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해안 제방용 기초 방호벽(Waves depense wall)

갈때까지가는거야 2018. 3. 9. 09:26

(19)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51) 。Int. Cl.
E02B 3/04 (2006.01)
E02B 3/10 (2006.01)
(45) 공고일자
(11) 등록번호
(24) 등록일자
2007년02월16일
10-0680164
2007년02월01일
(21) 출원번호 10-2006-0076441 (65) 공개번호
(22) 출원일자 2006년08월11일 (43) 공개일자
심사청구일자 2006년08월11일
(73) 특허권자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서울 강남구 역삼동 736-6
(72) 발명자 문병권
서울 양천구 신정7동 목동대림아크로빌 A동 1804호
(74) 대리인 최병길
선종철
(56) 선행기술조사문헌
1020040062855 *
55028639
12265437
59096313
*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심사관 : 이혜순
전체 청구항 수 : 총 1 항
(54) 해안 제방용 기초 방호벽
(57) 요약
본 발명은 해안 제방용 기초 방호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콘크리트 재질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단이 좁고 하단
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전면에 제 1곡면이 형성되고, 상면에 모래 주입구가 형성되고, 앵커 볼
트가 형성되는 기초 콘크리트와, 콘크리트 재질로 니은자로 형성되데, 전면에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제 1곡면과 동일한 곡
률을 갖는 제 2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상기 앵커 볼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앵커 볼트홀
이 형성되는 덮개판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공간부에 채워지는 모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제방용 기초
방호벽에 있어서,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상단 전방에는 제 1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안착홈에 복수의 제 1앵커봉 홀
이 일렬로 더 형성되고, 상기 덮개판의 저면에는 상기 제 1안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안
착홈에 상기 제 1앵커봉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앵커봉이 더 형성되며,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제 1곡면과 상기 덮개판의 제
2곡면이 서로 면접되는 위치에 설치되도록 상기 제 1곡면 및 제 2곡면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으며, 배면에 상기 제 1
안착홈 및 제 2안착홈에 안착되고, 상기 앵커봉이 관통되는 제 2앵커봉 홀이 형성되는 안착판이 돌출 형성되어 파손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모래가 채워진 기초 콘크리트의 상단에 파도가 제방측으로 넘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방호벽을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해안 제방이 파도에 의해 유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등록특허 10-0680164
- 1 -
대표도
도 1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콘크리트 재질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단이 좁고 하단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전면에
제 1곡면이 형성되고, 상면에 모래 주입구가 형성되고, 앵커 볼트가 형성되는 기초 콘크리트와, 콘크리트 재질로 니은자로
형성되데, 전면에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제 1곡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제 2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상단
에 결합되도록 상기 앵커 볼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앵커 볼트홀이 형성되는 덮개판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공간부에 채워
지는 모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제방용 기초 방호벽에 있어서,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상단 전방에는 제 1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안착홈에 복수의 제 1앵커봉 홀이 일렬로 더 형성
되고,
상기 덮개판의 저면에는 상기 제 1안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안착홈에 상기 제 1앵커봉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앵커봉이 더 형성되며,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제 1곡면과 상기 덮개판의 제 2곡면이 서로 면접되는 위치에 설치되도록 상기 제 1곡면 및 제 2곡면
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으며, 배면에 상기 제 1안착홈 및 제 2안착홈에 안착되고, 상기 앵커봉이 관통되는 제 2앵커봉
홀이 형성되는 안착판이 돌출 형성되어 파손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제방용 기초 방호벽.
청구항 2.
삭제
명세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해안 제방용 기초 방호벽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파도가 제방측으로 넘어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해안
제방용 기초 방호벽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해안의 제방 법면에는 파도를 막아서 해안의 모래가 해안으로 유입되어 침전 퇴적하는 현상을 방지하고, 파도에 의
해 해안 제방 법면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호안 제방 시설이 형성된다.
이런 호안 제방 시설의 구조는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첫째, 직립제(直立堤)는 밑에서 직립한 콘크리트 덩어리로, 파랑을 잘 방지하지만 지반이 약하면 침하하거나 기초부분이
세굴되는 경우가 있다.
