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프로젝션 창의 환풍장치(ventilation fan device of projection window)

갈때까지가는거야 2018. 3. 21. 20:05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7년09월08일
(11) 등록번호 10-1777009
(24) 등록일자 2017년09월04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F24F 7/013 (2006.01) E06B 3/04 (2006.01)
E06B 7/02 (2006.01) F24F 13/18 (2006.01)
F24F 7/06 (2006.01) F24F 7/10 (2006.01)
(52) CPC특허분류
F24F 7/013 (2013.01)
E06B 3/04 (2013.01)
(21) 출원번호 10-2015-0135198
(22) 출원일자 2015년09월24일
심사청구일자 2015년09월24일
(65) 공개번호 10-2017-0036255
(43) 공개일자 2017년04월03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20150015712 A*
(뒷면에 계속)
(73) 특허권자
이성국
서울시 강남구 언주로104길 12-10, 101호(역삼동)
(72) 발명자
이성국
서울시 강남구 언주로104길 12-10, 101호(역삼동)
(74) 대리인
김성대
전체 청구항 수 : 총 1 항 심사관 : 이병결
(54) 발명의 명칭 프로젝션 창의 환풍장치
(57) 요 약
본 발명은 프로젝션 창의 환풍장치가 개시되는 것으로, 내측 둘레부를 따라 걸림프레임(1)이 구비되는 창틀프레
임(2)과 상기 창틀프레임(2)의 내측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상기 걸림프레임(1) 후방측에 위치되고 개폐손잡이
(3)가 구비되어 상기 개폐손잡이(3)를 잡고 밀어내는 것에 의해 상기 걸림프레임(1)의 후방측으로 밀어져 개방되
는 프로젝션 창(4)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프레임(1)과 프로젝션 창(4)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체결체
(10)와; 상기 복수개의 체결체(10)에 각각 체결되고 상기 걸림프레임(1)의 전방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상기 창틀
프레임(2)의 내측 모서리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고정브라켓(20)과; 상기 복수개의 고정브라켓(20)을 각각 연결하
는 복수개의 연결대(30)와; 상기 복수개의 고정브라켓(20)과 상부측이 힌지결합되고 내측 중앙에 환풍기(40)가
구비되는 개방덮개체(5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대 표 도 - 도1
등록특허 10-1777009
- 1 -
(52) CPC특허분류
E06B 7/02 (2013.01)
F24F 13/18 (2013.01)
F24F 7/06 (2013.01)
F24F 7/10 (2013.01)
F24F 2221/20 (2013.01)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200414567 Y1*
KR1020120064536 A
JP59037623 Y
KR1020120011487 A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등록특허 10-1777009
- 2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내측 둘레부를 따라 걸림프레임(1)이 구비되는 창틀프레임(2)과 상기 창틀프레임(2)의 내측 둘레부를 따라 구비
되는 상기 걸림프레임(1) 후방측에 위치되고 개폐손잡이(3)가 구비되어 상기 개폐손잡이(3)를 잡고 밀어내는 것
에 의해 상기 걸림프레임(1)의 후방측으로 밀어져 개방되는 프로젝션 창(4)과, 상기 걸림프레임(1)과 프로젝션
창(4)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체결체(10)와, 상기 복수개의 체결체(10)에 각각 체결되고 상기 걸림프
레임(1)의 전방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상기 창틀프레임(2)의 내측 모서리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고정브라켓(20)과, 상기 복수개의 고정브라켓(20)을 각각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대(30)와, 상기 복수개의 고정
브라켓(20)과 상부측이 힌지결합되고 환풍기(40)가 구비되는 개방덮개체(50)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체(10)는, 상기 걸림프레임(1)과 프로젝션 창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는 끼움고정편(11)과, 상기 끼움고
