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자동차 번호판 고정볼트 제조방법 및 그 고정볼트(manufacturing method and structure for bolt attached in number plate of vehicle)

갈때까지가는거야 2018. 3. 21. 20:06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2년09월20일
(11) 등록번호 10-1185070
(24) 등록일자 2012년09월06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B60R 13/10 (2006.01) F16B 35/00 (2006.01)
(21) 출원번호 10-2009-0127096
(22) 출원일자 2009년12월18일
심사청구일자 2009년12월18일
(65) 공개번호 10-2011-0070311
(43) 공개일자 2011년06월24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0932541 B1*
KR1020080086015 A*
KR200374424 Y1*
KR2019980024145 U*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이종엽
서울특별시 중랑구 용마산로 616, 102동 402호 (
신내동, 새한아파트)
(72) 발명자
이종엽
서울특별시 중랑구 용마산로 616, 102동 402호 (
신내동, 새한아파트)
(74) 대리인
이현재, 이선행, 서정옥
전체 청구항 수 : 총 3 항 심사관 : 이언수
(54) 발명의 명칭 자동차 번호판 고정볼트 제조방법 및 그 고정볼트
(57) 요 약
본 발명은 자동차 번호판을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고정볼트
의 표면 크랙과 파손을 방지하고 강도가 높으면서도 상대 차량 접촉시 손상이 적게 가도록 완충 기능이 강화된
번호판 고정볼트를 쉽고 간단하면서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고정볼트(20)의 모재가 되며, 속이 채워진 봉상의 금속봉(30)을 제작하고자 하는 고정볼트의 전
체 길이가 될 수 있는 길이로 사전 계측하여 절단하는 금속봉 절단단계(S100), 상기 S100 단계를 통하여 절단된
금속봉(30)을 준비된 금형(31)에 투입하여 제작하고자 하는 고정볼트(20)의 볼트머리부(22)와 나사부(23)에 대응
되는 볼트머리부(32)와 나사부(33)로 이루어지는 전체 형상을 형상화하는 1차 가공단계(S101), 상기 1차 가공단
계를 통하여 반가공 상태로 형상화된 나사부(33)를 인발다이(34) 통하여 인발 하는 2차 가공단계(S102), 상기 2
차 가공단계를 통하여 인발된 고정볼트의 볼트머리부(32)의 외주면을 너트형상으로 가공하고 그 볼트머리부(32)
의 표면 동심을 축으로 표면상에 홈(35)을 가공하는 볼트머리부 후 가공단계(S103), 상기 2차 가공단계를 통하여
형성된 나사부(33)의 표면에 나사산(36)을 형성하는 태핑 가공단계(S104) 및 볼트머리부 후 가공단계에서 형성된
볼트머리부(32)의 표면 홈(35)을 따라 표면처리재(37)를 설치하는 단계(S1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 표 도 - 도4
등록특허 10-1185070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차체에 자동차 번호판을 고정하기 위하여 나사산(21)이 가공된 나사부(22)를 제작하고, 나사부(22)를 회전시키
기 위해 나사부(22)와 연결된 볼트머리부(23)를 제작하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볼트머리부(23)의 표면(24)을
표면처리재(25)로 볼트머리부(23)의 표면(24)을 처리하여 제조되는 자동차 번호판 고정볼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20)의 모재가 되며, 속이 채워진 봉상의 금속봉(30)을 제작하고자 하는 고정볼트의 전체 길이가
될 수 있는 길이로 사전 계측하여 절단하는 금속봉 절단단계(S100);
상기 S100 단계를 통하여 절단된 금속봉(30)을 준비된 금형(31)에 투입하여 제작하고자 하는 고정볼트(20)의 볼
트머리부(22)와 나사부(23)에 대응되는 볼트머리부(32)와 나사부(33)로 이루어지는 전체 형상을 형상화하는 1차
가공단계(S101);
상기 1차 가공단계를 통하여 반가공 상태로 형상화된 나사부(33)를 인발다이(34) 통하여 인발 하는 2차 가공단
계(S102);
상기 2차 가공단계를 통하여 인발된 고정볼트의 볼트머리부(32)의 외주면을 너트형상으로 가공하고 그 볼트머리
부(32)의 표면 동심을 축으로 표면상에 홈(35)을 가공하는 볼트머리부 후 가공단계(S103);
상기 2차 가공단계를 통하여 형성된 나사부(33)의 표면에 나사산(36)을 형성하는 태핑 가공단계(S104) 및 볼트
머리부 후 가공단계에서 형성된 볼트머리부(32)의 표면 홈(35)을 따라 표면처리재(37)를 설치하는 단계(S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1차 가공단계(S101)에서 금형을 통해 형성되는 볼트머리부(32)와 나사부(33)는 그 경계면(38)을 기준으로
둘레 외주연을 따라 오목홈(39)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번호판 고정볼트 제조방법.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가공단계(S101)에서 금형을 통해 형성되는 나사부(33)는 하부로 갈수록 끝이 뾰족해지는 원추형으로
가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번호판 고정볼트 제조방법.
