통일된 모양의 천장 마감을 제공하는 격자형 천장 마감재가[0005]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48471호로 제시된 바 있다.
이는, 문헌에 도시된 바와같이 격자판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홈과 행거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을 구비하는 메인[0006]
바와, 4면에 걸쇠를 형성한 격자살을 종횡 결합한 격자판으로 이루어진 격자형 천장 마감재에 있어서, 메인바의
양측 끝 부분에 다른 메인바와 연결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가느다란 구멍을 두 개 형성한 끼움공을 형성하고, 이
끼움공에 끼움쇠가 삽착 연결되는 연결편을 형성하여 메인바를 연속 연결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경우 연결편이 메인바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끼움쇠가 메인바에 형성된 끼움공에 위치되[0007]
는 것으로 작업자의 조립 작업이 힘든 문제점이 있고, 또한 조립 간편을 위해 공차를 두는 경우 끼움쇠와 끼움
공의 허용공차를 크게 설정하여야 함에 따라 설치시 흔들림이 발생되고 심한 경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0008]
본 발명의 목적은, 평면 격자의 구조를 취하는 천장 마감재를 조립함에 있어 다수의 분할체들을 간편하게 조립[0009]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할체들의 상호간 연결시 탄성력을 통해 서로 결합됨과 동시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0010]
조립과 더불어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등록특허 10-1183896
- 3 -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0011]
상호 결합시 평면 격자를 이루도록 복수개의 분할체로 구성되고 각기 상향으로 개방되게 수평부와 수직부를 갖[0012]
는 "U"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상측에 복수개의 행거 연결홀을 가지며 종방향으로 연속 연결되는 메인
분할체, 상기 메인 분할체와 다른 메인 분할체가 평행을 유지하도록 상기 메인 분할체와 직교방향으로 양단이
등간격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 분할체, 상기 메인 분할체와 메인 분할체 사이에서 등간격 배열되며 상기 연결
분할체에 직교방향으로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되는 복수개의 지지 분할체로 구성되는 격자형 천장 마감재에 있어
서,
상기 메인 분할체와 이와 연속된 메인 분할체가 연결수단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0013]
상기 연결수단은,[0014]
상기 메인 분할체와 메인 분할체의 대응단부인 수직부 하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 중간에 상[0015]
기 가이드홈에 끼워지도록 양쪽으로 전개되는 좌우 한 쌍의 가이더가 형성되고 전후방에 상기 메인 분할체의 공
간에 삽입되도록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저면에 상기 메인 분할체의 수평부 바닥면에 걸림되어 역방향 이동이
제어되도록 래칫구가 형성되는 조인트로 구현된다.
상기 래칫구는, 상기 조인트의 지지부 양쪽에 하향으로 절곡되는 절곡편, 상기 절곡편에 각기 형성되며 삽입되[0016]
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각을 갖는 복수개의 쐐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분할체와 조인트를 알루미늄소재를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0017]
또한, 상기 메인 분할체의 중간부의 표면이 상기 쐐기가 걸림되어 역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도록 거친[0018]
면을 형성함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연결 분할체의 수직부에 상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결합홈, 상기 결합홈의 내측벽[0019]
에 대응되게 형성된 걸림돌기, 상기 지지 분할체의 수평부 및 수직부에 하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
분할체의 수직부가 안내되도록 형성된 가이드홈, 및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되도록 상기 지지 분할체의 수직부에
형성된 걸림홀로 구현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평면 격자 형태를 이루게 되는 메인 분할체, 연결 분할체, 지지 분할체들이 상호간에 간편한 끼움[0020]
방식을 통해 조립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 간편화는 물론 원가를 크게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분할체들의 상호간 연결시 서로 결합됨과 동시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조립과 더불어 안정된 고정상[0021]
태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격자형 천장 마감재용 연결장치의 조립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0022]
도 2는 도 1에서 메인 분할체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연결 분할체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지지 분할체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2 내지 도 4의 분할체들이 서로 조립되는 상태의 결합 사시도,
도 6은 도 1에서 메인 분할체에 연결 분할체가 결합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1에서 연결 분할체에 지지 분할체가 결합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1에서 메인 분할체와 메인 분할체의 연결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
등록특허 10-1183896
- 4 -
도 9는 도 8의 정단면도,
도 10은 도 1에서 메인 분할체에 행거가 연결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12는 도 9의 다른 실시예,
도 13은 도 12의 결합상태 정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0023]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
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9의 도시에 의하여 분할체들이 각각 다수개로 이루어져 각기 일방향 배열 및 상호 평[0024]
면 격자 형태로 연결되는 것으로 메인 분할체(100)와 연결 분할체(200) 및 지지 분할체(300)로 구성되어 평면
격자를 이루게 되는 격자형 천장 마감재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분할체는, 기본적으로 중간 수평부(H) 및 상기 중간 수평부(H)를 중심으로 양쪽단이 수직하게 된 양쪽 수[0025]
직부(L)로 형성되며, 그 외형이 "U" 자 형상을 취하여 중간 수평부(H)를 중심으로 한 양쪽 수직부(L)가 내측 또
는 외측으로 탄성력을 발생하게 된다. 이는 제조 및 조립 편의성 그리고 결합후 안정된 고정을 유도하기 위함이
다.
