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비대칭 사장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반원형의 하늘길 교량(Sky-walk bridge having half-circle structural form supported by stay cable)

갈때까지가는거야 2018. 3. 19. 16:43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7년11월07일
(11) 등록번호 10-1794745
(24) 등록일자 2017년11월01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E01D 11/04 (2006.01) E01D 19/10 (2006.01)
E01D 19/16 (2006.01)
(52) CPC특허분류
E01D 11/04 (2013.01)
E01D 19/103 (2013.01)
(21) 출원번호 10-2017-0052934
(22) 출원일자 2017년04월25일
심사청구일자 2017년04월25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2000240001 A*
JP2508235 Y2*
KR101360883 B1*
KR200180094 Y1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주)신흥이앤지
경상남도 김해시 생림면 생림대로259번길 65
주식회사 지에스웹
경상남도 김해시 생림면 생림대로259번길 65
주식회사 신흥산업개발
광주광역시 남구 봉선2로 14(봉선동)
(72) 발명자
표옥근
경상남도 김해시 삼계로 35, 309동 1402호 (삼계
동,구지마을3단지푸르지오아파트)
(74) 대리인
최한수
전체 청구항 수 : 총 1 항 심사관 : 강대흥
(54) 발명의 명칭 비대칭 사장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반원형의 하늘길 교량
(57) 요 약
본 발명은,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는 강관으로 이루어지되, 하단 부위는 제1, 2교대(12, 16)의 각 하단 부위보다
낮은 지점에 고정결합되고, 상측 부위는 제1, 2교대(12, 16) 각 상단 부위보다 높게 돌출되어 제1, 2교대(12,
16) 사이의 중앙 부위에 위치하는 지주(20); 지주(20)로부터 동심원을 그리며 제1, 2교대(12, 16) 사이에서 상호
(뒷면에 계속)
대 표 도 - 도1
등록특허 10-1794745
- 1 -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은 제1, 2, 3꼭지점 각각에 제1, 2, 3관통공(36,
37, 38)이 형성되는 일정 두께의 삼각구조철판(32) 및 제2꼭지점 부위에는 상방으로 일정 수직 높이 돌출되는 제
1난간대(33)가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지지판체(30); 상호 간에 일정 각도만큼씩 벌어져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 일단 부위는 지주(20)의 상측 부위 전면을 따라 고정결합되고 각 타단 부위는 하방으로 일
정 각도 경사지며 각 지지판체(30)의 제2관통공(37) 일측 부위에 고정결합되는 지지케이블(40); 반원을 이루며
지지판체(30) 각각의 제1관통공(36)에 삽입되어 고정결합되는 제1강관(52), 반원을 이루며 지지판체(30) 각각의
제2관통공(37)에 삽입되어 고정결합되는 제2강관(54), 반원을 이루며 지지판체(30) 각각의 제3관통공(38)에 삽입
되어 고정결합되는 제3강관(56), 반원을 이루며 지지판체(30) 각각의 제1난간대(33) 상단 부위에 고정결합되는
제4강관(58);을 포함하는 하늘길 교량을 제공한다.