정편(11)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창틀프레임(2)의 내측에 위치되고 외면에 나사산이 구비되는 고정부(12)와, 상
기 고정부(12)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끼움고정편(11)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창틀프레임(2)의 내측에 위치
되는 걸림돌부(13)로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브라켓(20)은, 호형면(21)을 갖는 브라켓몸체(22)와, 상기 브라켓몸체(22)로부터 돌출되는 제1지지면
(23)과, 상기 브라켓몸체(22)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제1지지면(23)에 대해 수직되게 위치되도록 돌출되는 제2지
지면(24)과, 상기 브라켓몸체(22)를 관통하고 상기 체결체(10)의 고정부(12)가 끼워져 전면(25)측으로 돌출되는
끼움구멍(26)과, 상기 브라켓몸체(22)의 후면(27)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체(10)의 걸림돌부(13)가 끼워져 걸어지
는 걸림홈부(28)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브라켓몸체(22)의 전면(25)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체결체(10)의 고정부(12)에 나사체결되는 고정구(60)가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고정브라켓(20) 중 상기 창틀프레임(2)의 내측 상부모서리에 각각 위치되는 고정브라켓(20)에는
서로 마주보는 힌지돌기(29)가 각각 더 구비되고,
상기 개방덮개체(50)에는,
상기 개방덮개체(50)의 상단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상기 힌지돌기(29)와 각각
대응되는 힌지홈부(51)가 더 구비되어,
상기 힌지홈부(51)가 상기 힌지돌기(29)에 각각 끼워지는 것에 의해 상기 개방덮개체(50)가 상기 복수개의 고정
브라켓(20) 중 상기 창틀프레임(2)의 내측 상부모서리에 각각 위치되는 고정브라켓(20)과 힌지결합되도록 이루
어지며,
상기 개방덮개체(50)에 구비되는 환풍기(40)는, 상기 개방덮개체(5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개방덮개체(50)의 중앙에는 상기 복수개의 고정브라켓(20)을 연결하는 연결대(30) 중 상기 창틀프레임(2)
의 내측 상부모서리에 각각 위치되는 고정브라켓(20)을 연결하는 연결대(30)와 힌지결합되고 하단에 덮개손잡이
(52)를 갖는 개폐도어(53)가 더 구비되며,
상기 고정브라켓(20)의 후면에 구비되는 상기 걸림홈부(28)는 상기 끼움구멍(26)을 중심으로 상하좌우 각각에
배열되도록 4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창의 환풍장치.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삭제
청구항 4
등록특허 10-1777009
- 3 -
삭제
청구항 5
삭제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프로젝션 창의 환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를 돌린 상태에서 외부측으로 밀어서[0001]
열리도록 하는 프로젝션 창에 환풍기를 설치하되 프로젝션 창의 열고 닫음에 전혀 간섭을 주지 않도록 하고 설
치가 용이하여 설치에 따른 작업시간의 단축과 함께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키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비용절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한 프로젝션 창의 환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환풍기는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회전축을 갖는 전동모터와 전동모[0002]
터의 회전축에 맞물려 회전되는 환풍팬과 전동모터 및 환풍팬을 둘러싸는 하우징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환풍기는 대개 건물의 화장실이나 또는 지하들 등에 설치되어 내부의 냄새나 습기를[0003]
외부로 배기하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근자들어서는 여름철에 실내의 더운 공기를 밖으로 배기하거
나 또는 실내의 흡한 공기와 쾌쾌한 냄새를 밖으로 배출하기 위해 거실이나 사무실 또는 방 등에 설치되고
있다.
이외에도 예컨대, 흡연실과 같이 밀폐된 공간에서 흡연할 때 발생되는 담배연기를 밖으로 배출하거나 또는 가정[0004]
의 주방이나 식당 등의 주방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 발생되는 연기나 냄새를 밖으로 배출하기 위해 설치되고 있
다.
