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도로표지판 제조방법 및 도로표지판(manufacturing method for road signs and the road signs)

갈때까지가는거야 2018. 3. 21. 20:04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1년09월14일
(11) 등록번호 10-1064545
(24) 등록일자 2011년09월06일
(51) Int. Cl.

E01F 9/00 (2006.01)
(21) 출원번호 10-2011-0022756
(22) 출원일자 2011년03월15일
심사청구일자 2011년03월15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2010224073 A
JP2009266409 A
KR200415916 Y1
(73) 특허권자
유한회사 삼신기업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팔복동2가 108-1
(72) 발명자
이종찬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3가 1473-1 서곡L
G아파트 101동 101호
(74) 대리인
김광술
전체 청구항 수 : 총 5 항 심사관 : 신석효
(54) 도로표지판 제조방법 및 도로표지판
(57) 요 약
본 발명은 지주나 가로보에 결합되는 도로표지판에 있어서, 알루미늄 합금의 단위표지판에 리벳통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리벳통공의 전면 끝부분에 오목한 자리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자리홈에 원주를 따라 오목한 링홈
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위표지판의 배면에 상기 리벳통공에 대응되는 리벳통공이 형성된 앵글을 맞대는 단계,
상기 단위표지판의 리벳통공과 앵글의 리벳통공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알루미늄 합금재질의 리벳을 삽입하여 리벳
의 양단을 두드려 리벳이 리벳통공내에서 압착되면서 리벳의 일부가 자리홈에 밀려들어가 단위표지판과 앵글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앵글에 조인트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조인트를 지주의 가로보에 결합하는 단계, 을 포함하
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제조방법 및 리벳통공이 형성된 단위표지판, 상기 리벳통공의 전면
에 형성된 자리홈, 상기 단위표지판의 리벳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리벳통공이 형성되는 앵글, 상기 단위표지판
의 리벳통공과 상기 앵글의 리벳통공 사이에 리벳이 삽입되어 리벳의 끝부분을 두드려 압착시킴으로써 리벳의 일
부가 상기 자리홈에 밀착되어 결합된 도로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대 표 도 - 도4
등록특허 10-1064545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지주나 가로보에 결합되는 도로표지판에 있어서,
알루미늄 합금의 단위표지판에 리벳통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리벳통공의 전면 끝부분에 오목한 자리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자리홈에 원주를 따라 오목한 링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위표지판의 배면에 상기 리벳통공에 대응되는 리벳통공이 형성된 앵글을 맞대는 단계;
상기 단위표지판의 리벳통공과 앵글의 리벳통공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알루미늄 합금재질의 리벳을 삽입하여 리
벳의 양단을 두드려 리벳이 리벳통공내에서 압착되면서 리벳의 일부가 자리홈에 밀려들어가 단위표지판과 앵글
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앵글에 조인트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조인트를 지주의 가로보에 결합하는 단계;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제조방법.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에 형성된 리벳통공의 후면에 오목한 자리홈을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판 제조방법.
청구항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리홈에는 압착되는 리벳의 일부가 밀려들어가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링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도로표지판 제조방법.
청구항 4
지주나 가로보에 결합되는 도로표지판에 있어서,
리벳통공이 형성된 단위표지판(210);
상기 리벳통공의 전면에 형성된 자리홈(212);
상기 단위표지판의 리벳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리벳통공이 형성되는 앵글(220);
상기 단위표지판의 리벳통공과 상기 앵글의 리벳통공 사이에 리벳(230)이 삽입되고, 상기 리벳의 끝부분을 두
드려 압착시킴으로써 리벳의 일부가 상기 자리홈에 압착되어 결합된 도로표지판.
청구항 5
제4항에 있어서,
등록특허 10-1064545
- 2 -
상기 자리홈(212)에는 링홈(214)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도로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지판을 리벳 결합할때 이음매 부분이 매끄럽도록 하여[0001]
난반사를 방지함으로써 시인성을 향상시킨 도료표지판 제조방법 및 도로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도로표지판은 도로교통의 안전을 위한 교통표지의 총칭. 즉, 교통 안전에 필요한 주의·규제·지시[0002]
등을 표시하는 표지판 또는 도로 바닥에 표시하는 기호·문자·선 등을 말한다.
