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이어팁(An ear tip)

갈때까지가는거야 2018. 3. 20. 20:23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7년10월11일
(11) 등록번호 10-1784619
(24) 등록일자 2017년09월27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H04R 1/10 (2006.01) H04R 25/00 (2006.01)
(52) CPC특허분류
H04R 1/1016 (2013.01)
H04R 25/652 (2013.01)
(21) 출원번호 10-2016-0094037
(22) 출원일자 2016년07월25일
심사청구일자 2016년07월25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10098792 A*
JP2002200109 A*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이옥현
대구광역시 수성구 희망로21길 6 (중동)
이연향
대구광역시 수성구 희망로21길 6 (중동)
(72) 발명자
이옥현
대구광역시 수성구 희망로21길 6 (중동)
이연향
대구광역시 수성구 희망로21길 6 (중동)
(74) 대리인
유호일
전체 청구항 수 : 총 5 항 심사관 : 우만웅
(54) 발명의 명칭 이어팁
(57) 요 약
본 발명은 이어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측이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개방되는 일측은 이어폰의 외측
을 수용하는 수용부로 형성되고, 개방되는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이어폰의 커널팁을 인입하면서 이어폰의 음향이
배출되는 인입공이 구비되는 커널부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공의 외측에는 방사형으로 주름지는 형태의 다수의 주
름부가 형성되는 본체; 재질은 메모리폼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 귀의 외이도에 인입되며, 중앙으로 커널부를 착
탈가능하게 형성되는 착탈부가 형성되는 커널체;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팁을 제공한다.
대 표 도 - 도1
등록특허 10-1784619
- 1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일측이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개방되는 일측은 이어폰의 외측을 수용하는 수용부(11)로 형성되고, 개방
되는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이어폰의 커널팁을 인입하면서 이어폰의 음향이 배출되는 인입공(14)이 구비되는 커
널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커널부(13) 내측인 인입공(14) 외측으로 방사형으로 주름지는 형태의 다수의 주름부
(15)가 형성되는 본체(10);
사용자 귀의 외이도에 인입되며, 중앙으로 상기 커널부(13)를 착탈가능하게 형성되는 착탈부(21)가 형성되는 커
널체(20);가 포함되고,
상기 본체(10)의 재질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며, 본체(10)의 외측이 커널체(20) 외측의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뒤집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팁.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널체(20)의 재질은 메모리폼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팁.
청구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수용부(11)의 양측으로 이어폰의 외부 후측에 일부 걸림되는 걸림부(12)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
으로 하는 이어팁.
청구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수용부(1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밴드부(17)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팁.
청구항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커널부(13)가 형성되는 외측 전면과, 커널체(20)의 착탈부(21)가 형성되는 외측 후면에 각각
착탈체(30)가 형성되고,
상기 착탈체는 벨크로 또는 자성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팁.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이어폰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이어팁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의 전, 후방에 각각 형성되[0001]
는 수용부와 커널부로 하여금 오픈형 이어폰과커널형 이어폰에 각각 접목이 가능한 이어팁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이어폰은 음향기기 및 통신기기에서 발생되는 전기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는 스피커를 귀에 삽[0002]
입하여 스피커의 음향이 사용자의 귓속에 직접 방출되어 귀의 고막에 진동을 전하여 들을 수 있게 한 것으로,
등록특허 10-1784619
- 2 -
귀에 꽂아서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어폰은 적은 출력으로도 음향의 청취가 가능하고 음향을 청취하는 과정에서 주위 사람들에게 피해를[0003]
주는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휴대전화,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음향기기로부
터 출력되는 음향을 청취하기 위해 널리 사용된다.
위와 같이, 음향기기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주의 사람들에게 방해되지 않게 사용자에게만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0004]
으로 사용되는 이어폰은, 귀에 장착되는 부위에 따라 오픈형 이어폰과 커널형 이어폰으로 구분된다.
오픈형 이어폰은 귓바퀴에 이어폰의 유닛을 끼워 사용하는 방식으로 착용감이 좋아 장시간 사용하여도 귀에 피[0005]
로감이 덜한 장점은 있지만, 사용자의 귀에 꼭 맞지 않을 경우, 헐렁거리며 빠지는 경우가 많고, 소음 차단 능
력이 부족해 음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음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단점이 있다.
