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블럭(A modulator block of ABS)

갈때까지가는거야 2018. 3. 3. 18:26

등록특허 10-0349534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51) 。Int. Cl.7
B60T 8/00
(45) 공고일자
(11) 등록번호
(24) 등록일자
2002년08월21일
10-0349534
2002년08월08일
(21) 출원번호 10-2000-0020881 (65) 공개번호 특2001-0097094
(22) 출원일자 2000년04월20일 (43) 공개일자 2001년11월08일
(73) 특허권자 주식회사 만도
경기 평택시 포승면 만호리 343-1
(72) 발명자 박경일
경기도평택시포승면만호리한라아파트101동401호
(74) 대리인 서상욱
심사관 : 이성철
(54)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블럭
요약
본 발명은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블럭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펌프측으로부터 새어나오는 오
일을 흡수하여 모터 내부로의 오일 유입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블럭(20)에 의하면, 니들베어링(48)과 볼베어링(49)이
설치되는 베어링보어(27)(28) 주변부에 오일 흡수력이 우수한 오일흡수부재(29)가 배치되어 있어서, 펌프(24)(25)
측에서 새어나오는 오일이 모터(40)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오일흡수부재(29)에 모두 흡수된다. 이에 따라 유출오일에
의한 모터(40)의 고장이 방지됨과 동시에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품 신뢰성이 보다 향상되는 이점이 있
다.
대표도
도 3
명세서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펌프와 모터 장착구조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을 보인 유압 계통도이다.
- 1 -
등록특허 10-0349534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레이터블럭과 모터의 장착구조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 - 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모듈레이터블럭 24,25..펌프
27,28..베어링보어 29..오일흡수부재
29A..시트부 40..모터
47..시일 48..니들베어링
49..볼베어링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펌프가 내장되며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
터가 외측면에 장착되는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전륜과 후륜을 제동하기 위한 유압브레이크와, 유압브레이크 측으로 제동유압을 형성하여 전달하
는 배력장치와 마스터실린더 등이 장착되어 있어서, 운전자가 브레이크패달을 밟으면 제동유압이 형성되며 이것이 유압
브레이크로 전달되어 제동력이 발생된다. 그러나, 운전자가 브레이크패달을 밟아 제동력 증가/유지 상태로 제어하는 중
에 제동압력이 노면상태보다 크거나, 유압브레이크에서의 마찰력이 타이어나 노면에서 발생하는 제동력보다 크면, 타이
어가 노면에서 미끄러지는 슬립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슬립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강력하고 안정된 제동력을 얻기 위한 것이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으로, 이것
은 유압브레이크측으로 전달되는 제동유압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개의 솔레노이드밸브와 어큐뮤레이터 및 펌프를 구비
한다.
즉, 종래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은 다수개의 솔레노이드밸브와 어큐뮤레이터 및 한쌍의 펌프가 설치된 모듈레
이터블럭과, 모듈레이터블럭의 일측면을 덮도록 장착되며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ECU와, 모듈레이
터블럭의 타측면에 결합되어 한쌍의 펌프를 동시에 구동시키는 모터를 구비한다.

모듈레이터블럭은 알루미늄으로 마련된 직육면체 블록이며, 이의 일측면에 다수개의 솔레노이드밸브가 장착되어 유압
브레이크 측으로 전달되는 제동유압을 실질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이 솔레노이드밸브는 유압브레이크의 상류측과 연계
되는 NO형 솔레노이드밸브와 하류측과 연계되는 NC형 솔레노이드밸브로 구별되며, 이들은 ECU에 의해 제어된다. 즉,
ECU는 내부에 회로기판이 배치되며 솔레노이드밸브가 설치된 모듈레이터블럭의 일측면을 덮도록 장착되는데, 전륜 및
후륜에 장착된 각 휠센서를 통해 차속을 감지하고 이를 통해 각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작동 및 모터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 2 -
등록특허 10-0349534