둘째, 경사제(傾斜堤)는 사석(捨石)이나 테트라포드(tetrapod)를 쌓아 올린 것으로, 사면에서 쇄파(碎波)되므로 월파(越
波)가 많다.
등록특허 10-0680164
- 2 -
셋째, 혼성제(混成堤)는 경사제 위에 직립제를 놓은 것으로, 직립제와 경사제의 장점을 겸비하고 있으므로 한국에서 많이
채택되고 있는 것으로, 사석(捨石) 제방이라고도 한다.
사석으로 제체(堤體)의 하부를 축조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 케이슨이나 방괴(方塊)를 설치한 구조의 방파제이다.
기본적으로는 상단의 직립제는 파도를 반사시키고 사석제는 사면에서 파도를 쇄파(碎波)시키는 기능을 가지지만, 직립제
는 지반이 좋은 곳이 아니면 축조할 수 없다.
그래서 사석제와 직립제의 장점을 따서 기초지반의 조건에 관계없이 또한 제체의 단면적도 적게 축조할 수 있는 구조체로
서, 방파제에는 이 혼성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사석제의 상부의 높이는 설치수심, 지반조건, 공사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지만 가능한 낮게 하여 강렬한 쇄파를 일으키지
않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 호안 제방 시설물은 파랑에 대해 효과적인 소파를 이루지 못하는 구조적인 문제점으로 인해 잦은 유지
보수를 이루어야 하는 관계로 하자 유지 관리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돌 수급에 따른 자연파괴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약한 지반의 제방에 형성된 호안 제방 시설물은 파랑에 의해 유실되는 사례가 빈번하여 시공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
이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대부분의 장소에서 소정두께와 크기를 갖는 호안블록 또는 시멘트 옹벽을 경사진 제방의 지면에
일정한 평면형태로 맞춤 시공하여 외압을 견딜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평면형태의 블록 또는 옹벽은 짜맞추어진 상태로 시공되었다 하더라도 태풍 등에 의해 파도가 높아 제방을
넘는 경우 제방이 유실되어 결국 붕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모래가 채워진 기초 콘크리트의 상단에 파도가 제방측으로
넘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방호벽을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해안 제방이 파도에 의해 유실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해안 제
방용 기초 방호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콘크리트 재질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단이 좁고 하단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전면에
제 1곡면이 형성되고, 상면에 모래 주입구가 형성되고, 앵커 볼트가 형성되는 기초 콘크리트와, 콘크리트 재질로 니은자로
형성되데, 전면에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제 1곡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제 2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상단
에 결합되도록 상기 앵커 볼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앵커 볼트홀이 형성되는 덮개판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공간부에 채워
지는 모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제방용 기초 방호벽에 있어서,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상단 전방에는 제 1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안착홈에 복수의 제 1앵커봉 홀이 일렬로 더 형성되고, 상기 덮개판의 저면에는 상기 제 1안
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안착홈에 상기 제 1앵커봉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앵커봉이 더
형성되며,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제 1곡면과 상기 덮개판의 제 2곡면이 서로 면접되는 위치에 설치되도록 상기 제 1곡면
및 제 2곡면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으며, 배면에 상기 제 1안착홈 및 제 2안착홈에 안착되고, 상기 앵커봉이 관통되는
제 2앵커봉 홀이 형성되는 안착판이 돌출 형성되어 파손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해안 제방용 기초 방호벽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등록특허 10-0680164
- 3 -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
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
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안 제방용 기초 방호벽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안 제방용 기
초 방호벽이 해안 제방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해안 제방용 기초 방호벽(100)은, 기초 콘크리트(110)와, 덮개판(120)과, 모래
(130) 및 파손 방지 부재(140)로 이루어진다.