그리고, 상기 분할체는, 금속 및 합성수지가 가능하나 알루미늄 소재를 적용하여 압출 성형할 수 있다.[0026]
상기 분할체를 알루미늄 소재로 압출 성형하는 경우 수평부(H)와 수직부(L)가 형성되도록 압출 성형한 다음 상[0027]
기 수평부(H)와 수직부(L)에 상호 결합을 위한 연결수단 또는 결합수단을 형성시키면 된다.
상기 메인 분할체(100)는, 도 2의 도시에 의하여 양쪽 수직부(L)의 상측에 천장에 행거를 통해 연결시킬 수 있[0028]
도록 행거 연결홀(120) 및 길이 방향으로 따라 상기 연결 분할체(2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부(L)에 각
각 한 쌍의 걸림홈(140)이 상향으로 개방되게 복수개 등간격 형성된다.
상기 행거 연결홀(120)은 천장에 걸림되는 행거(500)의 하단 결합단(520)이 끼워져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행거[0029]
연결홀(120)의 상측에 상기 결합단(520)이 끼워져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걸림홀(124)이 형성되어 상기 행
거(500)의 연결시 상기 결합단(520)을 상기 행거 연결홀(120)에 삽입되도록 한 다음 상기 결합단(520)이 걸림홀
(124)에 걸림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연속 반복 연결되는 상기 메인 분할체(100)의 분할 기준점은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수직부(L)에[0030]
형성된 한 쌍의 걸림홈(140) 즉, 걸림홈과 걸림홈 사이의 중간을 기준으로 하여 분할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분할체(100)와 다른 메인 분할체(100a)는 일방향으로의 연속 배열시 접합부분 즉, 분할되는[0031]
기준점이 연결수단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메인 분할체(100)와 메인 분할체(100a)의 대응단부인 수직부(L) 하측에 대칭되게 형성되[0032]
는 한 쌍의 가이드홈(160)과, 중간에 상기 가이드홈(160)에 끼워지도록 양쪽으로 전개되는 좌우 한 쌍의 가이더
(420)(422)가 형성되고 전후방에 상기 메인 분할체(100)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지지부(430)(440) 및 상기 지지부
(430)(440)의 저면에 상기 메인 분할체(100)의 수평부(H) 바닥면에 걸림되어 역방향 이동이 제어되도록 래칫구
(450)가 형성되는 조인트(400)로 이루어져 상호 결합된다.
상기 래칫구(450)는, 상기 조인트(400)의 지지부(430)(440) 양쪽에 하향으로 절곡되는 절곡편(452)(453)과, 상[0033]
기 절곡편(452)(453)에 형성되며 역방향으로 경사각을 갖는 복수개의 쐐기(45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쐐기(456)는 상기 가이더(420)(422)를 중심으로 경사각의 방향을 달리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쐐기는[0034]
(456)는 결합후 역방향 이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분할체(100)(100a)에 결합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경사각을 가진다.
