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드레스트용 일자형 스테이폴(Linear type stay pole for headrest of the cars)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09년03월05일
(11) 등록번호 10-0887370
(24) 등록일자 2009년02월27일
(51) Int. Cl.
B60N 2/48 (2006.01) A47C 7/38 (2006.01)
B60N 2/44 (2006.01)
(21) 출원번호 10-2007-0110141
(22) 출원일자 2007년10월31일
심사청구일자 2007년10월31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20010092842 A*
KR1020040044321 A*
KR2019950032785 U*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주)현대공업
울산광역시 남구 부곡동 271-6
(72) 발명자
이준성
울산 남구 선암동 서광아파트 104/2501
(74) 대리인
강현석
전체 청구항 수 : 총 1 항 심사관 : 조도연
(54) 헤드레스트용 일자형 스테이폴
(57) 요 약
본원발명은 헤드레스트용 스테이폴에 관한 것으로서, 외주면에 승강걸림홈(3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각형상
또는 타원형상의 단면을 갖는 일자형스테이폴(30)과, 일자형스테이폴(30)에 외삽되는 것으로 양측면에는 비틀림
스프링(50)이 장착되는 돌기(4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비틀림스프링(50)의 가로바(51) 부분이 끼워지는 개구부
(43)가 절개되며, 돌기(41)의 하방에는 비틀림스프링(50)의 선단을 지지하는 지지편(42)이 형성된 슬리브(40)로
구성된 헤드레스트용 일자형 스테이폴이다.
또한, 상기 승강걸림홈(31)이 형성된 일자형스테이폴(30) 대신 외주면에 승강걸림홈(31)이 배제된 일자형스테이
폴(30)이 구성되고, 비틀림스프링(50)의 가로바(51)가 올려지는 것으로 상부에 홈(7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연
질의 고무(72)로 구성된 스토퍼(70)가 추가로 구성된다. 한편, 슬리브(40)의 하부를 감싸는 브래킷(60)이 프레임
(80)에 볼트(44)로 고정되는 구성이다.
대 표 도 - 도2
- 1 -
등록특허 10-0887370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삭제
청구항 2
헤드레스트용 스테이폴에 있어서,
다각형상 또는 타원형상의 단면을 갖는 일자형스테이폴(30)과;
좌석 내부의 프레임(80)에 볼트(44)를 통해 고정되어 일자형스테이폴(30)의 상하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일자형
스테이폴(30)에 외삽되는 것으로, 양측면에는 비틀림스프링(50)이 장착되는 돌기(4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비
틀림스프링(50)의 가로바(51) 부분이 끼워지는 개구부(43)가 절개되며, 돌기(41)의 하방에는 비틀림스프링(50)
의 선단을 지지하는 지지편(42)이 형성된 슬리브(40)와;
상부에는 홈(7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연질의 고무(72)로 구성되어 비틀림스프링(50)의 가로바(51)가 홈(71)에
걸려지도록 구성된 스토퍼(70)와;
슬리브(40)의 하부를 감싸면서 프레임(80)에 볼트(44)로 장착되는 브래킷(60)로 구성되어,
비틀림스프링(50)의 가로바(51)에 의해 연질의 고무(72)의 홈(71)이 눌려짐에 따라 고무(72)가 일자형스테이폴
(30)과 접촉하는 외주면에서 마찰력을 발생시켜 헤드레스트(10)의 높낮이가 일정한 단계가 아닌 무단(無段)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용 일자형 스테이폴.
청구항 3
삭제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에서 1개의 일자형 스테이폴에 관한 것이다. 헤드레스트(10)는 좌석의<1>
등받이(11) 상단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후두부를 편안하게 지지해 주는 것으로서, 통상 탄성 복원력이 탁월한
우레탄폼 내지 메모리폼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된다.