(52) CPC특허분류
E01D 19/16 (2013.01)
등록특허 10-1794745
- 2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상호 간에 일정 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제1, 2교대(12, 16);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는 강관으로 이루어지되, 하단 부위는 제1, 2교대(12, 16)의 각 하단 부위보다 낮은 지점
에 고정결합되고, 상측 부위는 제1, 2교대(12, 16) 각 상단 부위보다 높게 돌출되어 제1, 2교대(12, 16) 사이의
중앙 부위에 위치하는 지주(20);
지주(20)로부터 동심원을 그리며 제1, 2교대(12, 16) 사이에서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
로 이루어지며, 각각은 일정 두께를 가지는 삼각구조철판(32)으로 이루어지되 전방으로 돌출된 제1꼭지점에는
제1관통공(36)이 형성되고 후방의 상하에 위치하는 제2, 3꼭지점 각각에는 제2, 3관통공(37, 38)이 형성되며 제
2관통공(37)이 형성되는 제2꼭지점 부위에는 상방으로 일정 수직 높이 돌출되는 제1난간대(33)가 일체형으로 마
련되는 지지판체(30);
상호 간에 일정 각도만큼씩 벌어져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 일단 부위는 지주(20)의 상
측 부위 전면을 따라 고정결합되고 각 타단 부위는 하방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며 각 지지판체(30)의 제2관통공
(37) 일측 부위에 고정결합되는 지지케이블(40);
반원을 이루며 지지판체(30) 각각의 제1관통공(36)에 삽입되어 고정결합되는 제1강관(52), 반원을 이루며 지지
판체(30) 각각의 제2관통공(37)에 삽입되어 고정결합되는 제2강관(54), 반원을 이루며 지지판체(30) 각각의 제3
관통공(38)에 삽입되어 고정결합되는 제3강관(56), 반원을 이루며 지지판체(30) 각각의 제1난간대(33) 상단 부
위에 고정결합되는 제4강관(58);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되 하단 부위가 지지판체(30) 각각의 제1관통공(36)이 형성되는 제1꼭지점 상측 부위에
고정결합되는 제2난간대(62), 상호 간에 수직 높이를 달리하며 위치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이 제2난간
대(62)의 일측 부위에 고정결합되는 제1난간케이블(64), 상호 간에 수직 높이를 달리하며 위치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이 제1난간대(33)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2난간케이블(66);을
포함하는 비대칭 사장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반원형의 하늘길 교량.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하늘길 교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폭포나 해안 절벽 등과 같이 자연경관이 매우 뛰어[0001]
나지만 접근 자체가 곤란한 장소에 자연환경의 훼손을 최소화하며 설치되어 생동감 있는 자연경관을 매우 가까
이에서 즐길 수 있는 반원형의 하늘길 교량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하늘길 교량(sky walk bridge)은 울창한 숲이나 해안가 등과 같이 자연경관이 뛰어난 장소에 설치되어 이용하는[0002]
사람들에게 자연을 더욱 가까이에서 체험할 수 기회를 제공해주는 장점이 있어, 근자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하
늘길 교량에 대한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 5에는 이 중에서 해안가를 따라 설치되는 바다 하늘길 교량의 일
례가 개시되어 있다.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통상적인 하늘길 교량은 복수 개의 교각을 일정 거리만큼씩 떨어진 상태로 시공한[0003]
다음, 인접하는 교각 사이를 통행로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자연환경에 따라 교각의 수직 높이를 달
리하거나 또는 도면과 같이 교각 사이의 통행로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이용자들이 보다 생생하게
자연 경관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해준다.
하지만, 지금까지 제안되고 있는 하늘길 교량의 대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 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교각 상[0004]
호 간을 통행로로서 연결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연속적인 지면이나 해안가 등이 아닌 폭포나 절벽 또는 산의
등록특허 10-1794745
- 3 -
정상과 같은 지면이나 해안가 등에는 시공 자체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55246호 [0005]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폭포 등과 같은 절개지나 절벽 또는 산의 정상과 같이 특수한 지면 구조를 가지는 자연환경에[0006]
설치되어 이용자들이 자연의 경관을 매우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는 하늘길 교량을 제공함에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호 간에 일정 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제1, 2교대(12, 16); 일정 수[0007]
직 높이를 가지는 강관으로 이루어지되, 하단 부위는 제1, 2교대(12, 16)의 각 하단 부위보다 낮은 지점에 고정
결합되고, 상측 부위는 제1, 2교대(12, 16) 각 상단 부위보다 높게 돌출되어 제1, 2교대(12, 16) 사이의 중앙
