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쇼케이스용 착탈식 자동 회전 도어(Separating type auto-rotating door for showcase)

갈때까지가는거야 2018. 3. 20. 20:38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2년11월05일
(11) 등록번호 10-1196261
(24) 등록일자 2012년10월25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A47F 3/04 (2006.01) E06B 9/36 (2006.01)
(21) 출원번호 10-2010-0137726
(22) 출원일자 2010년12월29일
심사청구일자 2010년12월29일
(65) 공개번호 10-2012-0075847
(43) 공개일자 2012년07월09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20060113229 A*
JP2005213978 A*
KR2019970026816 U
KR2020100010692 U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권상우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 143, 무지개마을
702동 205호 (구미동)
(72) 발명자
권상우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 143, 무지개마을
702동 205호 (구미동)
전체 청구항 수 : 총 2 항 심사관 : 고정수
(54) 발명의 명칭 쇼케이스용 착탈식 자동 회전 도어
(57) 요 약
본 발명은 쇼케이스용 착탈식 자동 회전 도어에 관한 것이다. 그 구체적인 구성으로는, 다수의 회전막(30)이 구
비되고, 회전막(30)의 하부에는 마감캡(40)이 끼워지고, 상기 회전막(30)의 상부에는 선단에 기어(42)가 장착된
끼움돌기(41)가 중앙에 형성된 마감캡(40)이 끼워지며, 상기 회전막(30)의 하부에는 경사진 경사절곡부(45)를 갖
는 이슬받이(44)가 마감캡(40)과 회전막(30) 사이의 작은 틈새로 끼워짐에 따라, 회전막(30)의 표면에 발생되는
이슬이 낙하되어 이슬받이(44)를 통해 한곳으로 모여 배출되고, 상기 회전막(30)들은 상부에 끼워진 마감캡(40)
의 끼움돌기(41)를 매개로 설치프레임(20)의 상부프레임(21)에 형성된 끼움공(23)에 조립되며, 상기 상부프레임
(21)의 내측면에는 랙기어(43)가 내삽되는 레일홈(24)이 형성되고, 상부프레임(21)의 상면에는 상기 랙기어(43)
를 구동하는 모터(50)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프레임(21)의 상방으로는 센서(60)가 장착된 보호덮개(27)가 장착되
어, 센서(60)의 구동신호에 따른 모터(50)의 작동으로 인해 랙기어(43)가 상기 회전막(30)의 상부에 장착된 기어
(42)들을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막(30)이 개폐되는 구성이다.
대 표 도 - 도2
등록특허 10-1196261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다수의 회전막(30)이 구비되고, 회전막(30)의 하부에는 마감캡(40)이 끼워지고, 상기 회전막(30)의 상부에는 선
단에 기어(42)가 장착된 끼움돌기(41)가 중앙에 형성된 마감캡(40)이 끼워지며, 상기 회전막(30)의 하부에는 경
사진 경사절곡부(45)를 갖는 이슬받이(44)가 마감캡(40)과 회전막(30) 사이의 작은 틈새로 끼워짐에 따라, 회전
막(30)의 표면에 발생되는 이슬이 낙하되어 이슬받이(44)를 통해 한곳으로 모여 배출되고,
상기 회전막(30)들은 상부에 끼워진 마감캡(40)의 끼움돌기(41)를 매개로 설치프레임(20)의 상부프레임(21)에
형성된 끼움공(23)에 조립되며, 상기 상부프레임(21)의 내측면에는 랙기어(43)가 내삽되는 레일홈(24)이 형성되
고, 상부프레임(21)의 상면에는 상기 랙기어(43)를 구동하는 모터(50)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프레임(21)의 상방
으로는 센서(60)가 장착된 보호덮개(27)가 장착되어, 센서(60)의 구동신호에 따른 모터(50)의 작동으로 인해 랙
기어(43)가 상기 회전막(30)의 상부에 장착된 기어(42)들을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막(30)이 개폐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쇼케이스용 착탈식 자동 회전 도어.
청구항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20)의 하부프레임(22)의 상면은 경사진 배수경사면(26)으로 형성되고, 하부프레임(22)의 일측
에는 월류방지턱(25)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용 착탈식 자동 회전 도어.
청구항 3
삭제
청구항 4
삭제
청구항 5
삭제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쇼케이스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도어가 없는 오픈 쇼케이스의 전면에 자동[0001]
으로 회전되는 착탈식 회전 도어를 설치함으로써, 쇼케이스의 내부를 더욱 청결하게 유지할 뿐 아니라, 전력사
용량을 감소시키므로 유지관리에 더욱 유용한 쇼케이스용 착탈식 자동 회전 도어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도 1은 종래의 오픈식 쇼케이스의 사시도이다. 오픈식 쇼케이스(10)라 함은, 주로 편의점이나 제과점 등에서 다[0002]
양한 종류의 음료와 인스턴트식품 등을 장시간 진열하여 신선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진열하는 것으로서, 도 1에
서와 같이 진열선반(11)이 복층으로 구성된 진열공간(12)과 냉기를 생성하기 위한 냉장시스템을 비롯하여 쇼케
이스를 유지보수 하기 위한 구성 등이 포함된 기계실(13)로 크게 구분된다.
