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장 및 벽체패널(The ceiling and wall panel)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1년09월16일
(11) 등록번호 10-1065090
(24) 등록일자 2011년09월07일
(51) Int. Cl.
E04B 9/04 (2006.01) E04F 13/08 (2006.01)
E04C 2/38 (2006.01)
(21) 출원번호 10-2008-0111172
(22) 출원일자 2008년11월10일
심사청구일자 2008년11월10일
(65) 공개번호 10-2010-0052242
(43) 공개일자 2010년05월19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200436794 Y1*
US20080086962 A1*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송권용
서울 성북구 돈암동 609-1 한신아파트 111-1705
송우용
서울 성북구 돈암동 609-1 한신아파트 111-1402
(72) 발명자
송우용
서울 성북구 돈암동 609-1 한신아파트 111-1402
송권용
서울 성북구 돈암동 609-1 한신아파트 111-1705
(74) 대리인
이대선
전체 청구항 수 : 총 2 항 심사관 : 김록배
(54) 천장 및 벽체패널
(57) 요 약
본 발명은 제작공정을 대폭적으로 단순화시켜 제작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설치가 매우 용이한 구조로 이루
어지며, 별도의 마무리 작업을 행하지 않더라도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천장 및
벽체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장 또는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수단(20)에 결합되는 천장 및 벽체패널에 있어서, 사각
형상을 이루는 판부재(31)가 구비되고, 이 판부재(31)는 각 단부측에 상호 포개지도록 접어서 형성되는 헤밍단부
(32)와, 이 헤밍단부(32)에 일체로 형성되어 수직 연장되도록 절곡되며 상기 판부재(31)의 양측에 대향되도록 위
치되어 상기 고정수단(20)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체결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부(33)는 상기
헤밍단부(32)에 의해 상기 판부재(31)의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로 형성된 천장 및 벽체패널이 제공된다.
대 표 도 - 도2
등록특허 10-1065090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천장 또는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수단(20)에 결합되는 패널(30)에 있어서;
상기 패널(30)은 사각형상을 이루는 판부재(31)와;
이 판부재(31)의 각 단부측에 상호 포개지도록 접어서 형성되는 헤밍단부(32)와;
이 헤밍단부(32)에 일체로 형성되어 수직 연장되도록 절곡되며, 상기 판부재(31)의 양측에 대향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고정수단(20)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체결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부(33)는 상기 헤밍단부(32)에 의해 상기 판부재(31)의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33)에는 그 선단에 하부 및 양단부가 개방된 채널형상의 가이드단부(34)가 형성되되, 이 가이드단
부(34)의 일측에는 결합공(35)이 형성되며;
상기 패널(30)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되거나 또는 상하방향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가이드단부(34)가 상기 고정
수단(20)에 결합된 후에, 상기 결합공(35)에 의해 상기 고정수단(20)의 일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천장 및 벽체패널.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31)에는 상기 체결부(33) 사이에 대향 위치되도록 상기 헤밍단부(32)로부터 수직
연장되는 보강부(36)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및 벽체패널.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천장 및 벽체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외관이 미려할 뿐만[0001]
아니라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천장 및 벽체패널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천장 또는 실내외 벽체에는 인테리어 측면을 고려하여 콘크리트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수단[0002]
에 의해 결합되는 천장패널 또는 벽체패널이 구비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패널의 일례로 종래의 천장패널을
도시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천장패널(10)은 천장에 매달린 상태에서 저면이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하부판[0003]
(11)과, 이 하부판(11)의 상부에 결합되는 브라켓(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판(11)과 브라켓(12)은
별도로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판(11)의 일면에 용접결합되는 볼트(13)에 체결되어 상호 결합되도록 되어 있
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에 의한 종래의 천장패널(10)은 상기 하부판(11)과 브라켓(12)을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는[0004]
번거로움이 따르며, 또한 별도로 구비되는 두 개의 부재를 상호 결합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상기 하부판(11)에는
별도의 볼트(13)를 용접해야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브라켓(12)은 상기 볼트(13)에 체결되도록 볼트공을 형성된
결합면을 갖도록 펀칭 및 벤딩작업 등이 추가되어 제작공정이 복잡하고, 두 개의 부재를 상호 결합되는 별도의
조립작업이 더 추가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판(11)은 그 두께가 너무 얇게 되면 견고함이 떨어지게 되므로 대략 3mm 정도의 판부재를 사용하[0005]
여야 하므로, 그에 따라 재료를 구입하는 데에 소요되는 비용이 클 뿐만 아니라 절단된 단부는 안전사고 및 미
등록특허 10-1065090
- 2 -
관을 고려하여 별도의 트리밍 작업과 같은 마무리 공정을 더 추가해서 제작해야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0006]
발명의 내용
해결 하고자하는 과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제작공정을 대폭적으로 단순화시켜 제[0007]
작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설치가 매우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별도의 마무리 작업을 행하지 않더라도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천장 및 벽체패널에 관한 것이다.