부위에 위치하는 지주(20); 지주(20)로부터 동심원을 그리며 제1, 2교대(12, 16) 사이에서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은 일정 두께를 가지는 삼각구조철판(32)으로 이루어지되 전방으
로 돌출된 제1꼭지점에는 제1관통공(36)이 형성되고 후방의 상하에 위치하는 제2, 3꼭지점 각각에는 제2, 3관통
공(37, 38)이 형성되며 제2관통공(37)이 형성되는 제2꼭지점 부위에는 상방으로 일정 수직 높이 돌출되는 제1난
간대(33)가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지지판체(30); 상호 간에 일정 각도만큼씩 벌어져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 일단 부위는 지주(20)의 상측 부위 전면을 따라 고정결합되고 각 타단 부위는 하방으로 일
정 각도 경사지며 각 지지판체(30)의 제2관통공(37) 일측 부위에 고정결합되는 지지케이블(40); 반원을 이루며
지지판체(30) 각각의 제1관통공(36)에 삽입되어 고정결합되는 제1강관(52), 반원을 이루며 지지판체(30) 각각의
제2관통공(37)에 삽입되어 고정결합되는 제2강관(54), 반원을 이루며 지지판체(30) 각각의 제3관통공(38)에 삽
입되어 고정결합되는 제3강관(56), 반원을 이루며 지지판체(30) 각각의 제1난간대(33) 상단 부위에 고정결합되
는 제4강관(58);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되 하단 부위가 지지판체(30) 각각의 제1관통공(36)이 형성되는 제1꼭지
점 상측 부위에 고정결합되는 제2난간대(62), 상호 간에 수직 높이를 달리하며 위치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이 제2난간대(62)의 일측 부위에 고정결합되는 제1난간케이블(64), 상호 간에 수직 높이를 달리하며 위치하
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이 제1난간대(33)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2난간케이블(6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
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이용자들이 보행하는 통행로를 반원형 구조로 형성하여 전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시키되, 반원형 구조[0008]
의 통행로로부터 후방으로 일정 거리 떨어져 지면에 고정되는 일정 수직 높이의 지주에 의해 이들 통행로들이
매우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폭포 등과 같은 절개지나 절벽 또는 산의 정상과 같이 빼어난 자연
경관을 이용자들이 보다 가까운 위치에서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게 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늘길 교량의 개략적인 사시 구성도.[0009]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늘길 교량의 개략적인 정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늘길 교량의 개략적인 일측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늘길 교량에 있어 지지판체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종래 하늘길 교량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등록특허 10-1794745
- 4 -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0010]
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하늘길 교량의 개략적인 사시 구성도, 정면 구성도 그리고 일측면 구성[0011]
도를 보여준다. 각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제1, 2교대(12, 16), 지주(20), 지지판체(30), 지지케
이블(40), 강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하 이들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제1, 2교대(12, 16)는 통행로의 양측 부위를 지지하는 제1수단으로, 상호 간에 일정 거리 떨어져 위치한다. 제[0012]
1, 2교대(12, 16)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하단 부위는 지면에 고정설치된다.
지주(20)는 통행로를 지지하는 제2수단으로, 제1, 2교대(12, 16) 사이의 중앙 부위에 위치한다. 지주(20)는 일[0013]
정 수직 높이를 가지는 강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그 하단 부위는 제1, 2
교대(12, 16)의 각 하단 부위보다 낮은 지점에 고정결합되고, 그 상측 부위는 제1, 2교대(12, 16) 각 상단 부위
보다 높게 돌출된다.
즉, 지주(20)의 하단 부위는 제1, 2교대(12, 16)와는 일정 수직 높이 차를 가지며 지면에 고정결합되는 특징이[0014]
있다. 본 발명이 이러한 구성을 제안하는 이유는, 지주(20)가 후술할 지지케이블(40)를 이용하여 통행로를 지지
할 때 매우 안정적인 구조를 이루기 때문이다.
제1, 2교대(12, 16) 및 지주(20)에 의해 지지되는 통행로는 지지판체(30), 강관, 제1, 2난간대, 제1, 2난간케이[0015]
블로 이루어진다. 통행로를 이루는 이들 각각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본다.
지지판체(30)는 통행로의 하측을 이루는 부분으로, 지주(20)로부터 동심원을 그리며 제1, 2교대(12, 16) 사이에[0016]
서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각 지지판체(30)는 도 4에 개시된 것과 같이, 기본 구조로서 3개의
꼭지점을 가지는 삼각구조철판(32)과 삼각구조철판(32)의 일 꼭지점 일측 부위에 마련되는 제1난간대(33)로 이
루어진다.
