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재물 양방향 이송 장치(A loading thing both transport device)
(19)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51) 。Int. Cl.
B65G 25/00 (2006.01)
(45) 공고일자
(11) 등록번호
(24) 등록일자
2006년10월30일
10-0639435
2006년10월20일
(21) 출원번호 10-2004-0023603 (65) 공개번호 10-2004-0052579
(22) 출원일자 2004년04월07일 (43) 공개일자 2004년06월23일
(73) 특허권자 이대준
대구 북구 달서구 본동 616 월성주공아파트 510동 409호
(72) 발명자 이대준
대구 북구 달서구 본동 616 월성주공아파트 510동 409호
(74) 대리인 이춘희
최봉태
심사관 : 김충호
(54) 적재물 양방향 이송 장치
요약
본 발명은 각종 생산공장 등의 생산라인에서 제품(물품)을 각 공정간 이동 및 대응시키거나 혹은 완성된 제품을 보관하기
위해 일정한 장소로 이송시키거나 각종 적재물을 동일높이의 다른 장소로 일정거리 만큼 이송시키고자 할 때 모터의 정역
회전 구동에 의하여 일방뿐 아니라 양방향으로도 적재물을 이송시킬 수 있어 공정시간의 단축과 생산공정의 효율화를 꾀
할 수 있는 적재물 양방향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이송블럭(29,29a)의 저면에 설치된 제1정역모터(27)의 구동풀리(28)와 벨트(22)연결된 피동풀리(25)와 제1피동풀리
(24,24a)가 회전하게 되면 이송블럭(29,29a)이 직선 운동하게 되고, 이송블럭(29,29a)이 한계점에 다다르면 제2정역모터
(31)의 구동축(34)에 축설된 피니언기어(35)가 랙기어(36)와 맞물림이 되어 2단계 이송바(33,33a)가 직선운동을 하게 되
며, 이송바(33,33a)가 한계점에 다다르면 제3정역모터(43)와 벨트(22) 연결된 안착테이블(40)이 최종 목적지까지 3단계
직선운동을 하여 물품(제품)을 반대 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대표도
도 2
색인어
이송프레임, 정역모터, 아이들풀리, 이송바, 랙기어, 피니언기어
명세서
도면의 간단한 설명
등록특허 10-0639435
- 1 -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이송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이송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이송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단계별 기술이 적용된 요부의 발췌 확대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단계별 기술이 적용된 요부의 발췌 확대평면도
도 6, 7은 본 발명의 단계별 기술이 적용된 요부의 발췌 확대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이송장치의 전체적인 작동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주요부호의 설명 ■
A:이송장치 10:고정프레임
20:이송프레임 21:LM가이드
22:벨트 24,24a:제1피동풀리
25:피동풀리 26:축
27:제1정역모터 28:구동풀리
29,29a:이송블럭 31:제2정역모터
32:LM가이드 33,33a:이송바
34:구동축 35:피니언기어
36:랙기어 37:가이드
38:가이드안내홈 40:안착테이블
41,41a:고정편 42:LM가이드
43:제3정역모터 44:제2피동풀리
45:제2구동풀리 46:아이들풀리
47:고정편 48:가이드
49:가이드안내홈 50,50a:고정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등록특허 10-0639435
- 2 -
본 발명은 각종 생산공장 등의 생산라인에서 제품(물품)을 각 공정간 이동 및 대응시키거나 혹은 완성된 제품을 보관하기
위해 일정한 장소로 이송시키거나 각종 적재물을 동일높이의 다른 장소로 일정거리 만큼 이송시키고자 할 때 모터의 정역
회전 구동에 의하여 일방뿐 아니라 양방향으로도 적재물을 이송시킬 수 있어 공정시간의 단축과 생산공정의 효율화를 꾀
할 수 있는 적재물 양방향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적재물 이송장치에는 여러 가지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대부분은 적재물 이송방식이 일방향
으로 한정 이송되어 있어 양방향 즉 타방향으로 이송코자 할 때에는 한 축을 중심으로 그 이송장치 전체의 방향을 수동 또
는 별도의 구동력으로 180° 회전시킨 다음 이송하여야 하는 등 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장비의 문제점중 하나인 설치(가동) 면적에 관한 것으로서 장치가 180°를 회전하기 때문에 장비 가동면
