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창문 잠금용 스트라이커(a striker for windows lock)

갈때까지가는거야 2018. 3. 15. 13:11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실용신안공보(Y1)
(45) 공고일자 2012년08월02일
(11) 등록번호 20-0461723
(24) 등록일자 2012년07월26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E05C 3/14 (2006.01)
(21) 출원번호 20-2010-0011499
(22) 출원일자 2010년11월05일
심사청구일자 2010년11월05일
(65) 공개번호 20-2010-0012637
(43) 공개일자 2010년12월21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20060115034 A
KR1020080038667 A
KR1020090118841 A
KR200457729 Y1
(73) 실용신안권자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대구시 달성군 다사읍 세천리 성서5차 첨단산업단
지 19블록 4롯트
(72) 고안자
이교순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달구벌대로55길 76
전체 청구항 수 : 총 1 항 심사관 : 전병호
(54) 고안의 명칭 창문 잠금용 스트라이커
(57) 요 약
본 고안은 창짝에 장착되며 핸들에 의해 연동하여 개폐되는 스트라이커의 구조를 개량하여서 된 창문 잠금용 스
트라이커에 관한 것이다.
구성적 특징은 스트라이커(100)를 구성하는 하우징(1)의 내부 중심에 사각구멍(41)과 하부 일측에 걸림돌부(42)
를 가진 개방캠(4)을 장착 구성하고, 하우징(1)의 내부 양측에는 잠금쇠(2)(2')를 장착 구성하되, 상기 잠금쇠
(2)는 하단에 슬라이더(5)의 장홈(51)에 끼워져 슬라이더(5)를 수평 이동시킬 수 있도록 걸림턱(22)을 형성하고,
잠금쇠(2')는 내측 하부에 슬라이더(5)의 선단 밀편(52)이 끼워져 작용하도록 가압홈(24)을 형성하며, 상기 걸림
턱(22)과 가압홈(24)에 작용하도록 장홈(51)과 밀편(52)을 형성하여서 된 슬라이더(5)는 하우징(1) 내부의 안내
홈(11)에 삽입되어 압축스프링(31)에 의해 잠금쇠(2)(2')가 항상 잠금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설치하되, 장홈(51)
과 밀편(52) 사이에 개방캠(4)의 걸림돌부(42)가 끼워져 작용하도록 걸림홈(53)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그 구성이 지극히 간단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이 뛰어나 원가 절감효과가 뛰어나고
고장이 없어 신뢰성이 극대화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대 표 도 - 도1
등록실용신안 20-0461723
- 1 -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창문 즉, 창짝의 프레임 내부에 장착되는 스트라이커를 구성함에 있어서,
스트라이커(100)를 구성하는 하우징(1)의 내부 중심부에는 핸들의 사각축이 삽입되는 사각구멍(41)을 가진 개방
캠(4)을 장착 구성하되,
상기 개방캠(4)은 하부 일 측으로 걸림돌부(42)를 돌출 형성하고, 하우징(1)의 내부 양측에는 토션스프링
(3)(3')에 의해 훅크(21)가 항상 개방위치로 작용하게끔 구성한 잠금쇠(2)(2')를 장착 구성하되, 상기 잠금쇠
(2)는 하단에 슬라이더(5)의 장홈(51)에 끼워져 슬라이더(5)를 수평 이동시킬 수 있도록 걸림턱(22)을 형성함과
동시에 측면에 일정한 각도 이상은 개방되지 않도록 제어턱(23)을 형성하고, 잠금쇠(2')는 내측 하부에 슬라이
더(5)의 선단 밀편(52)이 끼워져 작용하도록 가압홈(24)을 형성함과 동시에 반대편에 제어턱(23')을 형성하며,
상기 걸림턱(22)과 가압홈(24)에 작용하도록 장홈(51)과 밀편(52)을 형성하여서 된 슬라이더(5)는 하우징(1) 내
부의 안내홈(11)에 삽입되어 압축스프링(31)에 의해 잠금쇠(2)(2')가 항상 잠금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설치하되,
장홈(51)과 밀편(52) 사이에 개방캠(4)의 걸림돌부(42)가 끼워져 작용하도록 걸림홈(53)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
명 세 서
고안의 상세한 설명
기 술 분 야
본 고안은 창틀에 장착되는 키퍼와 창문 즉 창짝에 장착되며 핸들에 의해 연동하여 개폐되는 스트라이커로 이루[0001]
어진 잠금장치에 있어서, 특히 스트라이커의 구조를 개량하여 보다 더 간단한 구성이 되도록 함과 동시에 이로
인해 조립성 증대, 원가절감, 내구성 및 신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한 창문 잠금용 스트라이커에 관한 것이
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창문틀 즉 창짝에는 창문을 여닫기 편하게끔 실내 측으로 레버, 또는 그립형의 핸들이 노출된 형태[0002]
로 장착되고, 창문틀의 프레임 내부에는 상기 핸들의 축과 연결되어 작용하는 한 쌍의 훅을 가진 키퍼가 장착되
며, 창틀에는 상기 창문에 장착된 키퍼의 훅이 작용하는 위치에 스트라이커가 장착 고정되어 창문을 닫을 때는
키퍼의 훅이 스트라이커의 걸림부에 자동으로 걸리게 되고, 열 때는 레버 또는 그립형 핸들의 작용에 의해 걸림
부에서 훅이 벌어져 이탈됨으로서 개방이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스트라이커의 경우 서로 대향 설치된 한 쌍의 훅이 통상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잡한 연[0003]
동구조로 되어 있어 제조 및 조립이 매우 번거롭고 제조원가 또한 많이 들어 상품경쟁력이 떨어지는 등의 폐단
이 따랐다.
