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압커플러용 개폐구(The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a hydraulic coupler)
등록특허 10-0331040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51) 。Int. Cl.6
F15B 21/00
(45) 공고일자
(11) 등록번호
(24) 등록일자
2002년04월06일
10-0331040
2002년03월20일
(21) 출원번호 10-1999-0049443 (65) 공개번호 특2000-0006870
(22) 출원일자 1999년11월09일 (43) 공개일자 2000년02월07일
(73) 특허권자 김강열
부산 사상구 주례2동 3-16 신주례LG아파트 107-206
(72) 발명자 김강열
부산 사상구 주례2동 3-16 신주례LG아파트 107-206
(74) 대리인 김성환
심사관 : 백재홍
(54) 유압커플러용 개폐구
요약
본 발명은 유압커플러용 개폐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유압설비에서 유압을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유압
커플러의 플러그와 소켓의 내측에 설치되어 플러그와 소켓이 결합될 때, 각각의 개폐구가 서로를 밀어서 플러그와 소켓
의 유압통로를 개방시키는데 사용되는 유압커플러의 개폐구를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나도록 구성하여 그
에 따른 제작이 간편하고, 장기간을 사용하여도 내구성에 문제가 없도록 구성된 유압커플러용 개폐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각종 유압설비에서 유압을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유압커플러의 플러그(10)와 소켓(20)의 내측
에 설치되어 플러그(10)와 소켓(20)이 결합될 때, 각각의 개폐구가 서로를 밀어서 플러그(10)와 소켓(20)의 유압통
로를 개방시키는데 사용되는 유압커플러의 개폐구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는 버섯형상의 상부갓(1)과 하부갓(2)이 서로
대향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상하부갓(1, 2)이 접하는 테두리부에는 끼움홈(5)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갓(2)의 하부로는
이송로드(4)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5)에는 링형태의 패킹(3)을 부설하여 패킹(3)의 외주연이 끼움홈(5)에서 외향
돌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패킹(3)은 끼움홈(5)에 접착제로 본딩처리하여 부설한 후, 상하부갓(1, 2)의 테두리를 압
착하여 패킹(3)이 끼움홈(5)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표도
도 4
색인어
- 1 -
등록특허 10-0331040
커플러, 플러그, 소켓, 패킹, 접착제, 압착, 유압
명세서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유압커플러에 개폐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 개폐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갓 2 : 하부갓
3 : 패킹 4 : 이송로드
5 : 끼움홈 10 : 플러그
20 : 소켓 30 : 코일스프링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유압커플러용 개폐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유압설비에서 유압을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유압
커플러의 플러그와 소켓의 내측에 설치되어 플러그와 소켓이 결합될 때, 각각의 개폐구가 서로를 밀어서 플러그와 소켓
의 유압통로를 개방시키는데 사용되는 유압커플러의 개폐구를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나도록 구성하여 그
에 따른 제작이 간편하고, 장기간을 사용하여도 내구성에 문제가 없도록 구성된 유압커플러용 개폐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유압커플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을 공급하는 플러그(10)와 유압을 공급받는 소켓(20) 두 부분으
로 구성되는데, 상기 플러그(10)와 소켓(20)에는 각각 유압호스(도시 않음)가 연결된다.
상기의 플러그(10)와 소켓(20)의 내부에는 코일스프링(30)에 탄지되어 플러그(10)와 소켓(20)의 유압통로를 밀폐
하고 있는 개폐구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개폐구는 플러그(10)와 소켓(20)이 결합될 때 서로를 밀어서 유압통
로를 개방하도록 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압커플러는 유압을 공급하는 플러그(10)를 유압을 공급받는 소켓(20)에 결합시키면 자연적으로
양측의 개폐구가 서로를 밀어서 유압통로가 개방되어 플러그(10)에서 소켓(20)으로 유체나 가스가 이동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유압커플러의 내부에 설치되는 개폐구의 종래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통로를 긴밀히 밀
폐시킬 수 있도록 유압통로의 내부 형상과 형합되도록 버섯형상으로 제작된 상부갓(1)과, 상기 상부갓(1)의 하측방으
로 형성되어 코일스프링(30)에 탄지되는 한편 전체적인 이동을 안내하는 이송로드(4)와, 상기 이송로드(4)가 관통되
는 관통공(부호 없음)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갓의 하측방에 결합되는 판상의 패킹(3)과, 상기 이송로드(4)에 관통되는
- 2 -
등록특허 10-0331040
관통공(부호 없음)을 형성하여 상기 패킹(3)의 하측방에 결합되는 하부갓(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패킹(3)은 상부갓(1)과 하부갓(2)사이에 개재되어 상부갓(1)의 테두리 측방으로 다소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개폐구는, 하부갓(2)에 코일스프링(30)이 탄지되어 있으므로 상부갓(1)이 유압통로
를 막게 된다.