이와 같은 환풍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환풍기가 설치되는 공간의 벽면이나 또는 창틀의 창문에 필수적으로 구[0005]
멍을 뚫어 설치하여야 하는 바, 벽면이나 창문에 구멍을 뚫는 작업이 어렵고 더딜 뿐만 아니라, 구멍을 뚫는 과
정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먼지 등에 의해 주변에 해를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은 종래 환풍기를 설치함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실용 20-0469494호인 창틀 설[0006]
치형 환풍장치를 안출한 바 있으며, 이는 상부와 일측부에 각각 체결구멍이 통공되고 타측부에 막음벽이 절곡형
성되며 환풍구멍이 통공되어 창문이 설치되는 창틀의 일측에 상기 체결구멍에 체결되는 피스에 의해 고정되는
베이스체와, 상기 베이스체의 환풍구멍에 결합되고 내벽면에 지지편들이 일측이 연결되는 지지가이드와, 상기
지지가이드의 내측에 위치되어 지지가이드의 내벽면과 연결되는 지지편들의 타측이 연결되어 지지되는 베어링체
와 상기 베어링체에 축설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축설되되 창틀에 설치된 창문의 열림동작과 닫힘동작을
간섭하지 않도록 창문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환풍팬과, 상기 환풍팬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축을 구동
시켜 상기 환풍팬이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체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벽면이나 창문에 구멍을 뚫지 않고 환풍기를 설치하도록 하여 환풍기 설치에 따른 설치성[0007]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미닫이 즉, 양측 창문이 프레임에 의해 가이드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열리고 닫히는[0008]
미닫이 창문에는 설치가 가능한 반면, 프로젝션 창에는 설치함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프로젝션 창이라 함은, 하나의 프레임에 하나의 창이 구비되고 구비된 창이 프레임에 대해 밀려 열리거나 당겨[0009]
닫히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기존 미닫이 창문에 비해 밀폐 및 방음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근자들어서 고층의
건물이나 사무실, 아파트에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프로젝션 창의 경우 손잡이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창문이 열리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창문을 슬라이딩[0010]
방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미닫이 창에 설치되는 환풍장치를 설치함이 용이하지 못한 실정이다.
물론, 억지로 미닫이 창에 설치되는 환풍장치를 프로젝션 창에 설치하더라도 환풍기의 작동에 의해 실내의 공기[0011]
가 실외측으로 배기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프로젝션 창을 열어야 하는 바, 프로젝션 창의 전면측에 환풍장치가
등록특허 10-1777009
- 4 -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프로젝션 창을 열지 못하게 되고 결국, 환풍기를 작동시키더라도 공기의 배기가 이루어지
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등록실용 20-0469494호(2013.10.08. 등록) [0012]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등록실용 20-0458368호(2012.01.26. 등록)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손잡이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창문을 밀어 열 수 있도록 이루어진 프로젝션 창에 환풍기를 설치하고[0013]
설치된 환풍기에 의해 공기의 배기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환풍기를 설치하더라도 프로젝션 창의 열
고 닫음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한 프로젝션 창의 환풍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프로젝션 창의 환풍장치는, 내측 둘레부를 따라 걸림프레임이[0014]
구비되는 창틀프레임과 상기 창틀프레임의 내측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상기 걸림프레임 후방측에 위치되고 개
폐손잡이가 구비되어 상기 개폐손잡이를 잡고 밀어내는 것에 의해 상기 걸림프레임의 후방측으로 밀어져 개방되
는 프로젝션 창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프레임과 프로젝션 창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체결체와; 상기
복수개의 체결체에 각각 체결되고 상기 걸림프레임의 전방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상기 창틀프레임의 내측 모서리
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고정브라켓과; 상기 복수개의 고정브라켓을 각각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대와; 상기 복수
개의 고정브라켓과 상부측이 힌지결합되고 내측 중앙에 환풍기가 구비되는 개방덮개체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체결체는, 상기 걸림프레임과 프로젝션 창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는 끼움고정편과; 상기 끼움고정[0015]
편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창틀프레임의 내측에 위치되고 외면에 나사산이 구비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끼움고정편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창틀프레임의 내측에 위치되는 걸림돌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브라켓은, 호형면을 갖는 브라켓몸체와; 상기 브라켓몸체로부터 돌출되는 제1지지면과;
상기 브라켓몸체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제1지지면에 대해 수직되게 위치되도록 돌출되는 제2지지면과; 상기 브라