상기 냉장시스템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열교환기 및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냉매관 등으로 구성된 통상적[0003]
인 것으로서, 냉매가 반복 순환하면서 냉기가 생성되고 이 냉기는 송풍팬을 통해 상부의 진열공간(12)으로 공급
등록특허 10-1196261
- 2 -
되어 진열된 식품의 신선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오픈식 쇼케이스(10)는 애초에는 쇼케이스(10)의 전면에 미닫이식 도어가 설치되어 보급[0004]
되었으나, 도어를 열고 음식물을 꺼내는 과정이 소비자에게 불편 내지 귀찮은 요소로 인식되면서 도어가 설치된
쇼케이스는 인스턴트식품을 진열하는 것으로는 부적절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편의점 및 제과점에서는 인스턴트식품을 진열하기 위하여 도어가 없는 오픈식 쇼케이스(10)가[0005]
설치되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오픈식 쇼케이스(10)는 냉기가 계속적으로 보존되지 못하고 외부로 배출되는
구성임에 따라, 과도한 전력사용비가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외부의 먼지 등이 쇼케이스(10) 내부
로 침투됨에 따라, 신선 식품을 진열하는 것으로는 부적절하다는 의견 또한 있는 것이 현실이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신선한 인스턴트식품과 각종 음료 등을 외부에[0006]
서 유입되는 먼지들로부터 보호하여 더욱 신선하게 진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신선도를 높여주는 냉기가 외부
로 과도하게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쇼케이스용 착탈식 자동 회전 도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과제의 해결 수단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용 착탈식 자동 회전 도어의 구체적인 과제 해결 수단으로는, 다수의 회전막(30)이 구[0007]
비되고, 회전막(30)의 하부에는 마감캡(40)이 끼워지고, 상기 회전막(30)의 상부에는 선단에 기어(42)가 장착된
끼움돌기(41)가 중앙에 형성된 마감캡(40)이 끼워지며, 상기 회전막(30)의 하부에는 경사진 경사절곡부(45)를
갖는 이슬받이(44)가 마감캡(40)과 회전막(30) 사이의 작은 틈새로 끼워짐에 따라, 회전막(30)의 표면에 발생되
는 이슬이 낙하되어 이슬받이(44)를 통해 한곳으로 모여 배출되고, 상기 회전막(30)들은 상부에 끼워진 마감캡
(40)의 끼움돌기(41)를 매개로 설치프레임(20)의 상부프레임(21)에 형성된 끼움공(23)에 조립되며, 상기 상부프
레임(21)의 내측면에는 랙기어(43)가 내삽되는 레일홈(24)이 형성되고, 상부프레임(21)의 상면에는 상기 랙기어
(43)를 구동하는 모터(50)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프레임(21)의 상방으로는 센서(60)가 장착된 보호덮개(27)가
장착되어, 센서(60)의 구동신호에 따른 모터(50)의 작동으로 인해 랙기어(43)가 상기 회전막(30)의 상부에 장착
된 기어(42)들을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막(30)이 개폐되는 구성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용 착탈식 자동 회전 도어를 사용하게 되면, 오픈식 쇼케이스에 진열된 인스턴트식품과[0008]
각종 음료를 외부에서 유입되는 이물질로부터 보호하여 더욱 청결한 진열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데다, 신선도를
높여주는 냉기가 외부로 과도하게 유출되는 문제점이 해결되어 전력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투명한 아크릴 재질의 회전막의 표면을 이용하여 쇼케이스 내부에 진열된 각종 식품들에 대한 홍보를 용[0009]
이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본 발명이 기존의 쇼케이스에 착탈식으로 장착할 수 있는 것임을 고려할 때, 기
존의 시설물을 이용하여 더욱 향상된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의 오픈식 쇼케이스의 사시도[0010]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용 착탈식 자동 회전 도어의 분리 사시도
도 3, 4는 본 발명중 회전막과 상부프레임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중 센서와 보호덮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등록특허 10-1196261
- 3 -
도 6은 본 발명중 랙기어와 기어를 통한 회전막의 작동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중 이슬받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표시된 A-A선 단면도 및 B-B선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중 힌지 및 고무자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용 착탈식 자동 회전 도어의 결합 사시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도 1에 도시된 오픈식 쇼케이스(10)는 주로 편의점이나 제과점 등에서 다양한 종류의 음료와 인스턴트식품 등을[0011]
장시간 진열하여 신선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진열하는 것으로서, 도 1에서와 같이 진열선반(11)이 복층으로 구성
된 진열공간(12)과 냉기를 생성하기 위한 냉장시스템을 비롯하여 쇼케이스를 유지보수 하기 위한 구성 등이 포
함된 기계실(13)로 크게 구분된다.