이때, 상부갓(1)만으로는 유압통로를 긴밀히 밀폐시키지 못하므로 상부갓(1)과 하부갓(2)사이에 개재된 고무재의 패
킹(3)이 코일스프링(30)의 탄지력으로 인해 유압통로의 내측 테두리에 밀착되어 유체나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역할
을 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유압커플러용 개폐구는, 상부갓(1)과 하부갓(2) 및 패킹(3)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
부갓(2)과 패킹(3)은 상부갓(1)의 저면에 형성된 이송로드(4)에 관통되어 결합되므로 상부갓(1)과 패킹(3) 및 하부
갓(2)사이에는 미세한 틈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미세한 틈을 형성한 상부갓(1)과 고무재의 패킹(3)으로 유압통로를 밀폐시킬 경우에는 상기 패킹(3)이
미세하게 변형되므로 유압통로에 긴밀히 밀착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어 플러그(10)가 소켓(20)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유체나 가스가 누출되는 일이 종종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패킹(3)이 변형되어 유체나 가스가 누출되면 개폐구를 교환하여야 하는데, 종래에는 이렇게 개폐구의 잦은
교체로 인하여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성
이 간단하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나도록 구성하여 그에 따른 제작이 간편하고, 패킹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하여 장기간을
사용하여도 유체나 가스의 누출위험이 거의 없는 유압커플러의 개폐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버섯형상의 상부갓과 하부갓이 서로 대향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상하부갓이 접하는 테두리부에
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갓의 하부로는 이송로드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에는 링형태의 패킹을 부설하여 패킹
의 외주연이 끼움홈에서 외향돌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 중 도 3 또는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압커플러용 개폐구는, 버섯형상의 상부갓(1)과 하부갓(2)이 서로 대향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상하부갓(1, 2)이 접하는 테두리부에는 끼움홈(5)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갓(2)의 하부로는 이송로드(4)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끼움홈(5)에는 링형태의 패킹(3)을 부설하
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패킹(3)은 외주연이 끼움홈(5)에서 외향돌출되도록 부설하여 돌출된 외주연이 유압통로에 밀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패킹(3)은 끼움홈(5)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착제로 본딩처리하여 끼움홈(5)과 패킹(3)과
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끼움홈(5)에 패킹(3)을 부설한 후에는 도 4에 도시된 확대부와 같이 상하부갓(1,
2)의 테두리를 압착하여 패킹(3)과 끼움홈(5)과의 결합력을 한층 더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 3 -
등록특허 10-0331040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개폐구는 상하부갓(1, 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와는 달리 미세한 틈이 형성되지 않으
며 그에 따라 전체적인 내구성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으며, 패킹(3)이 링(O-ring)형태로 제작되므로 코일스프링(30)
의 탄지력을 종래보다 조금만 받아도 패킹(3)의 최상단부가 유압통로에 긴밀히 밀착이 가능하여 유체나 가스의 누출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킹(3)을 끼움홈(5)에 부설할 때 패킹(3)의 내주연에는 접착제로 본딩처리하여 패킹(3)과 끼움홈(5)과의 결
합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패킹(3)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패킹(3)을 끼움홈(5)에 부설한 후에는 상하
부갓(1, 2)의 테두리를 압착하여 패킹(3)과 끼움홈(5)과의 결합력을 한층 더 강화시킬 수도 있다.
발명의 효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압커플러용 개폐구는,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상부갓과 하부갓을 일체로 형
성하여 내구성을 향상시켰으며, 끼움홈에 링형태의 패킹을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부설하여 적은 탄지력으로도 유압통
로를 긴밀히 밀폐시킬 수 있어 유체나 가스의 누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구성의 향상과 패킹의 변형이 방지되므로 개폐구를 교체하여야하는 번거러움을 줄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57)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각종 유압설비에서 유압을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유압커플러의 플러그(10)와 소켓(20)의 내측에 설치되어 플러그(10)
와 소켓(20)이 결합될 때, 각각의 개폐구가 서로를 밀어서 플러그(10)와 소켓(20)의 입구를 개방시키는데 사용되는
유압커플러의 개폐구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는 버섯형상의 상부갓(1)과 하부갓(2)이 서로 대향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상하부갓(1, 2)이 접하는 테두리
부에는 끼움홈(5)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갓(2)의 하부로는 이송로드(4)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5)에는 링형태의 패
킹(3)을 부설하여 패킹(3)의 외주연이 끼움홈(5)에서 외향돌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커플러용 개폐
구.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3)은 끼움홈(5)에 접착제로 본딩처리하여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커플러용 개폐
구.
청구항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5)에 패킹(3)을 부설한 후, 상하부갓(1, 2)의 테두리를 압착하여 패킹(3)
이 끼움홈(5)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커플러용 개폐구.
- 4 -
등록특허 10-0331040
도면
도면 1
- 5 -
등록특허 10-0331040
도면 2
도면 3
도면 4
-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