어큐뮤레이터는 감압모드 시 유압브레이크측에서 빠져 나온 오일이 일시 저장되는 저압어큐뮤레이터와, 증압 또는 유지
모드 시 펌프에서 토출된 오일의 압력맥동을 줄이기 위한 고압어큐뮤레이터로 구별된다. 즉, 저압어큐뮤레이터는 NC형
솔레노이드밸브의 하류측에 독립적으로 마련되며, 고압어큐뮤레이터는 일종의 댐핑쳄버로서 저압어큐뮤레이터와 직렬
로 연결되게 배치되며 출구부에 오리피스가 마련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펌프(2)(3)는 모듈레이터블럭(1)내에 가로방향으로 가로질러 가공된 펌프
장착용 보어(1a)의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되며, 저압어큐뮤레이터(미도시)내의 오일을 가압하여 고압어큐뮤레이터(미
도시) 측으로 펌핑하게 된다. 즉, 펌프장착용 보어(1a)에는 직선 왕복운동하여 오일을 압축 펌핑하며 인렛밸브(2b)(3
b)가 내장된 피스톤(2a)(3a)과, 펌핑되는 가압 오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아웃렛밸브(2c)(3c)가 대칭되게 설치된
다.
모터(4)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듈레이터블럭(1)의 일측면에 설치되는데, 외형 몸체를 이루며 일측이 개방된
통상의 하우징(4a)과, 하우징(4a)의 개방부를 덮으며 가장자리를 따라 탄성재질의 시일(7)이 배치된 커버(4f)와, 하
우징(4a) 내부에 설치된 고정자(4b)와, 고정자(4b)와 상호 작용하여 회전운동하며 축방향으로 회전축(4d)이 압입된
회전자(4c)를 구비한다.
회전축(4d)은 커버(4f) 중심부에 천공된 개구부(4g)를 여유있게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된다. 회전축(4d)의 선단은 편
심부(4e)로 이루어져 있고, 여기에 니들베어링(5)이 배치된다. 이 회전축(4d)을 지지하기 위해 커버(4f)의 중심부에
는 볼베어링(6)이 설치된다.
또한, 회전축(4d)의 편심부(4e)에 결합되는 니들베어링(5)은 일측 피스톤(2a)과 타측 피스톤(3a) 사이에 배치되는데,
이를 위해 모듈레이터블럭(1)의 일측면에는 펌프장착용 보어(1a)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통되게 니들베어링(5) 장착
을 위한 제1베어링보어(1b)와 볼베어링(6) 장착을 위한 제2베어링보어(1c)가 단차지게 가공된다.
따라서 모듈레이터블럭(1) 측면에 모터(4)를 장착하면, 니들베어링(5)이 설치된 회전축(4d)의 편심부(4e)가 제1베
어링보어(1b)내에 배치됨으로써 한쌍의 피스톤(2a)(3a)을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고, 제2베어링보어(1c)에는 볼베어
링(6)이 안착되어 회전축(4d)의 회전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커버(4f)에 마련된 시일(7)은 모듈레이
터블럭(1)의 측면에 압착되어 이들 사이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종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에서 주행 중에 감속 또는 정지를 목적으로 브레이크패달을 밟는데,
제동압력이 노면조건보다 크면 슬립현상이 발생되며, ECU에서는 슬립현상을 휠센서를 통해 감지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NC형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 작동시켜 유압브레이크내의 오일을 제거함으로써 제동압력을 낮추며,
이것에 의해 차량이 노면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 때, NC형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해 토출된 오일은 저압어
큐뮤레이터로 이동하여 잠시 저장된다.
한편, 감압상태가 오래 지속되거나 타이어와 노면에서의 마찰력이 증가되어 차량의 제동효율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제동
유압을 증가시키기 위해 모터(4) 구동을 통해 한쌍의 펌프(2)(3)를 작동시킨다.
즉, 모터(4)의 회전축(4d)이 회전됨에 따라 니들베어링(5)과 접하고 있는 펌프(2)(3)의 피스톤(2a)(3a)이 왕복운동
하고, 이러한 작동에 의해 저압어큐뮤레이터에 저장된 오일이 흡입 압력이 상승되면서 고압어큐뮤레이터로 안내되며,
마스터실린더 또는 NO형 솔레노이드밸브 측으로 다시 전달된다.
그러나 종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에서는 모터(4)가 구동하여 오일을 펌핑하는 중에 제1베어링보어(1b)와 제2베어
링보어(1c)를 통해 미세한 양의 오일이 누설되며, 이 오일은 커버(4f)의 개구부(4g) 등을 통해 전기구동부가 내장된
모터 하우징(4a)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 3 -
등록특허 10-0349534