도로표지판은 도로상태가 위험하거나 도로 또는 그 부근에 위험물이 있는 경우(주의표지), 도로교통의 안전을[0003]
위하여 각종 제한·금지 등 규제를 하는 경우(구제표지, 도로의 통행방법·통행구분 등 지시를 하는 경우(지시
표지), 상술한 3가지 주기능을 보충하기 위한 경우(보조표지), 각종 주의·규제·지시 등의 내용을 노면에 기호
·문자·선으로 알리는 경우(노면표지) 등이다
교통안전시설 중 하나인 도로표지판은 도로이용자에 대하여 필요한 정보를 사전에 정확하게 전달하고, 또한 통[0004]
일되고 균일한 행동이 이루어지도록 통제함으로써 교통의 소통을 증진시키고, 도로상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이다.
도로표지판은 도로변이나 행단보도를 지나는 도보이용자에도 필요하지만 대부분 차량이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도[0005]
록 설계되어 있다.
도로표지판은 크기와 형태 및 표기되는 기호, 문자, 선 등의 색상이나 글꼴 등 여러가지 제한규정이 있지만, 궁[0006]
극적으로 표지내용을 차량운전자가 차내에서 순간적으로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도로표지판은 시각적으로 인식하므로,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채도나 명도 및 글꼴 등 여러가지를 고려해야[0007]
한다. 또한 야간에도 시인성이 확보되어야하므로, 차량 전조등이 도료표지판에 빚추어질 때 난반사가 방지되어
야 한다. 난반사방지를 위해 특수한 도료가 개발되기도 하지만, 난반사의 가장 큰 원인은 도로표지판의 표면상
태이다.
도로표지판은 매끄러운 표면을 얻기 위해 가볍고 성형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합금이로 이루어진 알루미늄평판을[0008]
주로 사용한다.
도로표지판은 크기가 매우 다양하지만, 알루미늄 평판은 특정 규격으로 제조되므로, 도로표지판을 제작하기 위[0009]
해서는 단위 규격의 알루미늄평판을 여러개 이어붙여 제작한다.
알루미늄평판을 이어불일 때는 알루미늄평판과 알류미늄평판을 맞대어 접하는 부분을 용접하기도 하지만, 작업[0010]
시간이 오래걸리고 용접결함의 문제 등으로 최근에는 리벳이음이 대부분이다.
도 1과 도 2는 도로표지판의 일반적인 리벳이음을 도시한 것으로, 지주의 가로바(170), 조인트(160), 지지프레[0011]
임(150), 앵글(120), 단위표지판(110)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표지판(110)과 앵글(120)이 리벳이음되어 있다. 단위표지판(110)에 리벳통공(r[0012]
h)을 형성하고 대응되는 앵글(120)에도 리벳통공(rh)을 형성한 후 리벳(130)을 삽입하여 양쪽에서 두드려 단위
표지판(110)과 앵글(120)을 결합하는 것이다.
리벳(130)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져 있어 리벳통공(rh) 외부로 돌출된 부분을 망치와 같은 도구로 두드리[0013]
면 순간적으로 가압되어 끝부분이 펴지면서 단위표지판(110)과 앵글(120) 표면에 밀착되어 결합력이 발생된다.
또한 리벳을 두드리는 도구로 끝 부분이 오목한 반원형태나 원뿔형태를 갖도록 하면 압착된 리벳 부분이 반구형
이나 원뿔형태로 돌출시켜 정형화시킬 수도 있다.
압착된 리벳(130)의 끝부분이 비정형이거나 정형이더라도 결과적으로 돌출된 부분은 단위표지판(110)에 그대로[0014]
남게 된다. 단위표지판(110)에는 문자가 기호 등이 표기되므로 돌출된 부분이 있으면 빛이나 전조등을 비출때
등록특허 10-1064545
- 3 -
난반사되어 시인성을 저하시키므로 단위표지판(110)의 압착되어 전면으로 돌출된 리벳(130)의 끝부분은 어느 정
도 연마하여 돌출높이를 축소시킬 수는 있지만, 결합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단위표지판(110)과 동일평면이 될
때까지 연마할 수는 없다.