청구항 4
청구항 제 1 항의 자동차 번호판 고정볼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번호판 고정볼
트.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자동차 번호판을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고정볼[0001]
트의 표면 크랙과 파손을 방지하고 강도가 높으면서도 상대 차량 접촉시 손상이 적게 가도록 완충 기능이 강화
된 번호판 고정볼트를 쉽고 간단하면서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배 경 기 술
자동차 번호판은 일반적으로 차의 전후방 범퍼에 홈을 내어 부착되거나 범퍼의 하단에 부착된다.[0002]
범퍼에 번호판을 부착시키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범퍼(10)의 내부에는 범퍼의 충[0003]
격 흡수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범퍼(10)의 보강부재에는 단면을 갖는 번호판 플레
등록특허 10-1185070
- 2 -
이트가 설치된다.
번호판 플레이트가 설치된 범퍼(10)의 전면부에 번호판(11)이 배열된 상태에서 번호판(11)의 외부로부터 고정볼
트(12)를 결합시켜 번호판 플레이트를 관통 연장하도록 한 후에 번호판 플레이트의 후방에 설치된 용접 너트에
체결하여 고정된다.
자동차 번호판 고정장치는, 범퍼 또는 트렁크와 같은 차체의 내측 면에 고정되는 너트, 차체의 내측에 체결되도
록 차체 및 번호판을 관통하는 볼트, 볼트의 머리에 장착되는 봉인플레이트, 봉인플레이트를 번호판에 밀착시키
기 위해 볼트에 형성된 구멍에 설치되는 핀, 번호판을 임의로 떼어내거나 도난을 방지하도록 볼트를 차폐하기
위해 봉인플레이트에 장착되는 봉인 캡 등을 포함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번호판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번호판 고정볼트(12)는, 도 2와 같이, 외부에서 공구를 이용하여 돌릴
수 있도록 된 볼트머리부(13)와, 볼트머리부(13)와 결합되어 연장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이 형성된 나사부
(14)로 구성되며, 볼트머리부(13)와 나사부(14)는 이재질의 소재로 따로 제작하여 결합시켜 구성된다. 볼트머리
부(13)는 합성수지재 소재로 제작되고, 나사부(14)는 금속소재를 사용하여 나사 가공하여 제작된다.
삭제[0004]
삭제[0005]
삭제[0006]
이에 따라 번호판(11)을 고정하는 고정볼트(12)의 볼트머리부(13)는 벽이나 진입금지 블럭 등에 부딪히면 볼트[0007]
머리부(13)에 크랙이 발생 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고, 가벼운 차량 충돌시에도 상대 차량 범퍼에 자국이
생기게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구조적으로 볼트머리부(13)와 나사부(14)가 결합 되어 있어 충격이나 진
동에 의하여 볼트머리부(13)와 나사부(14)가 분리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자동차 번호판 고정볼트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7-0082102호에 개시되[0008]
어 있다.