즉, 직선 왕복운동하는 피스톤(2a)(3a) 외주에 오일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오링(2d)(3d)이 설치되어 있지만, 펌프장
착용 보어(1a) 내주와 시일(2d)(3d)과의 미세한 틈새를 통해 소량의 오일이 니들베어링(5)이 배치된 제1베어링보어
(1b)측으로 유출되며, 계속하여 이것은 볼베어링(6)이 설치된 제2베어링보어(1c)측으로 새어나간다. 이러한 오일은
모듈레이터블럭(1) 측면에 압착되도록 커버(4f)에 배치된 시일(7)에 의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모듈레이터블럭
(1) 측면과 모터(4)의 커버(4f) 외면 사이틈에 고이며, 계속하여 적정수위에 이르면 커버(4f)의 개구부(4g) 등을 통
해 모터 하우징(4a)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모터 하우징(4a)내로 유입된 오일은 전기구동부인 부러시(4h) 등에 이물질로 작용하여 부러시(4h)가 고착
되거나 전기저항이 증가하며, 심한 경우 제품고장의 원인으로 작용하여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품 신뢰
성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모듈레이터블럭의 펌프측에서 새어나오는 오일을 흡수하
여 모터 내부로 유입됨을 방지함으로써, 모터 고장을 방지함과 동시에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품 신뢰성
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블럭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로방향으로 펌프장착용 보어가 가공된 모듈레이터블럭과, 펌프장착용 보어내에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쌍의 피스톤을
구비하여 ABS 증압제동 또는 압력유지 제동작용 시 오일을 가압하여 토출하는 펌프와, 모듈레이터블럭의 측면에 장착
되며 편심부로 이루어진 회전축 선단에 니들베어링이 설치되어 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와, 니들베어링이 한쌍의
피스톤 사이에 위치되도록 모듈레이터블럭의 측면에 펌프장착용 보어의 중심부와 직교되게 가공된 베어링보어를 갖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베어링보어의 주변부에는 베어링보어를 통해 유출되는 오일을 흡수하기 위한 오일흡수부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
는 구성이다.
또한, 베어링보어의 외측 주변부에는 단차지게 보어 가공된 시트부가 형성되고, 오일흡수부재는 시트부에 안착되도록
도넛 형상으로 마련되며 모터의 장착 시 모듈레이터블럭 측면과 모터의 전면 사이에서 압착되는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또한, 모터의 전면에는 모듈레이터블럭의 측면에 압착되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링형상의 시일이 배치되며, 오일흡수부재
는 시일이 압착되는 부위 내측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베어링보어를 통해 펌프측으로부터 새어나오는 오일이 오일흡수부재에 전부 흡수되어 모터 내부
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모터 고장이 발생되지 않고 아울러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품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의 유압계통도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터 장착구조와 오일흡수부재가 설치된 모듈레이터블럭을 보인 개략도이다.
- 4 -
등록특허 10-0349534