즉,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 스트라이커(100a)는 하우징(1a) 내부에 훅크(21a)를 가진[0004]
잠금쇠(2a)(2a')와, 상기 잠금쇠(2a)(2a')를 제어하는 작동캠(3a)(3a'), 그리고 사각의 핸들축이 조립되며 상기
작동캠(3a)(3a')을 작동시켜 창문을 개방시키는 작용을 하는 개방캠(4a)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잠금쇠
(2a)(2a')는 중심축(22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일 측에 돌출편(23a)이 형성되어 하우징
(1a)과의 사이에 압축스프링(24a)이 장착됨으로서 훅크(21a)가 항상 원복 되게끔 구성되고 또 돌출편(23a)과 반
대 위치에는 작동캠(3a)또는 (3a')가 끼워져 작용하는 홈(25a)이 형성되어 있다. 작동캠(3a)(3a')은 압축스프링
(31a)에 의해 항상 잠금쇠(2a)(2a')의 홈에 작용하는 캠편(32a)(32a')과 핸들에 의해 작동하는 개방캠(4a)의 제
어돌부(41a)(41a')에 의해 연동하는 제어편(33a)(33a')으로 이루어져 있다. 개방캠(4a)은 핸들축이 끼워지는 구
멍과 더불어 상기 작동캠(3a)(3a')의 제어편(33a)(33a')을 개방시키는 제어돌부(41a)(41a')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창문을 개방시키기 위해 핸들을 잡고 열고자 하는 방향으로 밀면 개방캠(4a)이 핸들과 함께 회전하면서[0005]
제어돌부(41a)(41a')가 작동캠(3a)(3a')의 제어편(33a)(33a')을 재껴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작동캠
(3a)(3a')의 캠편(32a)(32a')이 잠금쇠(2a)(2a')의 홈(25a)에서 이탈되면서 압축스프링(24a)의 탄성력에 의해
잠금쇠(2a)(2a')가 회전되게 됨으로 잠금쇠(2a)(2a')와 일체로 형성된 훅크(21a)가 재껴지면서 키퍼로부터 이탈
등록실용신안 20-0461723
- 2 -
되게 됨으로서 창문이 개방되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스트라이커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따르게 된다.[0006]
즉, 잠금쇠(2a)(2a')를 작동시키기 위해 개방캠(4a)과 함께 한 쌍의 작동캠(3a)(3a')이 구비되어야 함에 따라[0007]
제조원가가 과다하게 듦은 물론 부품수가 많아 조립성 및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게 되는 등의 많은 폐단이 따랐
던 것이다.