상기 기술은, 도 3과 같이, 번호판을 범퍼(1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볼트머리부(13)를 상부사출부(15)와 하부사[0009]
출부(16)로 이루어지는 이중사출부로 구성한 것으로, 하부사출부(16)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성형하고, 상
부사출부(15)는 연질 합성수지로 성형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하여 상대 차량 범퍼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
록 하였고, 벽이나 진입금지 블럭에 충돌시 고정볼트(12)의 볼트머리부(13)가 크랙이 생기거나 파손되는 문제점
을 개선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부사출부(15)와 하부사출부(16)를 따로 성형하거나 이중사출 성형으로 제작하여야 하므로 고가의 금[0010]
형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제조가 까다롭고 어려우며, 나사부(14)와 서로 다른 이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충격
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의 내용
해결 하고자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 자동차 번호판 고정볼트를 제작하는데[0011]
있어서, 볼트머리부의 크랙과 파손을 방지하고, 볼트머리부와 나사부를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볼트머리부와 나사
부가 분리되는 문제를 개선하는 동시에 저비용으로 제작 가능하며, 외부 충격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는 고 신뢰성 자동차 번호판 고정볼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 번호판 고정볼트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번호판 고정볼트의 볼트머리부에 나타나[0012]
는 크랙과 파손을 방지하고, 볼트머리부와 나사부가 분리되지 않으면서도 외부 충격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얻
을 수 있는 고신뢰성 자동차 번호판 고정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 해결수단
등록특허 10-1185070
- 3 -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번호판 고정볼트 제조방법은, [0013]
차체에 자동차 번호판을 고정하기 위하여 나사산이 가공된 나사부를 제작하고, 상기 나사부를 회전시키기 위해[0014]
나사부와 연결된 볼트머리부를 제작하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재를 볼트머리부에 표면 처리하여 제작하는
자동차 번호판 고정볼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고정볼트의 모재가 되며, 속이 채워진 봉상의 금속봉을 제작하고자 하는 고정볼트의 전체 길이가 될 수 있는 길
이로 사전 계측하여 절단하는 금속봉 절단단계;
상기 단계를 통하여 절단된 금속봉을 준비된 금형틀에 투입하여 제작하고자 하는 고정볼트의 볼트머리부와 나사
부에 대응되는 모양으로 전체 형상을 형상화하는 1차 가공단계;
상기 1차 가공단계를 통하여 반가공 상태로 형상화된 고정볼트의 나사부를 인발다이를 통하여 인발하는 2차 가
공단계;
상기 2차 가공단계를 통하여 인발된 고정볼트의 볼트머리부의 외주면을 너트형상으로 가공하고 그 볼트머리부의
표면 동심을 축으로 표면상에 홈을 가공하는 볼트머리부 후 가공단계;
상기 2차 가공단계를 통하여 형성된 나사부의 표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태핑 가공단계 및 상기 볼트머리부 후
가공단계에서 형성된 볼트머리부의 표면 홈을 따라 표면처리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1차 가공단계에서 금형을 통해 형성되는 볼트머리부와 나사부는 그 경계면을 기준으로 둘레 외주연을 따라
오목홈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 가공단계에서 금형을 통해 형성되는 나사부는 하부로 갈수록 끝이 뾰족해지는 원추형으로 가공하여 형
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0015]
삭제[0016]
삭제[0017]
삭제[0018]
삭제[0019]
삭제[0020]
삭제[0021]
효 과
본 발명은 볼트머리부와 나사부로 구성되는 자동차 번호판 고정볼트를 금속재를 사용하여 일체형으로 제작함으
로써 볼트머리부의 크랙과 파손을 방지하고, 볼트머리부와 나사부가 분리되는 문제를 개선하는 동시에 저비용으
로 제작 가능하며, 외부 충격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는 고 신뢰성 자동차 번호판 고정볼트를 제공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0023]
등록특허 10-1185070
- 4 -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고정볼트 사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번호[0024]
판 고정볼트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번호판 고정볼
트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고정볼트의 다른 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번호판 고정볼트 제조방법은, 도 4와 같은 자동차 번호판 고정볼트(20)를 제조하기 위한[0025]
것이다.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고정볼트(20)는, 차체에 자동차 번호판을 고정하기 위하여 나사산(21)이
가공된 나사부(22)를 제작하고, 나사부(22)를 회전시키기 위해 나사부(22)와 연결된 볼트머리부(23)를 제작하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볼트머리부(23)의 표면(24)을 표면처리재(25)로 볼트머리부(23)의 표면(24)를 처리하여
제조한 것이다.