본 발명은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오픈식 쇼케이스(10)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0012]
용 착탈식 자동 회전 도어로 인해, 불필요한 냉기의 유출을 보호하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로부터 진열
된 식품들을 더욱 위생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구성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0013]
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용 착탈식 자동 회전 도어의 분리 사시도로서, 먼저 다수의 회전막(30)을 설치[0014]
하기 위한 사각형태의 설치프레임(20)이 구비된다. 도 2의 하부에 도시된 원내확대도에서 보듯이, 회전막(30)의
하부에는 중앙에 끼움돌기(41)가 형성된 마감캡(40)이 끼워진다. 한편, 도 2의 상부에 도시된 원내확대도와 같
이 회전막(30)의 상부에 끼워지는 마감캡(40)의 끼움돌기(41)에는 기어(42)가 더 설치됨으로써, 이후에 설명하
는 랙기어(43)의 구동에 의해서 다수의 회전막(30)이 동시에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하부에 마감캡(40)이 끼워진 다수의 회전막(30)은 도 2에 도시된 하부프레임(22)과 상부프레임(21)에 형성된[0015]
끼움공(23)으로 끼움돌기(41)를 매개로 하여 장착된다. 상기 회전막(30)은 쇼케이스의 내부에 진열된 인스턴트
식품과 음료를 소비자가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투명한 아크릴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4는 본 발명중 회전막(30)과 상부프레임(21)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사시도이다. 도 3, 4에서[0016]
와 같이 상부프레임(21)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하였는바, 상부프레임(21)의 내부에는 마감캡(40)의 끼움돌기
(41)가 장착되는 끼움공(23)이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므로, 결국에는 다수의 회전막(30)이 일정한 간격
으로 설치된다.
한편, 도 3의 원내확대도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설치된 회전막(30)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도록 랙[0017]
기어(43)가 설치되는바, 상기 랙기어(43)는 상부프레임(21)의 측면에 형성된 레일홈(24)으로 내삽되는
구성이다.
도 4의 원내확대도와 같이 상기 랙기어(43)는 상부프레임(21)의 측면에 형성된 레일홈(24)에 좌우로 직선운동을[0018]
하도록 장착되고, 다수의 회전막(30)은 선단에 설치된 기어(42)를 매개로 랙기어(43)와 치합됨으로써, 랙기어
(43)의 직선운동이 기어(42)의 회전운동으로 변하면서 다수의 회전막(30)이 동시에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랙기어(43)의 직선운동은 도 4에서 보듯이 상부프레임(21)의 상면에 모터(50)가 설치되는바, 이 모터(50)의 구
동으로 인해 랙기어(43)가 직선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중 센서(60)와 보호덮개(27)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상기 상부프레임(21)의 상면에[0019]
설치된 모터(50)가 외부에 인식되지 않도록 상부프레임(21)의 상방으로 보호덮개(27)가 장착되고, 보호덮개(2
7)의 상부에는 소비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모터(50)에 구동신호를 송출하는 센서(60)가 장착된다. 상기 센서(6
0)는 통상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중 어느 위치든지 소비자의 동작을 잘 인식할 수 있는 곳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중 랙기어(43)와 기어(42)를 통한 회전막(30)의 작동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의[0020]
(a)는 회전막(30)이 폐쇄된 상태이며, 도 6의 (a)의 상태에서 소비자가 손을 뻗어 쇼케이스 내부로 손을 집어
넣을 때에, 센서(60)가 이를 감지하여 모터(50)에 구동신호를 송출하게 되고, 구동신호에 따라 모터(50)가 랙기
어(43)를 직선운동 시키게 된다.
등록특허 10-1196261
- 4 -
상기 랙기어(43)의 직선운동에 힘입어 랙기어(43)와 치합된 다수의 기어(42)들이 회전막(30)을 회전운동시키게[0021]
됨으로써, 도 6의 (b)의 단계를 거쳐 도 6의 (c)와 같이 회전막(30)이 90°회전되어 결국에는 회전막(30)이 완
전하게 개방되는 것이다.