켓몸체를 관통하고 상기 체결체의 고정부가 끼워져 전면측으로 돌출되는 끼움구멍과; 상기 브라켓몸체의 후면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체의 걸림돌부가 끼워져 걸어지는 걸림홈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브라켓몸체의 전면
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체결체의 고정부에 나사체결되는 고정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복수개의 고정브라켓 중 상기 창틀프레임의 내측 상부모서리에 각각 위치되는 고정브라켓에는 서[0016]
로 마주보는 힌지돌기가 각각 더 구비되고, 상기 개방덮개체에는, 상기 개방덮개체의 상단 양측에 각각 구비되
어 상기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상기 힌지돌기와 각각 대응되는 힌지홈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힌지홈부가
상기 힌지돌기에 각각 끼워지는 것에 의해 상기 개방덮개체가 상기 복수개의 고정브라켓 중 상기 창틀프레임의
내측 상부모서리에 각각 위치되는 고정브라켓과 힌지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복수개의 고정브라켓을 각각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대 중 상기 창틀프레임의 내측 상부모서리에[0017]
각각 위치되는 고정브라켓을 연결하는 연결대와 상기 개방덮개체의 상부를 연결하는 경첩에 의해 상기 개방덮개
체가 상기 고정브라켓과 힌지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개방덮개체의 양측에는 환풍기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개방덮개체의 중앙에는 상기 복수개의 연결[0018]
대 중 상기 창틀프레임의 내측 상부모서리에 각각 위치되는 고정브라켓을 연결하는 연결대와 힌지결합되고 하단
에 덮개손잡이를 갖는 개폐도어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등록특허 10-1777009
- 5 -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손잡이를 잡은 상태로 실외측으로 밀어 창이 개방되도록 하는 프로젝션 창에 간단하게 환풍기를 설치[0019]
하도록 하여 프로젝션 창이 구비된 실내의 환풍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환풍기를 설치한 후 프로젝
션 창의 열고 닫음에 전혀 간섭을 받지 않으며, 프로젝션 창을 열어 환풍기를 작동시킴에 따라 환풍기를 설치하
기 위해 벽면이나 창에 구멍을 뚫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설치에 따른 작업성 및 작업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
고 누구나 쉽게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성이 크게 향상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인 프로젝션 창의 환풍장치가 설치된 프로젝션 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0020]
도 2는 본 발명인 프로젝션 창의 환풍장치의 구성요부 중 하나인 고정브라켓을 나타낸 정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프로젝션 창의 환풍장치의 구성요부 중 하나인 고정브라켓을 나타낸 후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프로젝션 창의 환풍장치가 프로젝션 창에 설치되는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프로젝션 창의 환풍장치가 프로젝션 창에 설치되는 구성을 나타낸 분해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프로젝션 창의 환풍장치가 프로젝션 창에 설치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프로젝션 창의 환풍장치를 프로젝션 창에 설치한 후 개방덮개체를 열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프로젝션 창의 환풍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0021]
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0022]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
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
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
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창의 환풍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0023]
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프로젝션 창의 환풍장치는, 내측 둘레부를 따라 걸림프레임(1)이 구비되는 창틀프[0024]
레임(2)과 상기 창틀프레임(2)의 내측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상기 걸림프레임(1) 후방측에 위치되고 개폐손잡
이(3)가 구비되어 상기 개폐손잡이(3)를 잡고 밀어내는 것에 의해 상기 걸림프레임(1)의 후방측으로 밀어져 개
방되는 프로젝션 창(4)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프레임(1)과 프로젝션 창(4)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체
결체(10)와, 상기 복수개의 체결체(10)에 각각 체결되고 상기 걸림프레임(1)의 전방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상기
창틀프레임(2)의 내측 모서리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고정브라켓(20)과, 상기 복수개의 고정브라켓(20)을 각각 연
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대(30)와, 상기 복수개의 고정브라켓(20)과 상부측이 힌지결합되고 내측 중앙에 환풍기
(40)가 구비되는 개방덮개체(5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프레임(1)을 갖는 창틀프레임(2)과 걸림프레임(1)의 후방측에 구비되고 개폐손잡이(3)를 갖는 프로젝[0025]
션 창(4)은, 개폐손잡이(3)를 잡은 상태에서 프로젝션 창(4)을 창틀프레임(2)의 후방측(실외측)으로 밀어 프로
