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물의 노출식 방수 시공방법 및 시공구조(Exposure type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and construction structure)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09년01월14일
(11) 등록번호 10-0878341
(24) 등록일자 2009년01월06일
(51) Int. Cl.
E04D 11/02 (2006.01) E04D 11/00 (2006.01)
E04B 1/64 (2006.01)
(21) 출원번호 10-2008-0024169
(22) 출원일자 2008년03월17일
심사청구일자 2008년03월17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17090161 A*
KR1020060037311 A*
KR1020060043935 A*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장성덕
대구광역시 동구 입석동 862-7
(72) 발명자
장성덕
대구광역시 동구 입석동 862-7
(74) 대리인
이석화
전체 청구항 수 : 총 2 항 심사관 : 이원재
(54) 건축물의 노출식 방수 시공방법 및 시공구조
(57) 요 약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정이나 지붕 등에 대한 방수시공 방법 및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슬라브
내부의 습기 배출과 통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시공에 대한 견고성이 향상된 방수시공 방법 및 구조에 관한
것이다.
PVC시트 재질로 된 테이프(2)를 바닥면(1)에 격자형으로 배치하고 테이프(2)의 중첩되는 부분 중에서 일정한 간
격으로 중첩된 부분을 제거한 후, 제거한 부분에 탈기관(3)을 설치하며, 프라이머(10) 도포와 1차 우레탄층(11)
을 구성하는 공정과, 유연한 PVC판재(21)의 저면에 부직포(22)가 접합된 상태이고 상면에는 격자형의 직포(23)를
부착하여 일체화된 보강시트(20)를 부착하는 공정과, 보강시트(20)가 연결되는 부분의 위에는 유리섬유(30)를 부
착하고, 그 위에 다시 폴리우레탄을 도포하고 규사(13) 도포 및 탑코트층(14)을 만들어 주는 공정으로 이루어짐
을 특징으로 한다.
대 표 도 - 도3
- 1 -
등록특허 10-0878341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시공할 바닥면(1)을 깨끗하게 청소하는 공정과, 과하게 돌출되거나 요철이 발생한 부분은 수정하는 공정을 갖고
제일 마지막으로 시공면의 상부에 규사(13)를 도포한 다음 탑코트층(14)을 만들어 주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건
축물의 방수 시공방법에 있어서,
요철부분을 수정한 바닥면(1)의 상면에 긴 띠 형태의 얇은 PVC시트 재질로 된 테이프(2)를 격자형으로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바닥면에 배치한 테이프(2)의 중첩되는 부분 중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중첩된 부분을 제거한 후, 제거한 부
분에 탈기관(3)을 설치하는 공정과;
바닥면(1)과 테이프(2) 위에 전체적으로 프라이머(10)를 도포하는 공정과;
프라이머(10)가 도포된 테이프(2)의 상면과 바닥면(1) 전체 부분에 타르우레탄을 도포하여 1차 우레탄층(11)을
구성하는 공정과;
상기 1차 우레탄 층의 상부에, 유연한 PVC판재(21)의 저면에 부직포(22)가 접합된 상태이고 상면에는 격자형의
직포(23)를 부착하여 일체화된 보강시트(20)를 부착하는 공정과;
보강시트(20)가 연결되는 부분의 위에는 접착테이프 형식의 유리섬유(30)를 부착하여 연결부분이 보강되도록 하
는 공정과;
유리섬유(30)와 보강시트(20)의 위에 다시 폴리우레탄을 도포하여 2차 우레탄층(12)을 만드는 공정;
으로 이루어진 다음 최종적으로 규사(13) 도포와 탑코트층(14)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노출식
방수 시공방법.
청구항 2
바닥면(1)의 위에 탈기관(3)이 설치된 부분을 제외한 프라이머(10)가 도포된 전체의 상부에 타르우레탄을 도포
하여 1차 우레탄층(11)이 구성되어 있으면서 그 위에는 보강시트(20)를 구성하여 보강시트(20)의 부직포(22)에
우레탄이 스며들어 굳은 상태가 되며, 보강시트(20)의 연결되는 부분에는 유리섬유(30)가 접합되어 있으며, 그
위에 다시 폴리우레탄을 도포하여 2차 우레탄층(12)이 구성되면서, 유리섬유(30)와 보강시트(20)의 상면의 격자
형 직포(23)에 우레탄이 스며들어 견고하게 일체화된 방수 시공구조에 있어서,
바닥면(1) 바로 위에 격자형으로 PVC 재질로 된 테이프(2)가 깔려 있고 그러한 테이프(2) 위와 바닥면(1) 전체
에 프라이머(10)가 도포됨과 동시에 테이프(2)의 중첩된 면을 제거한 다음 제거된 부분에 탈기관(3)을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노출식 방수 시공구조.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정이나 지붕 등에 대한 방수시공 방법 및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슬라<16>
브 내부의 습기 배출과 통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시공에 대한 견고성이 향상된 방수시공 방법 및 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천장 슬라브는 누수되는 수가 많아서 최초 건축시에는 물론 건축물의 수명이 오래되<17>
면 재차 방수시공이 필요한 것이다.