삼각구조철판(32)은 일정 두께를 가지며, 전방으로 돌출된 제1꼭지점에는 제1관통공(36)이 형성되고, 후방에서[0017]
상하로 위치하는 제2, 3꼭지점 각각에는 제2, 3관통공(37, 38)이 형성된다. 즉, 삼각형에서 제1꼭지점 및 제2꼭
지점을 연결하는 일면 부위가 수평으로 이루며 상면을 이루는 구조이다. 도면부호 31은 홈으로서, 삼각구조철판
자체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삼각구조철판에 작용하는 바람에 의한 외력을 감소시킨다.
제1난간대(33)는 제2관통공(37)이 형성되는 제2꼭지점 부위에서 상방으로 일정 수직 높이 돌출된다. 제1난간대[0018]
(33)는 일정 폭을 가지며 삼각구조철판(32)과 동일한 두께의 철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과 같
이 삼각구조철판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판체(30)와는 별개로 제1, 2교대(12, 16) 각각에는 별도의 제1, 2지지판이 마련될 수도 있다. 제1, 2[0019]
지지판은 도면 각각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1, 2교대(12, 16) 각각의 상면 부위에 설치되며, 전술한 지지판체
(30) 구조에서 제3꼭지점을 이루는 부위가 제거된 ┛자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강관은 지주(20)로부터 동심원을 그리며 제1, 2교대(12, 16) 사이에서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0020]
지지판체(30)를 연결하는 수단으로, 반원을 이루는 제1, 2, 3, 4강관(52, 54, 56, 58)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
으로, 제1강관(52)은 지지판체(30) 각각의 제1관통공(36)에 삽입되어 고정결합되며, 제2강관(54)은 지지판체
(30) 각각의 제2관통공(37)에 삽입되어 고정결합되고, 제3강관(56)은 지지판체(30) 각각의 제3관통공(38)에 삽
입되어 고정결합되며, 제4강관(58)은 지지판체(30) 각각의 제1난간대(33) 상단 부위에 고정결합된다.
제2난간대(62)는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그 하단 부위가 지지판체(30) 각각의 제1관통공(36)이 형성되는 제1[0021]
꼭지점 상측 부위에 고정결합된다. 제1난간케이블(64)은 상호 간에 수직 높이를 달리하며 위치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이 제2난간대(62)의 일측 부위에 고정결합된다. 제2난간케이블(66)은 상호 간에 수직 높이를
달리하며 위치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이 제1난간대(33)를 관통하여 고정결합된다. 도면부호 72, 76 각
각은 지지강선 및 디딤데크이다.
지지케이블(40)는 일정한 장력으로 지주(20)와 통행로를 연결하여 통행로를 지지하는 사장케이블로서, 상호 간[0022]
에 일정 각도만큼씩 벌어져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지지케이블(40) 각각의 일단 부위는 지
주(20)의 상측 부위 전면을 따라 고정결합되고, 지지케이블(40) 각각의 타단 부위는 하방으로 일정 각도 경사진
상태로 각 지지판체(30)의 제2관통공(37) 일측 부위에 고정결합된다.
등록특허 10-1794745
- 5 -
제1, 2교대(12, 16)와 인접한 지지판체(30)들은 제1, 2교대(12, 16)에 의해 충분히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도[0023]
면과 같이 지지케이블(40)은 통행로를 이루는 모든 지지판체(30)를 연결하지 않더라도 통행로의 하중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다. 지지케이블은 와이어로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지판체와의 연결 부위에는 지지케이블의 장
력이나 길이 조절을 위한 턴바클이 마련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통행로를 반원형으로 구성하여 전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시키고 이들 통행로를 일정 수직 높[0024]
이를 가지며 후방에 설치되는 지주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절개지나 절벽 또는 산의 정상 등과 같이
통상적인 하늘길 교량의 시공이 불가능한 지면 구조에도 시공이 가능하여 이용자들이 보다 생동감 있는 자연환
경의 체험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0025]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
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2, 16 : 제1, 2교대 20 : 지주[0026]
30 : 지지판체 40 : 지지케이블
52, 54, 56, 58 : 제1, 2, 3, 4강관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794745
- 6 -
도면2
도면3
등록특허 10-1794745
- 7 -
도면4
도면5
등록특허 10-1794745
-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