한편, 다수개의 회전막(30)은 홀수로 설치되되, 첫번째와 마지막번째의 회전막(30)의 폭은 중간에 설치되는 회[0022]
전막(30)의 폭과 비교하여 절반이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회전막(30)이 완전하게 개방된 상태에서 회전막(30)과
회전막(30)의 간격(L)이 도 6의 (C)와 같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이렇게 개방된 회전막(30)의 간격(L)을
동일하게 유지하는 것은, 소비자가 쇼케이스의 내부로 손을 뻗어 집어넣을 때에, 어느 위치에서도 동일한 편리
함이 느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7은 본 발명중 이슬받이(44)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의 A-A선은 이슬받이(44)의 단면도이다. 회전[0023]
막(30)의 표면에는 공기 중의 수증기가 기온차로 인해 이슬이 맺히는 현상이 발생 되는바, 이러한 이슬을 실시
간으로 청결하게 배수하고자, 회전막(30)의 하단부에 이슬받이(44)가 설치된다.
즉, 도 7의 하부에 도시된 원내확대도에서와 같이 경사절곡부(45)를 갖는 이슬받이(44)를 마감캡(40)과 회전막[0024]
(30) 사이의 작은 틈새로 밀착되게 끼워넣는 방식으로 장착한다. 따라서, 도 7의 하부에 도시된 원내확대도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떨어지는 이슬은 이슬받이(44)에서 모아지고, 모아지는 이슬은 경사진 경사절곡부
(45)을 따라 배출되는 구성이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B-B선은 하부프레임(22)의 단면도로서, 하부프레임(22)의 상면은 경사진 배수경사면(26)으[0025]
로 형성되고, 하부프레임(22)의 일측에는 월류방지턱(25)이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슬받이(44)의 경사
절곡부(45)를 따라 흘러내린 이슬은 하부프레임(22)의 배수경사면(26)을 따라 쇼케이스의 내부로 배출되는 것이
다. 또한, 상기 월류방지턱(25)은 과도한 이슬이 배수경사면(26)으로 흘러 내릴 때에, 이슬이 하부프레임(22)의
밖으로 넘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출된 이슬은 쇼케이스(10)의 기계실(13) 하부에 별도로 준비된 배수통에서 집수하거나, 별[0026]
도의 배수관을 통해 한곳으로 모아 버리는 시스템으로 관리되는바, 배수시스템은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면 될
것이므로, 본 발명과는 별도의 구성이라 하겠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중 힌지(61) 및 고무자석(62)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용 착[0027]
탈식 자동 회전 도어가 기존의 오픈식 쇼케이스(10)의 전면에 장착되는 것임을 고려할 때, 힌지(61)를 통한 여
닫이 방식으로 설치하는 것이 유지보수 측면에서 유용하다.
따라서, 설치프레임(20)의 후면에는 도 9의 원내확대도와 같이 힌지(61)를 설치하고, 설치프레임(20)의 후면부[0028]
의 사각 테두리에도 고무자석(62)을 부착하여 자력에 의한 소정의 부착력이 발생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상기 힌지(61)는 설치프레임(20)의 후면에 설치하는 것은 물론 설치프레임(20)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하는
방식 또한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용 착탈식 자동 회전 도어를 사용하게 되면, 오픈식 쇼케[0029]
이스(10)에 진열된 인스턴트식품과 각종 음료를 외부에서 유입되는 이물질로부터 보호하여 더욱 청결한 진열상
태를 유지할 수 있는데다, 신선도를 높여주는 냉기가 외부로 과도하게 유출되는 문제점이 해결되어 전력소비량
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투명한 아크릴 재질의 회전막(30)의 표면을 이용하여 쇼케이스 내부에 진열된 각종 식품들에 대한 홍보를[0030]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이 기존의 오픈식 쇼케이스(10)에 착탈식으로 장착할 수 있는
것임을 고려할 때, 기존의 시설물을 이용하여 더욱 향상된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부호의 설명
10 : 쇼케이스[0031]
11 : 진열선반
12 : 진열공간
13 : 기계실
등록특허 10-1196261
- 5 -
20 : 설치프레임
21 : 상부프레임
22 : 하부프레임
23 : 끼움공
24 : 레일홈
25 : 월류방지턱
26 : 배수경사면
27 : 보호덮개
30 : 회전막
40 : 마감캡
41 : 끼움돌기
42 : 기어
43 : 랙기어
44 : 이슬받이
45 : 경사절곡부
50 : 모터
60 : 센서
61 : 힌지
62 : 고무자석
L : 간격
등록특허 10-1196261
- 6 -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196261
- 7 -
도면2
등록특허 10-1196261
- 8 -
도면3
등록특허 10-1196261
- 9 -
도면4
등록특허 10-1196261
- 10 -
도면5
등록특허 10-1196261
- 11 -
도면6
등록특허 10-1196261
- 12 -
도면7
등록특허 10-1196261
- 13 -
도면8
등록특허 10-1196261
- 14 -
도면9
등록특허 10-1196261
- 15 -
도면10
등록특허 10-1196261
-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