종래 천장 콘크리트 슬라브에 대한 방수시공과정에서는 여러 가지 재료를 사용하여 방수기능을 갖는 층을 만들<18>
어 주는 것으로서, 방수기능은 종래보다 상당히 향상된 것이 사실이다.
- 2 -
등록특허 10-0878341
그런데 문제는 방수시공을 하기 전에 콘크리트 슬라브에 스며들어 있거나 시공 후에도 시공된 면이 아닌 다른<19>
부분으로부터 유입되는 습기에 관한 것인데, 방수시공이 완료되면 이러한 습기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므로 수
증기가 방수시공된 구조층을 밀어 올리면서 바닥과 이격되고 돌출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에 의해 방수시공 층이 약해짐은 물론 파손이 발생하고 다시 방수시공을 해야하는 악순환이 발생하<20>
였던 것이다.
이에 따라서 종래에는 방수시공시에는 탈기관을 설치하고 있기는 하지만, 이는 탈기관이 설치된 해당 위치의 콘<21>
크리트 슬라브에서 발생하는 습기만 어느 정도 배출될 뿐이고, 그 나머지 부분의 콘크리트 중의 습기는 우레탄
등의 방수재가 콘크리트와 완전히 밀착되어 있으므로 배출될 공간을 찾지 못하여 그 효과가 만족할 만하다 할
수 없는 것이었다.
그리고 방수를 위하여 시공되는 보강시트가 기타의 방수재와 견고히 결합되지 못하여 방수 구조상 견고성이 저<22>
하되었으며, 일부의 보강시트는 불필요하게 두꺼운 구성으로 인하여 하중이 발생하면 방수층의 파손으로 이어지
는 문제도 있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천장 콘크리트 슬라브의 상면에 탈기 효과를 최대화할 수<23>
있는 시공방법 및 시공구조를 제공하여 콘크리트 슬라브에서 발생하는 습기를 매우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하며, 보강시트는 그 연결부위에 대한 방수기능을 강화하고 기타 방수재와의 결합력을 극대화하여 견고하고 효
과적인 방수를 가능하게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본 발명은 천장 콘크리트 슬라브의 상면에 탈기관을 설치하기 전에 습기의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는 에어라인을<24>
구성하고 이러한 에어라인 상에 일정 간격으로 탈기관을 설치하며, 보강시트는 컴팩트한 구성이면서 서로 간의
연결과 방수재와의 결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실시 예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 중 테이프를 배열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25>
도 2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 중 탈기관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26>
도 3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27>
도 4는 본 발명의 보강시트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28>
도 5, 도 6은 본 발명의 보강시트에 대한 연결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29>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살펴보면, 우선 시공할 바닥면(1)을 깨끗하게 청소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며, 과<30>
하게 돌출되거나 요철이 발생한 부분은 수정을 하여 준다.
그리고 시공이 실시되기 전에 도 1과 같이 긴 띠 형태의 얇은 PVC시트 재질로 된 테이프(2)를 바닥면(1)에 격자<31>
형으로 배치한다.
상기 바닥면에 배치한 테이프(2)의 중첩되는 부분 중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중첩된 부분을 제거한 후, 도 2와 같<32>
이 제거한 부분에 탈기관(3)을 설치하여 탈기관(3)이 그 아래의 바닥면(1)과 통기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바닥면(1)과 테이프(2) 위에 프라이머(10)를 도포하여 다음에 도포할 방수재와 접착력이 강화<33>
되도록 한다.
프라이머(10)가 도포된 테이프(2)의 상면과 바닥면(1) 전체 부분에 타르우레탄을 도포하여 1차 우레탄층(11)을<34>
구성한다.
상기 1차 우레탄 층의 상부에 본 발명의 보강시트(20)를 부착하는데, 상기 보강시트(20)는 유연한 PVC판재(21)<35>
의 저면에 부직포(22)가 접합된 상태이고 상면에는 격자형의 직포(23)를 부착하여 일체화된 것이다.
이러한 보강시트(20)의 일측면 끝단에는 부직포 없이 PVC판재(21)와 격자형 직포(23) 만이 구성된 연결부(24)를<36>
구성하게 되면, 보강시트(20)를 연결하여 시공할 때 인근한 보강시트(20)의 끈단을 연결부(24)로 덮어 중첩한
상태에서 연결할 수 있어서 방수와 견고성을 더욱 향상시기게 된다.