따라서, 리벳이음 자리는 어느정도 돌출된 상태로 남게 되는데, 이 부분 때문에 난반사 문제가 발생되어 도로표[0015]
지판의 시인성 저하 문제가 그대로 남게 된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리벳이음 자리가 돌출되지 않고 단위표지판과 동[0016]
일 평면을 갖도록 하여 빛이나 전조등이 비추어질때 굴절이나 난반사 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차량운전자로 하여
금 도로표지판에 대한 시인성을 높일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과제의 해결 수단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주나 가로보에 결합되는 도로표지판에 있어서,[0017]
알루미늄 합금의 단위표지판에 리벳통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리벳통공의 전면 끝부분에 오목한 자리홈을 형
성하는 단계; 상기 자리홈에 원주를 따라 오목한 링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위표지판의 배면에 상기 리벳통
공에 대응되는 리벳통공이 형성된 앵글을 맞대는 단계; 상기 단위표지판의 리벳통공과 앵글의 리벳통공을 일치
시킨 상태에서 알루미늄 합금재질의 리벳을 삽입하여 리벳의 양단을 두드려 리벳이 리벳통공내에서 압착되면서
리벳의 일부가 자리홈에 밀려들어가 단위표지판과 앵글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앵글에 조인트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조인트를 지주의 가로보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앵글에 형성된 리벳통공의 후면에 오목한 자리홈을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자리홈에는 압[0018]
착되는 리벳의 일부가 밀려들어가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링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리벳통공이 형성된 단위표지판; 상기 리벳통공의 전면에 형성된 자리홈; 상기 단위표지판의 리벳통공에[0019]
대응되는 위치에 리벳통공이 형성되는 앵글; 상기 단위표지판의 리벳통공과 상기 앵글의 리벳통공 사이에 리벳
이 삽입되어 리벳의 끝부분을 두드려 압착시킴으로써 리벳의 일부가 상기 자리홈에 밀착되어 결합된 도로표지판
을 제공하고자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단위표지판을 앵글에 리벳으로 결합할때, 리벳의 일부가 단위표지판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도[0020]
록 함으로써 단위표지판에 빛이나 차량의 전조등이 비추어도 리벳에 의한 굴절이나 난반사가 발생하지 않는다.
굴절이나 난반사가 발생되지 않으면 도로표지판에 표기된 문자가 기호등을 인식하는 방해요소가 제거되 시인성
이 높아지므로 도로표지판의 본래 목적인 교통의 소통을 증진시키고, 도로상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이다.
또한, 리벳의 일부가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자리홈에 수개의 링홈이나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리벳과[0021]
앵글사이의 구조적 결합강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요철없이 매끄러운 도로표지판을 구현하면서도 구조적인 신뢰
성도 높일 수 있고, 돌출된 리벳을 연마하는 공정이 사라지므로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 도로표지판의 분해사시도이다.[0022]
도 2는 종래 도로표지판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도로표지판의 단위표지판과 앵글이 리벳으로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등록특허 10-1064545
- 4 -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판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포표지판의 단위표지판과 앵글이 리벳으로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판에 형성되는 자리홈의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0023]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료표지판 제작에 사용되는 알루미늄합금 재질의 단위표지판(210)이 구비[0024]
된다. 단위표지판(210)은 크기에 따라 하나만으로도 도로표지판을 제작할 수 있지만, 대부분은 여러개의 단위표
지판(210)을 틈이 없이 이어붙여 제작한다.
단위표지판(210)은 두께가 5 ~ 10mm 정도로써 본 발명에서는 7mm 인 것을 사용한다. 단위표지판(210)을 이어 붙[0025]
일때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단위표지판(210)의 배면에 수개의 앵글(220)을 일체로 결합한다. 단위표지
판(210)의 두께는 예시한 것보다 더 얇거나 두껍게도 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7mm 정도이면 풍압이나 강도 등
여러 조건을 고려하면 가장 바람직한 두께이다.