표면처리재(25)는 연질 합성수지재를 포함하여 상대 차량 범퍼나 차체에 접촉하여도 데미지를 주지 않고 충격을[0026]
흡수 완충시킬 수 있는 고무재 등과 같은 쿠션이 있는 다양한 소재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번호판 고정볼트 제조방법을 도 5의 (a) ~ (e)에 나타낸 공정도 및 도 6의 순서도를 참[0027]
고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 고정볼트(20)의 모재가 되며, 속이 채워진 봉상의 금속봉(30)을 제작하고자 하는 고정볼트의 전체 길이가[0028]
될 수 있는 길이로 사전 계측하여 절단한다.(S100)
(b) 상기 S100 단계를 통하여 절단된 금속봉(30)을 준비된 금형(31)에 투입하여 제작하고자 하는 도 4의 고정볼[0029]
트(20)와 같은 볼트머리부(23)와 나사부(22)에 대응되는 볼트머리부(32)와 나사부(33)로 이루어지는 전체 형상
을 형상화하는 1차 가공단계를 거친다.(S101)
(c) 이렇게 1차 가공단계를 통하여 반가공 상태로 형상화된 나사부(33)를 인발다이(34)를 통하여 인발 하는 2차[0030]
가공단계를 거친다.(S102)
(d) 2차 가공단계를 통하여 인발된 고정볼트의 볼트머리부(23)의 외주면을 너트형상으로 가공하고 그 볼트머리[0031]
부(23)의 표면 동심을 축으로 표면상에 홈(35)을 가공하는 볼트머리부 후 가공을 실시 한다.(S103)
(e) 2차 가공단계를 통하여 형성된 나사부(33)의 표면에 나사산(36)을 형성하는 태핑 가공(S104)을 실시하고,[0032]
상기 볼트머리부 후 가공단계에서 형성된 볼트머리부(32)의 표면 홈(35)을 따라 표면처리재(37)를 설치하는 단
계(S105)를 통하여 자동차 번호판 고정볼트 제조를 완성한다(S106).
여기서, 고정볼트(20)의 모재로 사용되는 금속봉(30)은 탄소함유량이 적정하면서도 취성이 적고 적절한 경도와[0033]
연신율이 있는 가공성이 우수한 소재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일반적인 볼트 소재로 사용되는 금속 소재이면
적당하다.
또한, 1차 가공단계에서 금형(31)을 통해 형성되는 금속봉(30)의 볼트머리부(32)와 나사부(33)는 그 경계면을[0034]
기준으로 둘레 외주연을 따라 오목홈(39)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S101단계에서는, 도 5의 (b)와 같이, 금속봉(30)의 볼트머리부(32)와 나사부(33) 경계면(38)에 오목[0035]
홈(39)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오목홈(39)은 단계 S102의 나사부(33)를 인발 하는 공정에서 연신 되어 바로 펼
쳐져 없어진다.