커널형 이어폰은 귀의 외이도에 삽입하는 형태로 오픈형 이어폰보다 차음성이 뛰어나 음질이 선명하여 실외나[0006]
시끄러운 곳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외부 소음차단으로 인하여 외부에서 사용할 경우 안전
사고가 발생하거나 외이도에 삽입되는 방식이라 오랜 시간 사용할 경우 귀에 손상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어왔다.
한편, 이어팁은 이어폰에 결합되어 이어폰에서 출력된 음향을 귀속으로 전달하면서도 사용자의 귀속에 삽입되어[0007]
피부와 직접 접촉하여 이어폰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피부와의 사이에 기밀성을 보장하여 외부 노이즈를 차단시
키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통상적인 이어팁은 커널형 이어폰이나 오픈형 이어폰의 전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어폰의[0008]
종류에 따라 이어팁을 별도로 구매하여야 하거나 소유하고 있어야만 이어폰의 사용이 이루어져 사용자들의 불편
이 있어왔다.
이에 이어폰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취향과 음향을 듣는 장소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오픈형 이어폰과 커널[0009]
형 이어폰에 각각 접목 가능한 이어팁에 대한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18340호 (2015.02.23) [0010]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3805호 (2013.10.24)
(특허문헌 000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0752호 (2014.01.03)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의 전,[0011]
후방에 각각 형성되는 수용부와 커널부로 하여금 오픈형 이어폰과 커널형 이어폰에 각각 접목이 가능하여 사용
자의 취향에 의해 구매한 이어폰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아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또한 커널체가 사
용자의 귀의 외이도에 삽입되어 사용되어 양질의 이어폰 기능이 발휘될 수 있는 이어팁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체에 형성되는 걸림부와 밴드부를 통해 본체의 수용부와 더불어 이어폰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면서도 이[0012]
어폰의 규격에 관계없이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이어팁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이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개방되는 일측은 이어폰[0013]
의 외측을 수용하는 수용부로 형성되고, 개방되는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이어폰의 커널팁을 인입하면서 이어폰의
음향이 배출되는 인입공이 구비되는 커널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널부 내측인 인입공 외측으로 방사형으로 주름
지는 형태의 다수의 주름부가 형성되는 본체; 재질은 메모리폼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 귀의 외이도에
인입되며, 중앙으로 커널부를 착탈가능하게 형성되는 착탈부가 형성되는 커널체;가 포함되고, 상기 본체의 재질
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며, 본체의 외측이 커널체 외측의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뒤집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
등록특허 10-1784619
- 3 -
어팁을 제공한다.
상기 본체는 수용부의 양측으로 이어폰의 외부 후측에 일부 걸림되는 걸림부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0014]
상기 본체는 수용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밴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0015]
발명의 효과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에 형성되는 인입공의 외측에 방사형으로 주름지는 형태의 다수의 주[0016]
름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인입공의 직경에 비해 다소 커널팁의 직경이 크더라도 커널팁이 인입공에 인입될 때
주름부에 의해 인입공이 확장되어 커널팁의 직경에 관계없이 인입될 수 있도록 하여 본체와 커널팁과의 결합을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본체와 커널팁과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체의 전, 후방에 각각 형성되는 수용부와 커널부로 하여금 오픈형 이어폰과 커널형 이어폰에 각각 접목이 가[0017]
능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의해 구매한 이어폰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아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
다.
또한 본체에 형성되는 걸림부와 밴드부을 통해 본체의 수용부와 더불어 이어폰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면서도 이[0018]
어폰의 규격에 관계없이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0019]
도 2,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본체가 커널체를 덮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걸림부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밴드부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착탈체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0020]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0021]
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팁은 커널형 이어폰 및 오픈형 이어폰에 각각 사용이 가능하여 이어팁의 실용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1,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에 끼움되는 본체(10)와,
본체(10)에서 착탈이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귀에 장착되는 커널체(20)로 구성되어진다.