또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10)는 좌석의 등받이(11)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탑승자의 신장에 따<2>
라 높이조절이 임의로 가능하며, 고급차종에는 높이조절뿐만 아니라 전후방으로 직전운동 내지 한점을 중심으
로 회동도 가능하여 더욱 편안하게 탑승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배 경 기 술
종래의 헤드레스트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등받이(11) 상부에 2개의 스테이폴(21)을 통해 승강가능하게<3>
설치된다. 스테이폴(21)에는 높이조절을 위한 조절홈(22)이 형성되고, 등받이(11) 상부에는 레버(12)가 장착된
다. 스테이폴(21)은 이 레버(12)에 관통되면서 설치되는데 통상적으로 한손으로 레버(12)를 잡아당기고, 또 한
손으로 헤드레스트(10)를 잡아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레버(12)에 조절홈(22)이 걸려 높이가 고정되는 방식으로
헤드레스트(10)의 높낮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한다.
본 발명은 종래 2개의 스테이폴(21)의 제작공정상의 문제와 외관의 미려함을 고려하고, 높이조절의 편리성을<4>
추구하고자 창안된 헤드레스트용 일자형 스테이폴이다. 즉, 1개의 스테이폴에 소요되는 제작단가 및 작업시간
은 2개의 스테이폴에 소요되는 제작단가 및 작업시간보다 더욱 절감될 것과 높이조작의 편의성 증대에 착안하
여 본 발명이 발명되었다.
발명의 내용
- 2 -
등록특허 10-0887370
해결 하고자하는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2개의 스테이폴을 1개의 스테이폴로 전환하면서 단순히 스테이폴의 갯수를 감하는 구<5>
성에 머물지 않고 1개의 스테이폴이지만 더욱 향상된 높이조작이 가능하도록 제반 구성들을 제안한다. 또한,
제작단가를 절감하여 제작사의 채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과제 해결수단
본 발명의 구체적인 과제 해결 수단은 외주면에 승강걸림홈(3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각형상 또는 타원형<6>
상의 단면을 갖는 일자형스테이폴(30)과, 일자형스테이폴(30)에 외삽되는 것으로 양측면에는 비틀림스프링(5
0)이 장착되는 돌기(4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비틀림스프링(50)의 가로바(51) 부분이 끼워지는 개구부(43)가
절개되며, 돌기(41)의 하방에는 비틀림스프링(50)의 선단을 지지하는 지지편(42)이 형성된 슬리브(40)로 구성
된다.
또한, 상기 승강걸림홈(31)이 형성된 일자형스테이폴(30) 대신 외주면에 승강걸림홈(31)이 배제된 일자형스테<7>
이폴(30)이 구성되고, 비틀림스프링(50)의 가로바(51)가 올려지는 것으로 상부에 홈(7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연질의 고무(72)로 구성된 스토퍼(70)가 추가로 구성된다. 한편, 슬리브(40)의 하부를 감싸는 브래킷(60)이 프
레임(80)에 볼트(44)로 고정되는 구성이다.
효 과
본 발명으로 인해, 스테이폴의 제작단가가 절감되어 채산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헤드레스트의 높낮이 조작시<8>
단순히 헤드레스트를 상.하로 당기거나 눌러주는 간단한 방식으로 조작할 수 있어서, 종래 레버의 조작이 수반
된 높낮이 조작방식보다 조작이 수월해 지는 장점이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구성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9>
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용 일자형 스테이폴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용<10>
일자형 스테이폴의 결합 사시도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도조절뭉치(20) 하방에는 승강걸림홈(3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일자형스테이폴(30)이 장착된다. 특별히 일자형스테이폴(30)을 적용하면서 자전(自轉)될수
있는 요소를 배제하고자 단면을 사각형상으로 적용한다. 상기 각도조절뭉치(20)는 고급차종에서 헤드레스트(1
0)의 틸팅(Tilting)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헤드레스트(10) 내부에 장착되는 것이다.
일자형스테이폴(30)에는 슬리브(40)가 외삽되는바, 이 슬리브(4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석 내부의 프<11>
레임(80)에 볼트(44)를 통해 고정되어 일자형스테이폴(30)의 상하운동을 가이드한다.
슬리브(40)의 양측면에는 비틀림스프링(50)이 장착되는 돌기(4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비틀림스프링(50)의 가<12>
로바(51) 부분이 끼워지는 개구부(43)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또한, 돌기(41)의 하방에는 비틀림스프링(50)의 선
단을 지지하여 스프링의 탄성력이 유지되도록 지지편(42)이 형성된다.