즉 금속봉(30)을 금형(31)에서 성형할 때 가압력으로 오목홈(39)이 형성될 수 있지만 인발다이(34)를 통해 연신
시키는 경우 금속봉(30)의 볼트머리부(32)와 나사부(33)의 경계면(38)에 형성되는 오목홈(39)은 바로 펴져서
없어지는데, 이와 같은 금속봉의 가압성형과 인발 성형을 동시에 실시하면 나사부(33)의 강도를 개선하는데 유
리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볼트머리부(32)와 나사부(33)의 경계면(38)에 형성되는 오목홈(39)은, 인발 공정으로 나사부(33)를 인발
가공으로 바로 펼쳐서 나사부(33)의 표면에 태핑 가공을 통하여 나사산(36)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나사부(33)가 하부로 갈수록 끝이 뾰족해지는 원추형으로 가공하여 고정볼트를 제작할 수
있다. 도 7과 같은 원추형 고정볼트의 제작은 1차 가공단계에서 금형(31)을 통해 형성되는 나사부(33)는 하부로
갈수록 끝이 뾰족해지는 원추형으로 가공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나사부(33)를 부분적으로 원추형으로 가공한 뒤
태핑 가공으로 제작 가능하다. 나사부(33)를 원추형으로 형성하는 경우, 금형(31)의 형상을 원추형 형상으로 제
작하고, 태핑 가공을 통해 나사산(36)을 형성하면 별도의 작업 없이 나사부(33)를 형성할 수 있다.
등록특허 10-1185070
- 5 -
삭제[0036]
삭제[0037]
삭제[0038]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도 4에 나타낸 고정볼트(20)는, 표면처리재(25)를 제외한 볼트머리부(23)와 나사부[0039]
(22)가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볼트머리부(23)와 나사부(22)가 동일한 재질로 제작되어 볼트머리부(23)와 나사부
(22)가 서로 분리되지 않으며, 또한 금형 성형과 기계 가공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복잡하지 않
은 단순 가공을 통하여 대량 제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표면처리재(37)를 고쿠션재 또는 충격 흡수 기능이 우수한 재료를 다양하게 선택하여 장착할 수 있으므로[0040]
종래와 같이 사출성형이 가능한 합성수지 재료 선택에 비해 완충 성능이 우수한 고성능의 완충재를 선택하여 장
착할 수 있다.
즉, 고정볼트 제조단계에서 볼트머리부(23)의 표면에 홈(35)을 가공하고 그 홈(35)에 표면처리재(37)를 돌출된[0041]
형태로 장착하면 된다. 완충재의 재료 선택은 사출 성형과 무관하게 고무재를 포함한 다양한 쿠션소재를 장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 차량과 접촉되는 부분은 고성능 표면처리재(37)에 의해 상대 차량에 적은 충격으로
접촉하여도 손상을 주지 않게 된다.
종래의 고정볼트 구조에 따르면 전면으로 노출된 사출물 표면에 충격이 전달되면 크랙이 발생 되거나 파손되지[0042]
만,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고정볼트는 표면처리재(37)를 고쿠션 연성 고무재 등과 같은 탄력 재질을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충격 전달 조건에서 파손이나 크랙이 생기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 및 명세서를 통하여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예시이다. 본 기술 분[0043]
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가 가능하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 번호판 고정볼트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식도.[0044]
도 2는 종래의 자동차 번호판 고정볼트를 나타낸 사시도.[0045]
도 3은 종래의 또 다른 자동차 번호판 고정볼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0046]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고정볼트 사시도. [0047]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번호판 고정볼트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0048]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번호판 고정볼트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0049]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고정볼트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0050]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0051]
20:고정볼트[0052]
21:나사산[0053]
22:나사부[0054]
23:볼트머리부[0055]
24:표면[0056]
25:표면처리재[0057]
30:금속봉[0058]
31:금형[0059]
등록특허 10-1185070
- 6 -
32:볼트머리부[0060]
33:나사부[0061]
34:인발다이[0062]
35:홈[0063]
36:나사산[0064]
37:표면처리재[0065]
38:경계면[0066]
39:오목홈[0067]
[0068]
도면
도면1
도면2
등록특허 10-1185070
- 7 -
도면3
도면4
등록특허 10-1185070
- 8 -
도면5
등록특허 10-1185070
- 9 -
도면6
도면7
등록특허 10-1185070
-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