젝션 창(4)이 개방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프로젝션 창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프로젝션 창(4)에 환풍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체결체(10)는 복수개의 고정브라켓(20)[0026]
등록특허 10-1777009
- 6 -
을 창틀프레임(2)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고, 상기 복수개의 연결대(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고정브라켓(20)을 연결하여 고정브라켓(20)을 지지함은 물론 상기 환풍기(40)가 구비되는 개방덮개체
(50)가 연결되는 수단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20)을 4개로 구비하고 상기 4개의 고정브라켓[0027]
(20)을 창틀프레임(2)에 고정하는 수단인 체결체(10) 역시 4개로 구비하며, 상기 4개의 고정브라켓(20)을 연결
하는 연결대(30) 역시 4개로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고정브라켓(20)과 체결체(10) 및 연결대(30)의
개수는 설치하고자 하는 프로젝션 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복수개의 체결체(10)를 먼저 걸림프레임(1)과 프로젝션 창(4) 사이에 위치하고[0028]
체결체(10) 각각에 고정브라켓(20)을 연결하여 고정한 다음 고정브라켓(20)과 고정브라켓(20)을 연결대(30)로
연결한 후 환풍기(40)가 구비된 개방덮개체(50)를 고정브라켓(20)의 상부측에 힌지연결하면 설치가 완료되는 것
으로, 이와 같이 간단한 구성에 의해 쉽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환풍기 설치전문가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쉽
게 프로젝션 창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체결체(10)는, 상기 걸림프레임(1)과 프로젝션 창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는 끼움고정편(11)과, 상기[0029]
끼움고정편(11)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창틀프레임(2)의 내측에 위치되고 외면에 나사산이 구비되는 고정부(1
2)와, 상기 고정부(12)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끼움고정편(11)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창틀프레임(2)의 내측
에 위치되는 걸림돌부(13)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체(10)의 끼움고정편(1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프레임(1)과 프로젝션 창(4) 사이의 공간에[0030]
끼워지는 것으로 끼움고정편(11)의 두께는 상기 걸림프레임(1)과 프로젝션 창(4)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끼워지
는 정도이면 족하다.
상기 외면에 나사산이 구비된 고정부(12)와 걸림돌부(13)는 각각 상기 끼움고정편(11)으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0031]
돌출되는 것으로, 이 때 상기 끼움고정편(11)이 끼워진 걸림프레임(1)의 전방측인 상기 창틀프레임(2)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고정브라켓(20)은, 호형면(21)을 갖는 브라켓몸체(22)와, 상기 브라켓몸체(22)로부터 돌출되는 제1지[0032]
지면(23)과, 상기 브라켓몸체(22)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제1지지면(23)에 대해 수직되게 위치되도록 돌출되는 제
2지지면(24)과, 상기 브라켓몸체(22)를 관통하고 상기 체결체(10)의 고정부(12)가 끼워져 전면(25)측으로 돌출
되는 끼움구멍(26)과, 상기 브라켓몸체(22)의 후면(27)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체(10)의 걸림돌부(13)가 끼워져
걸어지는 걸림홈부(28)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브라켓(20)의 후면에 구비되는 걸림홈부(2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구멍(26)을 중심으[0033]
로 상하좌우 각각에 배열되도록 4개로 구비되도록 도시하였으나, 걸림홈부(28)의 개수는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
니며 상기 고정브라켓(20)이 창틀프레임(2)의 내측에 위치되어 구비될 때 고정브라켓(20)의 가변 위치에 관계없
이 걸림홈부(28)에 상기 체결체(10)의 걸림돌부(13)가 끼워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걸림홈부(28)는 복수개로 구
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브라켓(20)의 끼움구멍(26)은 상기 브라켓몸체(22)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것으로, 이는 상기 끼[0034]
움구멍(26)의 후면(27)측으로 상기 체결체(10)의 고정부(12)가 끼워진 후 이 끼움구멍(26)에 끼워진 고정부(1
2)가 끼움구멍(26)의 전면(25)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고정구(60)에 의해 전면(25)측으로 돌출된 고정부(12)가
나사체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브라켓몸체(22)의 전면(25)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체결체(10)의 고정부(12)에 나사체결되는 고정[0035]
구(6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상기 체결체(10)와 고정브라켓(20)은, 프로젝션 창(4)이 구비되는 창틀프레임(2)에 상기 고[0036]
정구(6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체결체(10)와 고정브라켓(20)을 고정하는 것을 설명하면, 먼저 체
결체(10)의 끼움고정편(11)을 걸림프레임(1)과 프로젝션 창(4)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끼운 다음, 상기 끼움고정
편(11)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걸림돌부(13)가 상기 브라켓몸체(22)의 후면(27)에 구비된 걸림홈부(28)에 걸어
지도록 걸림돌부(13)와 걸림홈부(28)를 대응되게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체(10)의 고정부(12)를 고정브라켓
(20)의 끼움구멍(26)에 끼워준다.