과제 해결수단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천장 또는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수단(20)에 결합되는 패널(30)에 있어서, 사각[0008]
형상을 이루는 판부재(31)가 구비되고, 이 판부재(31)는 각 단부측에 상호 포개지도록 접어서 형성되는 헤밍단
부(32)와, 이 헤밍단부(32)에 일체로 형성되어 수직 연장되도록 절곡되며 상기 판부재(31)의 양측에 대향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고정수단(20)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체결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부(33)는 상
기 헤밍단부(32)에 의해 상기 판부재(31)의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및 벽체패
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33)에는 그 선단에 하부 및 양단부가 개방된 채널형상의 가이드단[0009]
부(34)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단부(34)의 일측에는 결합공(35)이 형성되며, 상기 패널(30)은 수평방향으로 슬
라이드되거나 또는 상하방향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가이드단부(34)가 상기 고정수단(20)에 결합된 후에, 상기 결
합공(35)에 의해 상기 고정수단(20)의 일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및 벽체패널이 제공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판부재(31)에는 상기 체결부(33) 사이에 대향 위치되도록 상기 헤밍단[0010]
부(32)로부터 수직 연장되는 보강부(36)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및 벽체패널이 제공된다.
효 과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판부재(31)의 각 단부는 상호 포개지도록 접혀진 헤밍단부(32)가 형성되고,[0011]
이 헤밍단부(32)에는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체결부(33)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판부재(31)의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헤밍단부(32)에 의해 판부재(31)의 단부 두께를 두껍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판부재
(31) 자체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더라도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얇은 판부재(31)를
사용하여 제작이 가능하여 재료를 구입하는 데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헤밍단부(32)는 단부를 접어서 형성되는 것이므로 상기 판부재(31)의 단부를 별도로 트리밍할 필요가[0012]
없으므로 마무리 공정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제작방법상 단부가 둥글게 형성되므로 제작 또는 설치시
에 손에 상처를 입을 염려가 적어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부재을 상호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판부재(31)를 절곡 및 헤밍하여 제작되므로 제작공정 대폭적으로 단순화시킬 수 있어 제작이 매
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부재를 상호 결합할 때에 형성되는 체결물 또는 결합부위가 형성되지 않아 외관상 깔끔
한 느낌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33)에는 가이드단부(34)가 형성되어 천장 또는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수단(20)에 슬라이드되도[0013]
록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수단(20)의 일정 위치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결합공(35)이 형성됨으로써, 본
고안의 패널(30)을 고정수단(20)에 걸친 상태에서 슬라이드시켜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수단
(20)의 일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가 되어 패널(30)이 흔들리거나 이탈되지 않아 보다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
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등록특허 10-1065090
- 3 -
또한 상기 가이드단부(34)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고정수단(20)에 끼워지도록 구비됨으로써, 각 패널(30)은 천장[0014]
이나 벽체에 설치된 후에 인접한 패널(30)에 간섭됨이 없이 개별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되어 각각의 패널(30)이
모두 액서스 해치(access hatch)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판부재(31)에는 상기 체결부(33)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양측에 헤밍단부(32)로부터 수직 연장되는 보강부[0015]
(36)가 더 형성됨으로써, 상기 헤밍단부(32)에 의한 보강정도를 더욱 견고하게 하여 판부재(31)의 휨 또는 변형
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0016]
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와 단면도 그리고 다양한 결합방법을 도시한 것이[0017]
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패널(30)은 사각형상을 이루는 판부재(31)가 구비되고, 이 판부재(3
1)의 각 단부는 상호 포개지도록 접혀진 헤밍단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판부재(31)의 양측에는 상기
헤밍단부(32)에 일체로 형성되어 수직 연장되도록 절곡된 격벽 형태의 체결부(33)가 형성되고, 상기 판부재(3
1)의 다른 양측에는 상기 체결부(33)에 유사한 형태로 상기 헤밍단부(32)에 일체로 형성되어 수직 연장되는 보
강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에, 상기 체결부(33)는 상기 판부재(31)의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에서 상부로 수
직 연장되고, 그 선단에는 하부 및 양단이 개방된 채널형상의 가이드단부(34)가 형성되며, 이 가이드단부(34)에
는 대략 그 중앙부에 장공형태의 결합공(35)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패널(30)은 하나의 판부재(31)를 펀칭하거나 절곡 또는 헤밍(hemming)하여 제[0018]
작하게 되는데, 대략적인 제작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의 판부재(31)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알루미늄 또는 스틸재의 원판을 프레스공정 등에[0019]
의해 정해진 규격대로 펀칭하여 모서리 부분을 절단함과 동시에 상기 결합공(35)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판부재(31)의 전면에 걸쳐 일정 패턴의 타공(37)을 형성하게 된다. 이후에, 벤딩공정에 의해 상
기 가이드단부(34)를 절곡 형성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단부(34)의 형성 이후에는 헤밍공정에 의해 상기 판부재