또한, 다른 예로서 상기 메인 분할체(100)의 중간 수평부(H)의 표면이 요철 등의 거친면(180)으로 형성되어 상[0035]
기 쐐기(456)의 밀착시 걸림되어 역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도 12, 13 참조)
등록특허 10-1183896
- 5 -
상기 연결 분할체(200)(200a)는,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상기 메인 분할체(100)와 메인 분할체(100)의 걸림홈[0036]
(140)에 양단이 각각 끼워져 결합되도록 수직부(L)의 양단부에 걸림쇠(220)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140)에 상
하 방향으로 끼워져 동일 높이를 유지하며 상호 걸림상태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측에는 복수개의 결합홈(240)이
등간격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240)에는 상기 지지 분할체(300)가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결합수단을 통해 직교 방향으로 결합되[0037]
며, 상기 지지 분할체(300)의 저면에 하향으로 개방된 결합쇠(320)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연결 분할체(200)의 수직부(L)에 상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결합홈(240), 상기 결합홈[0038]
(240)의 내측벽에 대응되게 형성된 걸림돌기(242), 상기 지지 분할체(300)의 수평부(H) 및 수직부(L)에 하향으
로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 분할체(200)의 수직부(L)가 안내되도록 형성된 가이드홈(340), 및 상기 걸림돌
기(242)가 걸림되도록 상기 지지 분할체(300)의 수직부(L)에 형성된 걸림홀(3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연결 분할체(200)의 양단이 상기 메인 분할체(100)와 메인 분할체(100) 사이에 연결된 상태에[0039]
서 상기 연결 분할체(200)의 수직부(L)에 형성된 결합홈(240)에 상기 지지 분할체(300)의 가이드홈(340)을 끼워
맞춤 시키게 되면 상기 가이드홈(340)이 상기 연결 분할체(200)의 수직부(L)를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걸
림돌기(242)가 상기 걸림홀(360)에 끼워 맞춤되면 상호간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격자형 천장 마감재용 연결장치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0040]
조립시,[0041]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기 분할된 메인 분할체(100)와 메인 분할체(100a)를 조인트(400)를 통해 결[0042]
합시킨다. 이때 조인트(400)의 양쪽 지지부(430)(440)가 각각 상기 메인 분할체(100)와 메인 분할체(100a)의 수
평부(H) 상면에 유치되도록 한 다음 밀어 넣는다. 그러면 조인트(400)의 중간 가이더(420)(422)가 각각 상기 메
인 분할체(100)와 메인 분할체(100a)의 대응단에 형성된 가이드홈(160)에 결합되면서 결합이 이루어지고, 연속
해서 래칫구(450)를 이루는 쐐기(456)가 걸림되어 안정된 결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다음, 연속 반복해서 연결된 상기 메인 분할체(100)와 상기 메인 분할체(100)의 연결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0043]
결된 다른 메인 분할체를 평행하게 위치시킨 다음 이들 사이에 연결 분할체(200)의 양단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시킨 다음 상기 연결 분할체(200)를 등간격 배열 시키면서 결합하면 된다.
상기 연결 분할체(200)의 양단에 형성된 걸림쇠(220)를 상기 메인 분할체의 걸림홈(140)에 걸림되도록 결합시키[0044]
면 된다.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연결 분할체(200)의 수직부(L)에 형성된 결합홈(240)에 상기 지지 분할체[0045]
(300)의 가이드홈(340)을 끼워 맞춤 시키게 되면 상기 가이드홈(340)이 상기 연결 분할체(200)의 수직부(L)를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걸림돌기(242)가 상기 걸림홀(360)에 끼워 맞춤되면서 상호간의 결합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조립을 반복해서 하게 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평면 격자형 천장 마감재의 조립이 완료된다.[0046]
이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행거(500)의 결합단(520)을 행거 연결홀(120)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같이 걸림[0047]
되도록 한 상태에서 행거(500)를 천장에 연결시키면 설치가 완료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격자형 천장 마감재용 연결장치에 한정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0048]
것은 아니며 다양한 용도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0049]
지 않는 범위 안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
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100a: 메인 분할체[0050]
120: 행거 연결홀 140: 걸림홈
160: 가이드홈
등록특허 10-1183896
- 6 -
200,200a: 연결 분할체
220: 걸림쇠 240: 결합홈
242: 걸림돌기
300: 지지 분할체
320: 결합쇠 340: 가이드홈
360: 걸림홀
400: 조인트
420,422: 가이더 430,440: 지지부
450: 래칫구
452,453: 절곡편 456: 쐐기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183896
- 7 -
도면2
도면3
등록특허 10-1183896
- 8 -
도면4
도면5
등록특허 10-1183896
- 9 -
도면6
등록특허 10-1183896
- 10 -
도면7
도면8
등록특허 10-1183896
- 11 -
도면9
도면10
등록특허 10-1183896
- 12 -
도면11
도면12
등록특허 10-1183896
- 13 -
도면13
등록특허 10-1183896
-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