먼저, 기초 콘크리트(110)는 콘크리트 재질로 내부에 공간부(111)가 형성되고, 상단이 좁고 하단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사
각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전면에 제 1곡면(112)이 형성되고, 상면에 모래 주입구(113)가 형성되고, 앵커 볼트(114)가 형
성된다. 여기에서, 기초 콘크리트(110)의 상단 전방에는 제 1안착홈(115)이 형성되고, 제 1안착홈(115)에 복수의 제 1앵
커봉 홀(116)이 일렬로 더 형성된다.
그리고, 덮개판(120)은 콘크리트 재질로 니은자로 형성되데, 전면에 기초 콘크리트(110)의 제 1곡면(112)과 동일한 곡률
을 갖는 제 2곡면(121)이 형성되고, 기초 콘크리트(110)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앵커 볼트(114)와 대응되는 위치에 앵커 볼
트홀(122)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덮개판(120)의 저면에는 제 1안착홈(115)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안착홈(123)이 형성
되고, 제 2안착홈(123)에 제 1앵커봉 홀(116)과 대응되는 위치에 앵커봉(124)이 더 형성된다.
또한, 모래(130)는 기초 콘크리트(110)에 하중을 제공하도록 기초 콘크리트(110)의 모래 주입구(113)를 통해 공간부
(111)에 채워진다.
또, 파손 방지 부재(140)는 파도에 의해 기초 콘크리트(110)와 덮개판(120)의 면접 위치가 파손되는 것을 막도록 제 1곡
면(112) 및 제 2곡면(121)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으며, 배면에 제 1안착홈(115) 및 제 2안착홈(123)에 안착되고, 앵
커봉(124)이 관통되는 제 2앵커봉 홀(142)이 형성되는 안착판(141)이 돌출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해안 제방용 기초 방호벽의 설치 과정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천 제방(1)을 형성하고, 하천 제방(1)의 바닥면에 잠석(3)을 깔아 수평면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제작된 기초 콘크
리트(110)를 기중기 등에 의해 잠석의 상면에 안착시키고, 모래 주입구(113)를 통해 모래를 투입시킨다. 이때, 기초 콘크
리트(110)의 전면이 해안쪽을 향하도록 설치하고, 잠석과 기초 콘크리트(110)의 바닥 측면에는 사석(5)을 쌓아 잠석이 유
실되는 것을 막는다.
그런 다음, 기초 콘크리트(110)의 제 1안착홈(115)에 파손 방지 부재(140)를 안착시키고, 덮개판(120)을 기중기 등에 의
해 기초 콘크리트(110)의 상면에 결합시킨다.
이때, 덮개판(120)의 앵커 볼트홀(122)이 기초 콘크리트(110)의 앵커 볼트(114)를 관통되도록 하고, 덮개판(120)의 앵커
봉(124)이 파손 방지 부재(140)의 제 2앵커봉 홀(142)을 통해 기초 콘크리트(110)의 제 1앵커봉 홀(116)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덮개판(120)의 상면으로 노출된 앵커 볼트(114)에 너트(117)를 체결하여 기초 콘크리트(110)에 덮개판(120)을
고정시켜 설치를 완료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파도가 거세게 밀려와도 기초 콘크리트(110)의 제 1곡면(112)과 덮개판(120)의 제 2곡면(121)의 곡률로
인해 파도가 곡률을 따라 상승되면서 다시 해안측으로 돌아간다.
따라서, 파도가 덮개판의 제 2곡면을 통해 제방측으로 넘어오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기 때문에 파도에 의해 제방이 유실되
는 것을 막아 제방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등록특허 10-0680164
- 4 -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해안 제방용 기초 방호벽에 따르면, 내부에 모래가 채워진 기초 콘크리트의 상단에 파도
가 제방측으로 넘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방호벽을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해안 제방이 파도에 의해 유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
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
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
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안 제방용 기초 방호벽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안 제방용 기초 방호벽이 해안 제방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0 : 기초 콘크리트 120 : 덮개판
130 : 모래 140 : 파손 방지 부재
도면
등록특허 10-0680164
- 5 -
도면1
등록특허 10-0680164
- 6 -
도면2
등록특허 10-0680164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