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용 조명케이스(LAMP CASE FOR CARS)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09년01월13일
(11) 등록번호 10-0878508
(24) 등록일자 2009년01월07일
(51) Int. Cl.
B60Q 1/02 (2006.01)
(21) 출원번호 10-2007-0090240
(22) 출원일자 2007년09월06일
심사청구일자 2007년09월06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09270201 A*
KR2019950006295 Y1*
KR2019890003215 Y1
KR2020010001570 U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손수
대구광역시 달서구 두류2동 77-15 6층
(72) 발명자
손수
대구광역시 달서구 두류2동 77-15 6층
(74) 대리인
조정환
전체 청구항 수 : 총 1 항 심사관 : 이윤직
(54) 자동차용 조명케이스
(57) 요 약
본 발명은 자동차에 장착되어 전후방을 조사하는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에 장착되어 전면과 후면에 요
홈(10a)(10b)을 구비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전면 요홈(10a)에 긴밀하게 안착되고, 첩착제(14)로
부착되는 유리커버(11) 및 내부에 반사경(12)을 구비하여 전후방을 조사하는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
의 중앙 지점에 전구소켓(21)을 지지하도록 후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소켓걸이구(22); 및 상기 하우징(10)
의 후면 요홈(10b)에 하우징(10)의 기밀상태를 높이도록 전선유도구(25)가 구비되는 오링(24)을 개재하여 장착되
는 후면캡(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조명케이스에 의하여 우천시 빗물이 케이스에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으
며, 다양한 형태의 전구를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취사선택하여 하나의 조명케이스에 장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대 표 도 - 도2
- 1 -
등록특허 10-0878508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자동차에 장착되어 전면과 후면에 요홈(10a)(10b)을 구비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전면 요홈(10a)
에 긴밀하게 안착되고, 첩착제(14)로 부착되는 유리커버(11) 및 내부에 반사경(12)을 구비하여 전후방을 조사하
는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중앙 지점에 전구소켓(21)을 지지하도록 후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소켓걸이구(22); 및
상기 하우징(10)의 후면 요홈(10b)에 하우징(10)의 기밀상태를 높이도록 전선유도구(25)가 구비되는 오링(24)을
개재하여 장착되는 후면캡(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명케이스.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삭제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자동차용 조명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과 후면에 요홈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1>
하우징의 전면 요홈에 긴밀하게 안착되고, 접착제로 부착되는 유리커버, 상기 하우징의 중앙 지점에 전구소켓을
지지하도록 후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소켓걸이구 및 상기 하우징의 후면 요홈에 오링을 개재하여 장착되는
후면캡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조명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삭제<2>
삭제<3>
배 경 기 술
종래에 트럭과 같은 차량에는 차량의 전후방 및 적재함 하단을 조사하는 조명을 구비하여 야간운전시에 차폭을<4>
알려주는 기능을 하거나 차량의 결함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조명케이스가 결
합된 사시도이다.
조명케이스 하우징의 상단에는 볼시트를 구비하여 적재함 측면 하부 등에 고정 체결되며, 전구케이스 전면부에<5>
는 유리커버, 반사경 등을 통하여 조명을 조사하고, 하우징 후방부에는 후면캡을 구비하여 밀폐되는 구성을 가
진다.
그런데, 이와 같이 전면부와 후면부에 밀폐되는 구조가 완전하지 않아서, 우천시 빗물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6>
는 일이 자주 발생하고, 후면캡을 개폐하여 전구를 교체하거나 배선을 점검하는 일이 잦게 될 경우, 밀폐 성능
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우징의 전구소켓에 맞는 전구 형태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취향에 맞는 다양한 형태 및 색상의<7>
전구를 선택할 여지가 거의 없고, 제한된 형태의 전구만이 선택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의 내용
해결 하고자하는 과제
- 2 -
등록특허 10-08785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용 조명케이스의 기밀성능을 월등히<8>
높이고, 다양한 형태의 전구라도 수용가능한 자동차용 조명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과제 해결수단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조명케이스는 자동차에 장착되어 전면과 후면에 요홈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9>
징의 전면 요홈에 긴밀하게 안착되고, 접착제로 부착되는 유리커버 및 내부에 반사경을 구비하여 전후방을 조사
하는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중앙 지점에 전구소켓을 지지하도록 후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소켓
걸이구; 및 상기 하우징의 후면 요홈에 하우징의 기밀상태를 높이도록 전선유도구가 구비되는 오링을 개재하여
장착되는 후면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10>
삭제<11>
효 과
본 발명의 자동차용 조명케이스에 의하여 하우징에 결합되는 유리커버와 후면캡이 체결될 때 기밀 상태를 완벽<12>
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므로, 노면의 수분이나 빗물 등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저지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후면캡을 자주 개폐하더라도 밀폐 성능이 장기간 유지되며, 고가의 조명케이스 자체를 교체하기보다는 오<13>
링과 같은 부품을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장기간 성능을 유지하는 비용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전구 형태를 취사선택할 수 있어서, 사용자 선택의 폭을 늘려주는 효과를<14>
얻을 수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5>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조명케이스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6>
자동차용 조명케이스는 전면으로부터 유리커버(11), 반사경(12), 하우징(10), 전구소켓(21), 후면캡(30)의 순으<17>
로 배치되어 있으며, 하우징(10)의 상단부에는 볼시트(13)가 체결되어 있어서 차량에 고정 체결되는 구조를 가
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조명케이스의 분리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18>
먼저, 하우징(10)의 전반부는 유리커버(11)로 밀폐된다. 상기 하우징(10)과 체결되는 유리커버(11) 부위는 하우<19>
징(10)의 전면 요홈(10a)에 안착되기 위해 대응하는 돌출부를 가진다.