단위표지판(210)의 가장자리에는 앵글(220)과 결합하기 위한 수개의 리벳통공(rh)을 형성한다. 리벳통공(rh)의[0026]
깊이는 단위표지판(210)의 두께와 동일하므로 깊이가 7mm이다. 리벳통공(rh)의 전면(단위표지판에 문자가 기호
가 표기되는 부분)에는 표면에서부터 깊이가 2 ~ 3mm 정도인 반구형의 오목한 자리홈(212)이 형성된다. 단위표
지판(210)의 후면은 앵글이 맞대어 결합되므로 자리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자리홈(212)의 깊이는 가감할 수 있지만, 너무 깊으면 후술하는 압착 단계에서 압착이 잘 되지 않아 자리홈[0027]
(212)에 리벳이 채워지지 않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너무 얇으면 풍압이나 진동 등 외부충격에 지속적으
로 노출되면 구조적 결합강도가 약해져 결합부분이 분리될 수도 있다.
단위표지판(210)의 리벳통공(rh)에 대응되는 앵글(220)의 바닥판에도 동일한 직경을 갖는 리벳통공(rh)이 형성[0028]
된다. 앵글(220)의 바닥판에 형성되는 리벳통공(rh)의 후면에는 리벳통공(rh)의 전면에 형성된 것과 마찬가지로
반구형의 오목한 자리홈(212)이 형성된다.
상기한 단위표지판(210) 리벳통공(rh)과 앵글(220)의 리벳통공(rh)을 일치시키고, 리벳(230)을 리벳통공(rh)에[0029]
삽입한 후 도구를 이용하여 리벳의 양단을 두드려 압착한다.
리벳(230)은 성형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두드리는 압력에 의해 압착되면서 끝부분이[0030]
눌려지고, 압착된 자리홈(212)으로 밀려들어가면서 압착된다.
자리홈(212)에 압착된 리벳(230)의 끝 부분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리홈(212)의 단턱에 걸린상태가 되므[0031]
로 단위표지판(210)이 앵글(220)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단위표지판(210)과 앵글(220)이 리벳이음된 상태에서, 여러개의 앵글(220)을 하나의 지지프레임(250)에 브라켓[0032]
(240)를 이용하여 볼트(245) 결합한다. 지지프레임(250)에는 조인트(26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인트(260)를
지주의 가로바(270)에 결합하면 도로표지판이 완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단위표지판(210)에 리벳통공(rh)을 형성한 후 반구형의 오목한 자리홈(21[0033]
2)을 형성하되, 자리홈(212)에 원주방향으로 수개의 링홈(214)을 형성한다. 링홈(214)을 2중,3중으로 형성할 수
도 있고, 그 이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링홈(214)의 깊이는 1mm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홈(214)이 형성되어 있으면 리벳(230)이 자리홈(212)에 압착되어 앵글(220)과 결합될 때, 리벳(230)의 일부가[0034]
링홈(214) 사이로도 파고들어가 결합력를 높일수 있다. 즉 리벳(230)이 압착될 때 리벳(230)의 일부가 자리홈
(212) 뿐만 아니라 링홈(214)으로도 파고들어가 이중으로 걸리게 되므로 앵글(220)과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리홈(212)에 다수의 걸림홈(216)을 형성하여 결합력을 높일수도 있다.
부호의 설명
210 : 단위표지판 212 : 자리홈[0035]
등록특허 10-1064545
- 5 -
214 : 링홈 220 : 앵글
230 : 리벳 rh : 리벳통공
240 : 브라켓 245 : 볼트
250 : 지지프레임 260 : 조인트
270 : 가로바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064545
- 6 -
도면2
등록특허 10-1064545
- 7 -
도면3
등록특허 10-1064545
- 8 -
도면4
등록특허 10-1064545
- 9 -
도면5
등록특허 10-1064545
- 10 -
도면6
등록특허 10-1064545
- 11 -
도면7
등록특허 10-1064545
- 12 -
도면8
등록특허 10-1064545
-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