- 3 -
등록특허 10-0878341
연결부(24)를 구성하지 않을 시에는 맞대기로 연결한다. <37>
이러한 보강시트(20)를 깔 때 탈기관(3)이 설치된 부분은 오려내어 제거한다. <38>
이와 같이 보강시트(20)의 중첩된 연결부(24) 끝단 부분 또는 보강시트(20)의 끝단이 맞닿아 연결되는 부분의<39>
위에는 접착테이프 형식의 유리섬유(30)를 부착하여 연결부분이 보강되도록 한다.
유리섬유(30)와 보강시트(20)의 위에 다시 폴리우레탄을 도포하여 2차 우레탄층(12)을 만들어 준다.<40>
2차 우레탄층(12)의 위에는 규사(13)를 도포한 다음 탑코트층(14)을 만들어 줌으로서 방수 시공이 완료된다.<41>
더욱 강력한 방수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탑코트층(14)을 시공하기 전에 폴리우레탄을 한번 더 도포할 수도<42>
있다.
이와 같은 시공에 의한 방수구조를 살펴보면, 바닥면(1) 위에 격자형으로 PVC 재질로 된 테이프(2)가 깔려 있고<43>
그러한 테이프(2) 위와 바닥면(1) 전체에 프라이머(10)가 도포됨과 동시에 테이프(2)의 중첩된 면을 제거한 다
음 제거된 부분에 탈기관(3)을 설치한 구성이다.
또한 탈기관(3)이 설치된 부분을 제외한 프라이머(10)가 도포된 전체의 상부에 타르우레탄을 도포하여 1차 우레<44>
탄층(11)이 구성되어 있으면서 그 위에는 보강시트(20)를 구성하여 보강시트(20)의 부직포(22)에 우레탄이 스며
들어 굳은 상태가 되며, 보강시트(20)의 연결되는 부분에는 유리섬유(30)가 접합되어 있으며, 그 위에 다시 폴
리우레탄을 도포하여 2차 우레탄층(12)이 구성되는데, 유리섬유(30)와 보강시트(20)의 상면의 격자형 직포(23)
에 우레탄이 스며들어 견고하게 일체화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시공방법 및 구조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프라이머에 의해 폴리우레탄이 견고하게<45>
바닥면에 접착되는 효과가 있어서 폴리우레탄이 바닥면으로부터 들뜨거나 벗겨지는 경우를 방지하게 되고 전반
적으로 견고한 방수구조가 유지되도록 한다,
1차 우레탄층(11) 및 2차 우레탄층(12)은 실질적인 방수기능을 하게 되며, 그 사이에 보강시트(20)를 구성함에<46>
의해 더욱 강한 방수기능을 하게 되면서 우레탄이 부직포(22)와 직포(23) 및 유리섬유(30)에 스며들어 일체화되
면서 뼈대와 같은 역할을 하여 내구성과 균열을 방지하는데 큰 도움을 주게 된다. 직포(20)는 PVC시트(20)의 변
형을 방지하는 기능도 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격자형으로 배치된 테이프(2)가 우레탄이 바닥면에 완전히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그<47>
아래와 인근 부분의 콘크리트에서 습기가 발생하면 테이프(2)와 바닥면(1)의 사이에 미세한 공간이 생기게
되고, 이러한 공간이 통로역할을 하여 습기를 탈기관(3)까지 유도하여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콘크리트 슬라브로 된 바닥면 전체에 매우 효과적인 탈기가 이루어 지는 것이다. <48>
마지막으로 구성되는 탑코트층(14)은 우레탄층(11)(12)이 태양열이나 빛 또는 바람 등에 의해 노화 또는 변질되<49>
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을 유지하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방수재 간의 결합 및 보강시트와의 결합이 견고하고 강도 높게 이루<50>
어지므로 수명과 강도가 크게 향상되는 방수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보강시트 간의 연결도 유리섬유에 의해 견고하고 치밀하게 이루어지므로 연결부에도 방수효과가 높고 견고<51>
하게 된다.
특히 콘크리트 슬라브 내의 습기가 테이프에 의해 만들어지는 통로에 의해 유용하게 배출이 이루어지므로 자체<52>
의 습기 문제도 효과적으로 해결하게 되는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 중 테이프를 배열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1>
도 2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 중 탈기관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2>
도 3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3>
도 4는 본 발명의 보강시트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4>
- 4 -
등록특허 10-0878341
도 5는 본 발명의 보강시트에 대한 연결 예를 도시한 단면도<5>
도 6은 본 발명의 보강시트에 대한 다른 연결 예를 도시한 단면도<6>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7>
1: 바닥면 2: 테이프<8>
3: 탈기관<9>
10: 프라이머 11: 1차 우레탄층<10>
12: 2차 우레탄층 13: 규사 <11>
14: 탑코트<12>
20: 보강시트 21: PVC판재<13>
22: 부직포 23: 직포<14>
24: 연결부 30: 유리섬유<15>
도면
도면1
도면2
- 5 -
등록특허 10-0878341
도면3
도면4
도면5
- 6 -
등록특허 10-0878341
도면6
- 7 -
등록특허 10-0878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