본체(10)는 일측이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개방되는 일측은 이어폰의 외측을 수용하는 수용부(11)로 형[0022]
성되고, 본체(10)의 개방되는 반대측으로 커널팁의 형상으로 돌출되어 이어폰의 커널팁을 인입하여 이어폰에서
발생되는 음향이 배출되는 인입공(14)이 구비되는 커널부(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널부(13) 내측인 인입공(14) 외측으로 방사형으로 주름지는 형태인 다수의 주름부(15)가 형성되[0023]
며, 주름부(15)가 주름진 방식으로 인입공(14)에 형성되어 인입공(14)의 직경에 비해 다소 커널팁의 직경이 크
더라도 커널팁이 인입공(14)에 인입될 때 주름부(15)에 의해 인입공(14)이 확장되어 커널팁의 직경에 관계없이
인입될 수 있도록 하여 본체(10)와 커널팁과의 결합을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커널팁의 인입에 의해 확장된 인입공(14)은 커널팁을 보다 견고하게 가압하여 인입공(14) 및 주름부(15)로[0024]
인해 본체(10)와 커널팁과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커널체(20)는 사용자 귀의 외이도에 인입되는 형태이며, 사용자 쥐의 외이도의 형태에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도[0025]
록 메모리폼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으로 커널부(13)를 착탈가능하게 형성되는 착탈부(21)가 형성된다.
상기 커널체(20)는 본체(10)와 결합되어 본체(10)에 결합된 이어폰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사용자의 귀에 유입시[0026]
키는 역할을 하여, 이와 더불어 사용자의 귀속에 삽입되어 피부와 직접 접촉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피부와의
사이에 기밀성을 보장하여 외부 소음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등록특허 10-1784619
- 4 -
즉, 본체(10)의 수용부(11)로 하여금 오픈형 형태의 이어폰을 수용할 수 있으면서도 또한 인입공(14)으로 커널[0027]
형 이어폰의 커널팁을 인입시켜 고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의해 구매한 이어폰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접
목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또한 메모리폼으로 이루어지는 커널체(20)가 사용자의 귀의
외이도에 삽입되어 사용되어 양질의 이어폰 기능이 발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유연성을 가지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본 발명의 이어팁이 커널형[0028]
이어폰에 사용될 경우 본체(10)의 외측이 커널체(20) 외측의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뒤집어져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커널형 이어폰에 사용될 때에는 본체(10)의 외측이 커널체(20) 측으로 뒤집어져 커널형 이어폰과의 착용[0029]
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본체(10)와 커널체(20)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뒤집어진 본체(10) 부위가 사용자의 귀
의 외측에 마찰되어 외부소음을 한층 더 차단시키게 하고, 커널체(20)의 마모를 방지하여 커널체(20)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수용부(11)의 양측으로 이어폰의 외부 후측에 일부 걸림되는[0030]
걸림부(12)가 각각 형성되어 걸림부(12)로 하여금 수용하고자 하는 이어폰의 외측을 각각 걸림시키도록 구성된
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수용부(1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밴드부(17)가 형성[0031]
되어 밴드부(17)로 하여금 수용하고자 하는 이어폰을 걸림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에 형성되는 걸림부(12)와 밴드부(17)을 통해 본체(10)의 수용부(11)와 더불어 이어폰과의[0032]
결합력을 향상시키면서도 수용부(11)의 크기 보다 크거나 작은 이어폰과도 접목이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커널부(13)가 형성되는 외측 전면과, 커널체(20)의 착탈부[0033]
(21)가 형성되는 외측 후면에 각각 착탈체(30)가 구비되며, 상기 착탈체(30)는 벨크로 또는 자성체로 이루어지
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커널체(20)의 착탈부(21)와 본체(10)의 커널부(13)의 착탈구조와 더불어 착탈체(30)의 구성을 통해 본체[0034]
(10) 및 커널체(20)의 착탈구조를 수행하여 이중으로 착탈이 이루어져 본체(10) 및 커널체(20)의 착탈이 편리하
게 이루어지며, 본체(10)와 커널체(20)의 결합구조를 더욱 견고히 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수용부[0035]
12 : 걸림부 13 : 커널부
14 : 인입공 15 : 주름부
17 : 밴드부 20 : 커널체
21 : 착탈부 30 : 착탈체
등록특허 10-1784619
- 5 -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784619
- 6 -
도면2
등록특허 10-1784619
- 7 -
도면3
등록특허 10-1784619
- 8 -
도면4
도면5
등록특허 10-1784619
- 9 -
도면6
도면7
등록특허 10-1784619
-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