상기 비틀림스프링(50)은 슬리브(40)의 돌기(41)에 끼워진 후, 지지편(42)에서 선단이 지지되면서 절개된 개구<13>
부(43) 사이로 가로바(51)가 일자형스테이폴(30)의 승강걸림홈(31)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슬리브(40)가 볼트(44)를 통해 프레임(80)에 장착되고, 비틀림스프링(50)이 슬리브(40)에 장착되면 마지막으로<14>
도 3에서와 같이 브래킷(60)이 슬리브(40)의 하부를 감싸면서 프레임(80)에 볼트(44)로 장착되어, 이후 헤드레
스트(10)에 가해지는 탑승자의 후두부 압력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한다.
슬리브(40) 내부에 일자형스테이폴(30)을 삽입한 이후, 탑승자의 신장에 따라 헤드레스트(10)의 높이를 조절하<15>
고자 할 때에는 헤드레스트(10)를 손으로 잡고 단순히 상부 또는 하부로 힘을 가하면 비틀림스프링(50)의 가로
바(51) 부분이 승강걸림홈(31)에 단계적으로 걸리면서 헤드레스트(10)의 높이조절이 간단하게 이루어 진다. 따
라서, 종래 헤드레스트(10)의 높낮이 조작시 레버(12)의 조작이 반드시 수반되던 번거로움이 간단하게
해결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용 일자형 스테이폴의 다른 결합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도 2, 3<16>
과 동일구성을 갖는다. 다만, 일자형스테이폴(30)에 형성된 승강걸림홈(31)이 없으며, 비틀림스프링(50)의 가로
- 3 -
등록특허 10-0887370
바(51)에 의해 눌려지는 스토퍼(70)가 추가로 구성된다.
상기 스토퍼(70)는 도 4의 원내확대도와 같이 상부에 비틀림스프링(50)의 가로바(51)가 올려지는 홈(71)이 형성<17>
되고, 하부에는 연질의 고무(72)로 구성된다. 이 스토퍼(70)의 기능은 비틀림스프링(50)의 가로바(51)에 의해
눌려지면서 연질의 고무(72)가 일자형스테이폴(30)과 접촉하는 외주면에서 마찰력을 발생시켜 헤드레스트(10)의
높낮이가 일정한 단계가 아닌 무단(無段)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도 2, 3에서와 같이 일자형스테이폴(30)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승강걸림홈(31)에 비틀림스프링(50)의 가로<18>
바(51)가 걸리는 방식은 헤드레스트(10)의 높낮이가 일정단계로 조절되지만, 스토퍼(70)가 적용된 도 4의 구성
은 높낮이의 제어가 더욱 세밀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19>
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사각형상의 일자형스테이폴(30)을 도시하였지만 이는 회전을 방지하
기 위한 형상일 뿐 다각형상 또는 타원형상 등 1개의 일자형 스테이폴이면서 회전이 방지되는 다양한 단면은 모
두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포함된다 하겠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의 헤드레스트가 등받이에 장착된 사시도<20>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용 일자형 스테이폴의 분리 사시도<2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용 일자형 스테이폴의 결합 사시도<2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용 일자형 스테이폴의 다른 결합 사시도<23>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자형 스테이폴이 장착된 헤드레스트가 등받이에 장착된 사시도<24>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5>
10 : 헤드레스트<26>
11 : 등받이<27>
12 : 레버<28>
20 : 각도조절뭉치<29>
21 : 스테이폴<30>
22 : 조절홈<31>
30 : 일자형스테이폴<32>
31 : 승강걸림홈<33>
40 : 슬리브<34>
41 : 돌기<35>
42 : 지지편<36>
43 : 개구부<37>
44 : 볼트<38>
50 : 비틀림스프링<39>
51 : 가로바<40>
60 : 브래킷<41>
70 : 스토퍼<42>
71 : 홈<43>
72 : 고무<44>
- 4 -
등록특허 10-0887370
80 : 프레임<45>
도면
도면1
- 5 -
등록특허 10-0887370
도면2
- 6 -
등록특허 10-0887370
도면3
- 7 -
등록특허 10-0887370
도면4
- 8 -
등록특허 10-0887370
도면5
- 9 -
등록특허 10-0887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