적이 다량 확보되어야 하며, 회전 반경의 크기에 따라 작업능력이 향상되기 때문에 협소한 장소에서는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어 경제적 손실과 함께 작업시간의 낭비가 초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곧 장비의 비효율성으로 갈수록 대형화되고 있는 가전제품의 생산현장에서는 상당한 장애요소일 뿐만 아니라, 업체
간 경쟁력 강화에 많은 어려움을 야기 시키고 있는 등 이에 대한 개선책이 시급한 실정에 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이에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생산제품 특히 가전제품의 대형화로 인한 기존
이송장치의 비효율성을 방지함과 아울러 생산공정의 단축과 장비 가동면적을 최소화함으로서 경제적 손실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위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첨부된 각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이송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이송장
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이송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단계별 기술이 적
용된 요부의 발췌 확대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단계별 기술이 적용된 요부의 발췌 확대평면도이고, 도 6, 7은 본 발
명의 단계별 기술이 적용된 요부의 발췌 확대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작동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
에서 제시하는 이송장치의 전체적인 작동 예시도로서, 본 발명의 적재물 양방향 이송 장치(A)에 대해 이하 구체적으로 살
펴보면,
먼저 도 1과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틀의 형태로 견고하게 고정된 고정프레임(10)의 가운데 일측에 이송프레임(20)
과 일체형으로 구성된 이송블럭(29,29a)을 구비시키되 그 좌, 우측은 고정프레임(10)과 LM가이드(21)로 연결되게 하여
이송프레임(20)과 이송블럭(29,29a)의 원활한 직선운동이 되게 하고, 그 저면에는 제1피동풀리(24,24a)를 고정프레임
(10)의 일측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풀리(24,24a)상호간에는 벨트(22)로 연결되게 하는 한편, 벨트(22)의 한 부분은 이송프
레임(20)과 결착고정되게 한다.
또한 제1피동풀리(24)는 구동모터(27)의 구동풀리(28)와 벨트(22)로 연결된 피동풀리(25)와 축(26)이음 되어 있어 제1정
역모터(27)가 구동될 때 벨트(22) 연결된 이송프레임(20)과 그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이송블럭(29,29a)이 직선운동을 함으
로서 1단계 이송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블럭(29a)의 내측 측면부에 제2정역모터(31)를 고정 구비시키고 그 상측에는 이송
바(33,33a)를 각각 구비시키되 그 일측은 이송블럭(29,29a)과 LM가이드(32)로 연결 되게 하는 한편, 상기 이송바(33a)의
내측 일면에는 제2정역모터(31)의 구동축(34)에 축설된 피니언기어(35)와 기어물림 된 랙기어(36)가 부착 고정되어 피니
언기어(35)가 회전 구동하면 랙기어(36)가 좌, 우직선 운동을 하게됨으로 랙기어(36)와 고정된 이송바(33,33a)가 동시에
직선운동이 이루어지면서 2단계 직선 운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송바(33)의 외측에는 가이드(37)를 구비시키되 이송블럭(29)의 상측에 마련된 가이드안내홈(38)에 삽입되게
하여 이송바(33,33a)가 유동이나 흔들림이 없이 부드럽게 이송되게 하며, 이송바(33,33a)의 내측에는 안착테이블(40)의
저면에 부착고정 된 복수개의 고정편(41,41a)과 LM가이드(42)로 각각 연결되게 하고, 상기 안착테이블(40)의 저면에는
등록특허 10-0639435
- 3 -
제2피동풀리(44,44a)를 이송바(33,33a)의 양끝단부에 마련된 고정편(50,50a))에 각각 고정시키고 제3정역모터(43)의 제
2구동풀리(45)와 벨트(22)로 연결 구동 되게 하되 벨트(22)의 일부분은 안착테이블(40)과 고정되게 하여 제3정역모터
(43)가 구동됨에 따라 안착테이블(40)이 3단계 직선운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제2구동풀리(45)의 좌, 우 일측에는 아이들풀리(46)를 각각 구비시켜 벨트(22)의 적정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다.