본 발명이 적용된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브레이크(13)측으로 유압전달을 제
어하기 위한 다수개의 솔레노이드밸브(21A)(21B)와 저압ㆍ고압어큐뮤레이터(22)(23) 및 한쌍의 펌프(24)(25)가
내장되는 모듈레이터블럭(20)과, 전기적인 구동요소를 제어하는 ECU(30)와, 모듈레이터블럭(20)에 장착되며 한쌍의
펌프(24)(25)를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는 모터(40)를 구비한다.
모듈레이터블럭(20)은 알루미늄 직육면체 블록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모듈레이터블럭(20)의 일측면에 유압브레이크
(13)의 상류 및 하류측과 연계되는 다수개의 NO형 및 NC형 솔레노이드밸브(21A)(21B)가 콤팩트하게 배치되어 유압
브레이크(13)측으로 전달되는 제동유압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솔레노이드밸브(21A)(21B)의 개폐작동은 전륜과
후륜에 배치된 휠센서(31)를 통해 차량속도를 감지하는 ECU(30)에 의해 각각 제어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ECU(30)는 모듈레이터블럭(20)의 일측면에 솔레노이드밸브(21A)(21B)를 덮도록 결합되
며 내부에 휠센서(3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근거로 각 솔레노이드밸브(21A)(21B) 및 모터(40)측에 전원인가를 제
어하기 위한 회로기판(미도시)이 마련된다.
그리고, 저압ㆍ고압어큐뮤레이터(22)(23,도 2참조)는 모듈레이터블럭(20)의 하면에 보어가공을 통해 이루어져 있어
서, 감압 제동작용에 따라 NC형 솔레노이드밸브(21B)가 개방되어 유압브레이크(13)에서 빠져 나온 오일이 저압어큐
뮤레이터(22)에 일시적으로 저장되며, 증압/유지 제동작용에 따라 펌프(24)(25)가 구동되어 가압 토출되는 오일이 고
압어큐뮤레이터(23)로 안내되어 압력맥동을 저감하게 된다.
한쌍의 펌프(24)(25)는 모터(40)에 의해 일정 위상차를 가지며 동시 구동되어 저압어큐뮤레이터(22)에 저장된 오일
을 흡입하여 고압어큐뮤레이터(23) 측으로 가압 펌핑하게 된다. 이러한 펌프(24)(25) 구성을 위해 모듈레이터블럭(
20)에는 가로방향으로 가로질러 펌프장착용 보어(26)가 실린더 형상으로 가공되어 있으며, 이것은 흡입포트와 토출포
트를 통해 저압어큐뮤레이터(22) 및 고압어큐뮤레이터(23)와 연계된다.

이 펌프장착용 보어(26)에는 좌우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며 선단에 인렛밸브(24A)(25A)를 갖춘 피스톤(24B)(25B)과,
피스톤(24B)(25B)을 복원시키기 위한 리턴스프링(24C)(25C)과, 펌프장착용 보어(26)의 단부를 폐쇄하며 피스톤(
24B)(25B) 위치에 따라 인렛밸브(24A)(25A)와 상반되게 개폐되는 아웃렛밸브(24D)(25D)를 갖춘 밸브하우징(24
E)(25E) 등이 설치된다. 피스톤(24B)(25B)은 후술하는 회전축(44) 편심부(44A)의 편심 회전에 의해 펌프장착용
보어(26) 내부를 왕복 운동하는데, 피스톤(24B)(25B) 외주에는 작동 중 오일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오링(24F)(25F)
이 설치된다. 그리고 인렛밸브(24A)(25A)는 흡입포트와 직접 연계되며, 아웃렛밸브(24D)(25D)는 토출포트와 연계
되어 오일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모터(40)는 일반적인 DC 모터로서, 모듈레이터블럭(20)의 타측면에 장착되며 전면이 개방된 하우징(41)과,
하우징(41) 내주에 설치된 고정자(42)와, 고정자(42)와 상호 작용하여 회전 운동하는 회전자(43)와, 회전자(43)의
중심부에 축방향으로 압입되어 같이 회전하며 선단에 편심부(44A)가 마련된 회전축(44)과, 하우징(41)의 전면을 폐
쇄하며 회전축(44)의 편심부(44A)가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중심부에 개구부(46A)가 천공된 커버(46)를 구비
한다.
커버(46)의 전면에는 모듈레이터블럭(20)의 측면에 압착되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링형상의 시일(47)이 배치되며, 중
심부에 회전축(44)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이를 지지하는 볼베어링(49)이 설치된다. 그리고 일정 편심량을 가
진 편심부(44A)는 모터(40)의 장착 시 일측 피스톤(24B)과 타측 피스톤(25B) 사이에 위치되는데, 여기에는 양측 피
스톤(24B)(25B)을 동시에 구동시키기 위한 니들베어링(48)이 배치된다.
이러한 볼베어링(49)과 니들베어링(48) 설치를 위해 모듈레이터블럭(20)의 타측면에는 펌프장착용 보어(26)의 중심
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계되게 보어 가공된 제1,제2베어링보어(27)(28)가 마련된다. 제1베어링보어(27)는 펌프장
착용 보어(26)의 중심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통되게 가공되어 니들베어링(48)이 설치되며, 제2베어링보어(28)는
제1베어링보어(27)의 내경보다 확장되게 가공되어 볼베어링(49)이 안착된다.
- 5 -
등록특허 10-0349534