고안의 내용
해결 하고자하는 과제
그러나 전술한 종래 고안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따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0008]
즉, 잠금쇠를 작동시키기 위해 개방캠과 함께 한 쌍의 작동캠이 구비되어야 함에 따라 제조원가가 과다하게 듦[0009]
은 물론 부품수가 많아 조립성 및 생산성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고 더불어 핸들의 작용이 잠금쇠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반드시 한 쌍의 작동캠을 통하여 전달되어야 함에 따라 기구적으로 매우 복잡하여 사용과정에서 고장
이 잦고 내구성이 떨어지는 등의 폐단이 야기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스트라이커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조원가절감과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아울러 잔고장이 없고 신뢰성이[0010]
극대화될 수 있는 스트라이커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과제 해결수단
창문 즉, 창짝의 프레임 내부에 장착되는 스트라이커를 구성함에 있어서,[0011]
스트라이커(100)를 구성하는 하우징(1)의 내부 중심부에는 핸들의 사각축이 삽입되는 사각구멍(41)을 가진 개방[0012]
캠(4)을 장착 구성하되,
상기 개방캠(4)은 하부 일 측으로 걸림돌부(42)를 돌출 형성하고, 하우징(1)의 내부 양측에는 토션스프링[0013]
(3)(3')에 의해 훅크(21)가 항상 개방위치로 작용하게끔 구성한 잠금쇠(2)(2')를 장착 구성하되, 상기 잠금쇠
(2)는 하단에 슬라이더(5)의 장홈(51)에 끼워져 슬라이더(5)를 수평 이동시킬 수 있도록 걸림턱(22)을 형성함과
동시에 측면에 일정한 각도 이상은 개방되지 않도록 제어턱(23)을 형성하고, 잠금쇠(2')는 내측 하부에 슬라이
더(5)의 선단 밀편(52)이 끼워져 작용하도록 가압홈(24)을 형성함과 동시에 반대편에 제어턱(23')을 형성하며,
상기 걸림턱(22)과 가압홈(24)에 작용하도록 장홈(51)과 밀편(52)을 형성하여서 된 슬라이더(5)는 하우징(1) 내
부의 안내홈(11)에 삽입되어 압축스프링(31)에 의해 잠금쇠(2)(2')가 항상 잠금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설치하되,
장홈(51)과 밀편(52) 사이에 개방캠(4)의 걸림돌부(42)가 끼워져 작용하도록 걸림홈(53)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이다.
효 과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개방캠에 의해 막대형상으로 된 슬라이더가 이송되면서 잠금쇠를 개폐시키도록 구[0014]
성되어 있어 그 구성이 지극히 간단하고, 이에 따라 조립성 및 생산성이 극대화되어 제조원가 절감, 내구성 증
대 등의 효과가 따른다.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본 고안의 스트라이커는 창문 즉, 창짝의 프레임 내부에 장착되며 창틀 내측에 장착되는 키퍼(keeper)와 한 조[0015]
를 이루는 물품이다. 또, 스트라이커에는 핸들이 연결 구성되며 따라서 창문을 개방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핸들
을 잡고 밀면 개방캠(4)이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되면서 키퍼의 걸림편을 물고 있던 잠금쇠의 훅크가 회전되어
벌어지게 됨으로서 창문을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스트라이커 구성 및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0016]
스트라이커(100)의 하우징(1) 내부 중앙에는 핸들의 사각축이 삽입되는 사각구멍(41)을 가진 개방캠(4)이 장착[0017]
구성되며 상기 개방캠(4)의 하부 일 측에는 걸림돌부(42)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부(42)가 잠금쇠(2)(2')
를 연동시키는 슬라이더(5)의 걸림홈(53)에 삽입된다. 따라서 핸들을 잡고 창문의 개방위치로 밀면 개방캠(4)이
회전되면서 압축스프링(31)이 장착 구성된 슬라이더(5)가 압축스프링(31)을 강제로 압축시키면서 수평이송하게
되고, 이때 슬라이더(5)의 장홈(51)에 걸려있던 잠금쇠(2)는 토션스프링(3)에 의해 훅크가 개방위치로 회전되게
등록실용신안 20-0461723
- 3 -
되고 잠금쇠(2')도 슬라이더(5)의 밀편(52)이 가압홈(24)으로부터 벗어나게 됨에 따라 토션스프링(3')에 의해
개방되게 되는 것이다.
또 창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핸들에서 손을 떼면 압축스프링(31)의 복원력이 슬라이더(5)를 본래의 위치로 밀어[0018]
내게 되지만, 이때 잠금쇠(2) 및 (2')는 토션스프링(3) 및 (3')에 의해 훅크(21)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
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창문을 닫게 되면 키퍼의 걸림편이 잠금쇠의 몸통을 밀어주게 되면서 훅크(21)(21')가
회전되어 키퍼의 걸림편을 물게 됨으로서 창문이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핸들을 잡아 돌렸을 때 슬라이더(5)가 수평 이송되면서 잠금쇠(2) 및 (2')의 제어[0019]
가 해제되게 함으로서 그 구성이 지극히 간단 명료함과 동시에 그 작용도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됨으로 신뢰성이
크게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또, 설치 사용하는 과정에서 외부적 충격이 심하게 작용하더라도 압축스프링(31)을 비롯하여 슬라이더(5) 잠금[0020]
쇠(2)(2') 등이 분해되어 달아날 염려가 전혀 없어 고장이 없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종래에 비해 부품수가 적어
조립성증대, 원가 절감효과가 큰 이점도 따른다.
미설명부호 6은 키퍼, 7은 핸들이다.[0021]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 고안의 예시도.[0022]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요부 분해 사시도.[0023]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예시도.[0024]
도 4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0025]
도면
도면1
등록실용신안 20-0461723
- 4 -
도면2
도면3
도면4
등록실용신안 20-0461723
-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