상기 반사경(12)은 표면에 반사율이 높은 소재가 도포되어 있을 수 있으며, 금속이나 거울과 같은 고반사 소재<20>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그 내부는 포물 곡면을 가져서 높은 전후방 조사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반사경(12)의 끝단은 상기 하우징(10)의 모서리에 걸리도록 끝단이 평평하고 납작한 돌출부를 가지며, 하<21>
우징(10)에 반사경(12)의 끝단부가 걸리도록 한 뒤 상기 유리커버(11)의 돌출부가 하우징(10) 요홈(10a)에 안착
된다.
이 때, 상기 유리커버(11)가 안착되는 돌출부에 접착제(14)를 충분히 도포하여 유리커버(11), 반사경(12), 하우<22>
징(10)의 순으로 완전 밀착 체결되는 구성을 가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0)의 전반부의 기밀상태는
완벽하게 유지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중앙 지점에는 전구(20)가 체결되는 전구소켓(21)이 안착된다. 상기 전구(20)는 측면에 반사<23>
재질의 소재가 부착되어 있어서 상기 반사경(12)의 반사 성능을 높여준다. 전구(20)의 후방부는 상기 전구소켓
(21)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체결되는 구조이며, 전구(20)에 연결되는 배선의 수에 따라 이와 동일한 수량의 배선
- 3 -
등록특허 10-0878508
돌출부가 전구소켓(21)의 안착홈에 체결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전구소켓(21)을 지지하는 소켓걸이구(22)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재질의 스프링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24>
소켓걸이구(22)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중간 지점의 만곡부가 상기 전구소켓(21)을 감싸면서 지지하고,
양측의 절곡부가 상기하우징(10)의 걸이홈(10c)에 안착되어 2점 지지되는 형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소켓
걸이구(22)의 탄성 유격에 의하여 크기가 상이한 전구소켓(21)이라도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조명케이스의 하
우징(10)에 체결 및 착탈 가능하게 되므로 전구(20)를 선택하는 폭이 넓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의 후면은 후면캡(30)에 의하여 개폐된다. 상기 후면캡(30)의 내측 나사선이 하우징(10)의 외측<25>
나사선과 맞물리면서 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후면캡(30)과 하우징(10) 사이의 밀폐 상태를 높이도록 오
링(24)이 삽입된다. 상기 오링(24)의 소재로는 고무가 적절하지만 합성수지나 세라믹 등의 비금속 소재를 배제
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조명케이스 오링(24)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26>
상기 오링(24)의 결합 상태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후면캡(30)의 끝단이 상기 하우징(10)에 맞닿는 부분에<27>
상기 오링(24)이 위치하게 되며, 후면캡(30)을 조이는 것에 의해 상기 오링(24)이 하우징(10) 후방 요홈(10b)과
의 밀착정도를 더욱 높이고 기밀이 강화된다. 상기 후면캡(30)의 끝단에 오링(24)을 일체로 형성하여 개폐를 실
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링(24)의 상단부에는 전선유도를 위하여 전선유도구(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유도구<28>
(25)는 오링(24)을 사출로 성형할 경우에 일체로 그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예컨대 3구용 램프 배선인 경우
3개의 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구소켓(21)에 연결되는 전선(23)은 하우징(10) 후방에 형성된 요홈(10d)을 따라 상기 오링(24)의 전선유<29>
도구(25)에 안착된 후, 하우징(10) 내부로 연결되어 전구소켓(21)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전선(23)에 의한
하우징(10)과 후면캡(30) 사이의 틈새가 전선유도구(25)에 의하여 완벽하게 차단된다.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하우징(10)의 요홈(10c)을 전구소켓(21)과 좀 더 가까이 배치하기 위하여, 요<30>
홈(10c)을 지지하도록 내부에 통공을 가지는 원형 프레임을 두고, 프레임의 양측 2점 지지대 상에 요홈(10c)을
배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하우징(10)을 보다 경량 구조로 하<31>
면서 전구소켓(21)을 견실하게 지지한다. 이와 같은 하우징(10) 형상에 의하여 지지된 전구소켓(21)은 차량의
충격을 적절히 흡수하여 전구(20)의 수명을 향상시키고, 하우징(10)의 중량을 낮추는 동시에 조명케이스의 내구
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32>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조명케이스의 결합된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33>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조명케이스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34>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조명케이스의 분리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35>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조명케이스 오링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36>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조명케이스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전구소켓 하우징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37>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38>
10: 하우징 11: 유리커버<39>
12: 반사경 13: 볼시트<40>
20: 전구 21: 전구소켓<41>
22: 소켓걸이구 24: 오링<42>
- 4 -
등록특허 10-0878508
25: 전선유도구 30: 후면캡<43>
도면
도면1
도면2
- 5 -
등록특허 10-0878508
도면3
- 6 -
등록특허 10-0878508
도면4
도면5
- 7 -
등록특허 10-0878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