그리고 안착테이블(40)을 이송시켜주는 제3정역모터(43)는 고정편(47)과 일체형이 되어 이송바(33)의 저면에 고정 구비
되고, 고정편(41)의 저면에 마련된 가이드(48)가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안내홈(49)을 고정편(47)의 일측에 형성되게 함으
로서 안착테이블(40)이 이송될 때 흔들림 없이 안정되게 이송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이송블럭(29,29a)의 저면에 설치된 제1정역모터(27)의 구동풀리(28)와 벨트(22)연결된 피동풀
리(25)와 제1피동풀리(24,24a)가 회전하게 되면 이송블럭(29,29a)이 직선 운동하게 되고, 이송블럭(29,29a)이 한계점에
다다르면 제2정역모터(31)의 구동축(34)에 축설된 피니언기어(35)가 랙기어(36)와 맞물림이 되어 2단계 이송바(33,33a)
가 직선운동을 하게 되며, 이송바(33,33a)가 한계점에 다다르면 제3정역모터(43)와 벨트(22) 연결된 안착테이블(40)이 최
종 목적지까지 3단계 직선운동을 하여 물품(제품)을 반대 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단계별 직선운동시 통상의 LM가이드(21,32,42)를 구비시켜 원활한 직선 운동과 안정감 있는 이송이 될 수 있도록 하
였으며, 상기한 벨트(22)는 타이밍벨트를 사용함으로서 정확성이 향상되고, 상기한 정역모터(27,31,43)는 정방향 회전뿐
만 아니라 역회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물품의 최종 이송지(목적지)까지 수월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된 것과 같은 구성과 작용을 갖는 본 발명의 적재물 양방향 이송장치는 정역모터의 정, 역회전을 간
단하게 제어만 해주면 협소한 공간에서도 물품의 운반을 수월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면서 물품
을 이송시키는 것이 아니라 전, 후 직선운동만으로 물품을 이송시키기 때문에 생산공정의 단축과 설비투자의 효율성을 가
져와 엄청난 경제적 비용을 절감 할 수 있는 등 그 기대 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57)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사각 틀의 형태로 견고하게 고정된 고정프레임(10)의 가운데 일측에 이송프레임(20)과 이송블럭(29. 29a)을 구비하고, 그
좌, 우측에 고정프레임(10)과 LM가이드(21)로 연결되게 하여, 구동부재에 의해 이를 구동시키는 제 1구동모터(27)와 피
닌언기어(35)와 기어물림 되는 랙기어(36)와 상기 랙기어(36)에 고정된 이송바(33, 33a)가 구비되고, 이를 구동시키는 제
2정역모터로 구성된 양방향 적재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바(33)의 외측에는 가이드(37)를 구비시키되 이송블럭(29)의 상측에 마련된 가이드안내홈(38)에 삽입되게 하여
이송바(33,33a)가 유동이나 흔들림이 없이 부드럽게 이송되게 하며, 이송바(33,33a)의 내측에는 안착테이블(40)의 저면
에 부착고정 된 복수개의 고정편(41,41a)과 LM가이드(42)로 각각 연결되게 하고, 상기 안착테이블(40)의 저면에는 제2피
동풀리(44,44a)를 이송바(33,33a)의 양끝단부에 마련된 고정편(50,50a)에 각각 고정시키고, 제3정역모터(43)의 제2구동
풀리(45)와 벨트(22)로 연결 구동 되게 하되 벨트(22)의 일부분은 안착테이블(40)과 고정되게 하는 한편, 상기 제3정역모
터(43)는 고정편(47)과 일체형이 되어 이송바(33)의 저면에 고정 구비시키고, 고정편(41)의 저면에 마련된 가이드(48)가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안내홈(49)을 고정편(47)의 일측에 형성되게 함으로서 안착테이블(40)이 이송될 때 흔들림 없이 안
정되게 이송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제3정역모터(43)가 구동됨에 따라 안착테이블(40)이 3단계 직선운동이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양방향 이송장치.
도면
등록특허 10-0639435
- 4 -
도면1
등록특허 10-0639435
- 5 -
도면2
등록특허 10-0639435
- 6 -
도면3
등록특허 10-0639435
- 7 -
도면4
등록특허 10-0639435
- 8 -
도면5
도면6
등록특허 10-0639435
- 9 -
도면7
등록특허 10-0639435
- 10 -
도면8
등록특허 10-0639435
- 11 -
도면9
등록특허 10-0639435
-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