(31)를 접어서 헤밍단부(32)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체결부(33)를 절곡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공정은 필요
에 따라 전후의 제작공정이 바뀔 수도 있으나, 대체적으로 전술된 바와 같은 프레스공정과 벤딩공정 그리고 헤
밍공정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제작공정은 대개 수작업에 의하기보다는 각 공정에 해당되는 장치에 의해
용이하게 제작되므로, 종래처럼 용접이나 조립과 같은 수작업을 수반하지 않게 되어 제작상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패널(30)은 건축물의 천장 또는 벽체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건축물의 천장 또는 실내외의[0020]
벽체에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그 일례로 천장에 설치될 때의 다양한 설치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에는 패널(30)을 설치하기 위한 고정수단(20)에 결합되는데, 상기 고정수단(20)[0021]
은 프레임(21)과 이 프레임(21)에 결합된 브라켓(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브라켓(22)은 본 고안
의 패널(30)의 체결부(33)에 대응되도록 간격을 두고 구비될 뿐만 아니라 상기 가이드단부(34)에 대응되는 채널
형상의 단부가 형성되고, 그 단부의 중간에는 상기 가이드단부(34)에 형성된 결합공(35)에 대응된 결합돌기(2
3)가 형성되어 본 고안의 패널(30)이 상기 고정수단(20)의 일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30)은 상기 고정수단(20)의 브라[0022]
켓(22) 단부에 걸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결합되고, 이후에 패널(30)을 고정할 때에는 작업자
가 소정의 높이로 패널(30)을 들어서 상기 결합공(35)의 위치를 상기 결합돌기(23)에 맞추어 상호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때에 상기 체결부(33)의 돌출높이(H)(도 5에 도시됨)는 상기 브라켓(22) 단부의 돌출높이(h)(도 5에
도시됨)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패널(30)이 상기 브라켓(22)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방향으
로 움직일 수 있는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30)은 상기 고정수단(20)의 브라켓(22)에 상하방향[0023]
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는데, 이때에 상기 체결부(33)는 전술된 바와 같이 브라켓(22) 단부의 돌출높
등록특허 10-1065090
- 4 -
이(h)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돌출높이(H)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브라켓(22)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형
성되고, 상기 가이드단부(34)는 상기 브라켓(22)에 걸친 상태에서 좌우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채널폭(W)
을 형성하여 내향되도록 형성되게 된다.
도 5의 (a) 내지 (d)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패널(30)을 브라켓(22)으로부터 분리해 내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0024]
패널(30)의 가이드단부(34)에 형성된 결합공(35)이 브라켓(22)의 결합돌기(23)에 끼워져서 고정된 상태(도 5의
(a))로 설치되고, 이를 분리해 낼 때에는 패널(30)을 상부로 밀어 올려 상기 결합돌기(23)로부터 패널(30)을 분
리하게 되며(도 5의(b)), 이 패널(30)을 밀어 올린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움직인 후에(도 5의(c)), 패널(30)의
일측의 브라켓(22)의 하부로 빼내어 분리하게 된다(도 5의(d)). 이는 패널(30)을 분리하는 과정에 한정되는 것
이 아니라 전술된 바와 같은 분리방법의 역순으로 하면 패널(30)을 결합할 때에도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패널(30)은 인접된 다른 패널(30)에 간섭됨이 없이 상하방향으로 착탈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하방향의 착탈구조는 패널(30) 설치된 이후에 개별적으로 착탈 가능한 구조를 이루게 되고, 이는 각각[0025]
의 패널(30)이 모두 액서스 해치(access hatch)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인테리어 측면뿐만 아니라 전기배
선 등의 점검 및 보수작업 측면에서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패널(30)이 고정수단(20)에 결합됨에 있어서, 상호 인접한 상태 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0026]
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30)이 이격된 상태로 고정수단(20)에 결합된
경우에도 상기 헤밍단부(32)에 의해 체결부(33)가 판부재(31)의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에서 수직 연장되므로, 저
면에서 볼 때에 상기 체결부(33)는 상기 판부재(31)에 의해 상기 체결부(33)가 가려진 상태가 되므로 외관상 깔
끔한 느낌을 주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체결부(33)와 보강부(36)는 수직 연장된 상태로 구비된 것이어서 판
부재(31)의 상부를 가려주는 차단막 역할을 더 할 수 있어 천장을 포함한 실내외 인테리어 측면에서 보다 다양
한 연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패널(30)은 종래처럼 3mm 정도의 후판을 사용하여 제작하기보다는 그 절반에 해당하는[0027]
1.5mm 정도의 박판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5mm 정도의 박판을 사용하더라도 본 고안의 헤밍단
부(32)에 의해 박판이 상호 겹쳐지면서 판부재(31)의 단부는 3mm를 형성하게 되므로, 종래의 후판에 상응하는
견고함을 발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체결부(33)와 보강부(36)에 의해 판부재(31)의 휨이나 변형 등을 방
지하여 견고한 패널(30)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후판 대신 박판의 판부재(31)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0028]
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
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의 천장패널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0029]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0030]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0031]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0032]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결합방법을 도시한 순서도[0033]
도 6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저면도[0034]
등록특허 10-1065090
- 5 -
도면
도면1
도면2
등록특허 10-1065090
- 6 -
도면3
도면4
등록특허 10-1065090
- 7 -
도면5
등록특허 10-1065090
- 8 -
도면6
등록특허 10-1065090
-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