또한, 고정브라켓(20)의 끼움구멍(26)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브라켓(20)의 전면(25)측으로 돌출된 고정부[0037]
(12)에 상기 고정구(60)를 나사체결하면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고정구(60)를 고정부(12)에 나사체결할 때 고
등록특허 10-1777009
- 7 -
정구(60)가 점차적으로 고정부(12)를 따라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체결체(10)의 끼움고정편(11)을 고정브라켓
(20)측으로 당겨주기 때문에 체결체(10)와 고정브라켓(20)이 견고하게 고정됨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체결체(10)와 고정브라켓(20)을 고정구(60)로 고정한 다음, 고정브라켓(20)에 연결대(30)를 연결하여[0038]
복수개의 고정브라켓(20)을 연결대(30)로 각각 연결하면 되는 것으로, 이 때 상기 고정브라켓(20)의 제1지지면
(23)과 제2지지면(24)에 각각 연결대(30)를 밀착시킨 후 연결대(30)와 제1지지면(23) 및 연결대(30)와 제2지지
면(24)을 예컨대 피스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체결하여 복수개의 고정브라켓(20)을 연결대(30)로 견고하게 연결하
여 하나의 박스형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복수개의 고정브라켓(20) 중 창틀프레임(2)의 내측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브라켓(20)과 상기 환풍기(40)가[0039]
구비된 개방덮개체(50)를 힌지연결하면 설치가 완료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개방덮개체(50)가 힌지연결되어 있
기 때문에 상기 개방덮개체(50)를 힌지회전하여 들어올리면 상기 프로젝션 창(4)이 자연스럽게 노출됨에 따라
프로젝션 창(4)의 열고 닫음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환풍기(40)를 작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개방덮개체(50)를 힌지회전하여 들어올려 프로젝션 창[0040]
(4)을 노출시키고 노출된 프로젝션 창(4)의 개폐손잡이(3)를 잡고 프로젝션 창(4)을 밀어 개방시킨 후, 들어올
려진 개방덮개체(50)를 내리고 환풍기(40)를 작동시키면 된다.
또한, 환풍기(40)의 작동을 정지할 경우에도 역시 상기 환풍기(40)를 작동시킬 때와 마찬가지로 개방덮개체(5[0041]
0)를 힌지회전하여 들어올려 프로젝션 창(4)이 노출되도록 한 다음 개폐손잡이(3)를 잡고 프로젝션 창(4)을 당
겨 닫아주면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복수개의 고정브라켓(20) 중 상기 창틀프레임(2)의 내측 상부모서리에 각각 위치되는 고정브라[0042]
켓(20)에는 서로 마주보는 힌지돌기(29)가 각각 더 구비되고, 상기 개방덮개체(50)에는, 상기 개방덮개체(50)의
상단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상기 힌지돌기(29)와 각각 대응되는 힌지홈부(51)가
더 구비되어, 상기 힌지홈부(51)가 상기 힌지돌기(29)에 각각 끼워지는 것에 의해 상기 개방덮개체(50)가 상기
복수개의 고정브라켓(20) 중 상기 창틀프레임(2)의 내측 상부모서리에 각각 위치되는 고정브라켓(20)과 힌지결
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브라켓(20) 중 상기 창틀프레임(2)의 내측 상부모서리에 각각 위치되는 고정브라켓(20)에[0043]
구비된 힌지돌기(29)에 상기 개방덮개체(50)에 구비된 힌지홈부(51)를 끼움 결합하여 쉽고 용이하게 개방덮개체
(50)와 고정브라켓(20)을 힌지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고정브라켓(20)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대(30) 중 상기 창틀프레임(2)의 내측 상부[0044]
모서리에 각각 위치되는 고정브라켓(20)을 연결하는 연결대(30)와 상기 개방덮개체(50)의 상부를 연결하는 경첩
(70)에 의해 상기 개방덮개체(50)가 상기 고정브라켓(20)과 힌지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고정브라켓(20)에 개방덮개체(50)를 연결하지 않고 상기 복수개의 고정브라켓(20)를 각각 연결하[0045]
는 복수개의 연결대(30) 중 상기 창틀프레임(2)의 내측 상부모서리에 각각 위치되는 고정브라켓(20)을 연결하는
연결대(30)에 경첩(70)을 이용하여 힌지연결할 수 있는 것으로, 이 때에도 상기 개방덮개체(50)는 상기 경첩
(70)에 의해 힌지회전되어 열리고 닫힘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개방덮개체(50)에 구비되는 환풍기(40)는, 상기 개방덮개체(5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0046]
상기 개방덮개체(50)의 중앙에는 상기 복수개의 고정브라켓(20)을 연결하는 연결대(30) 중 상기 창틀프레임(2)
의 내측 상부모서리에 각각 위치되는 고정브라켓(20)을 연결하는 연결대(30)와 힌지결합되고 하단에 덮개손잡이
(52)를 갖는 개폐도어(53)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개방덮개체(50)의 중앙에 개폐도어(53)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프로젝션 창(2)을 노출시킬 때 상기[0047]
개폐도어(53)만을 들어올려 프로젝션 창(2)을 노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무거운 중량을 갖는 환풍기(40)를 들어
올리지 않아도 되어 사용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개방덮개체(50)의 양측에 각각 환풍기(40)를 구비함에 따
라 예를 들어 길이가 긴 프로젝션 창에 환풍기(40)를 복수개로 설치할 수 있어 환풍작용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
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개폐도어(53)는 프로젝션 창(4)의 개폐손잡이(3)와 대응되는 위치에 오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0048]
하며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풍기(40)를 2개의 도시하였으나 환풍기(40)의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물
론 아니다.
등록특허 10-1777009
- 8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0049]
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
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0050]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 : 걸림프레임 2 : 창틀프레임[0051]
3 : 개폐손잡이 4 : 프로젝션 창
10 : 체결체 11 : 끼움고정편
12 : 고정부 13 : 걸림돌부
20 : 고정브라켓 21 : 호형면
22 : 브라켓몸체 23 : 제1지지면
24 : 제2지지면 25 : 브라켓몸체 전면
26 : 끼움구멍 27 : 브라켓몸체 후면
28 : 걸림홈부 29 : 힌지돌기
30 : 연결대 40 : 환풍기
50 : 개방덮개체 51 : 힌지홈부
52 : 덮개손잡이 53 : 개폐도어
60 : 고정구 70 : 경첩
등록특허 10-1777009
- 9 -
도면
도면1
도면2
등록특허 10-1777009
- 10 -
도면3
등록특허 10-1777009
- 11 -
도면4
등록특허 10-1777009
- 12 -
도면5
등록특허 10-1777009
- 13 -
도면6
등록특허 10-1777009
- 14 -
도면7
등록특허 10-1777009
- 15 -
도면8
등록특허 10-1777009
-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