한편, 제1,제2베어링보어(27)(28)의 주변부에는 이들을 통해 유출되는 오일을 흡수하기 위한 오일흡수부재(29)가 마
련된다.
이 오일흡수부재(29)는 소정의 두께를 갖으며 도넛 형상의 다공성 재질로 마련되며, 오일흡수부재(29)가 안착되도록
제2베어링보어(28)의 내측 주변부에는 직경이 확장되어 단차지게 보어 가공된 시트부(29A)가 형성된다. (이 때, 오일
흡수부재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오일 흡수력이 우수한 스폰지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오일흡수부재(29)는 모터(4
0)의 장착 시 모듈레이터블럭(20) 측면과 모터(40)의 커버 전면부 사이에서 압착된다.
또한, 이러한 오일흡수부재(29)는 흡수된 오일이 모듈레이터블럭(20)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모터(40) 커버(4
6)의 전면에 배치된 시일(47)이 압착되는 부위(G) 내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차량을 감속하거나 정지상태 유지를 위해 운전자가 브레이크패달(10)을 밟게 되는데, 통상의 제동작용인 경우
배력장치(11)에서 증폭된 배력을 통해 마스터실린더(12)에서 형성된 제동유압은 NO형 솔레노이드밸브(21A)를 통해
유압브레이크(13) 측으로 전달됨으로써, 차량의 제동작용이 이루어진다. 반대로, 운전자가 브레이크패달(10)에서 조
금씩 또는 완전하게 발을 떼면, 유압브레이크(13)내의 오일압력은 다시 NO형 솔레노이드밸브(21A)를 통해 마스터실
린더(12)로 복귀되어 제동력이 감소되거나 제동작용이 완전히 해제된다.


그리고, 주행 중에 감속 또는 정지를 목적으로 제동력 증가 / 유지상태로 제어하는 중에 운전자가 제동압력을 노면상태
보다 크게 하거나 노면조건이 변화되어 제동압력으로 발생하는 유압브레이크(13)에서의 마찰력이 차량의 타이어나 노
면에서 발생하는 제동력보다 크면, 타이어가 노면에서 미끄러지는 슬립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슬립현상에 의해 차량
은 조향력을 상실하고 제동거리가 증가함은 물론이며, 차량이 회전하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ABS제어가 필요하다. 이러
한 ABS는 차량의 전륜과 후륜에 배치된 휠센서(3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근거로 감압, 증압, 유지 등 3가지 모드로
제어되며, 각각의 제어상태는 전륜과 후륜에 모두 같은 상태로 조절되는 것이 아니고 마찰조건에 따라 별개로 제어, 즉
3가지 모드가 섞여서 제어된다.


우선, 차량용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동압력 감압작동을 설명한다. 제동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유압브
레이크(13)내의 제동압력이 노면조건보다 크면 적정압력으로 낮추어야 한다. 이에 따라 ECU(30)에서는 NC형 솔레노
이드밸브(21B)를 개방 작동시킴으로써, 유압브레이크(13)로부터 빠져 나온 오일은 저압어큐뮤레이터(22)에 일시적
으로 저장된다. 이 때, 각각의 NC형 솔레노이드밸브(21B) 개방작동은 동시 또는 각각 수행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유압브레이크(13)내의 제동압력이 낮아져서 노면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다음에는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동압력 증압작동을 설명한다. ABS 제어중 감압 상태가 오래 지속되거나 차량이
진행되어 노면 마찰계수가 높은 곳으로 이동하면 유압브레이크(13)내의 제동압력으로 제동을 할 수 있는 것보다 타이
어와 노면에서 발생시킬 수 있는 마찰력이 증가되어 차량 제동효율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된다. ECU(30)에서는 휠센
서(2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근거로 이와 같은 상황을 판단, 유압브레이크(13)내의 제동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모
터(40)를 구동시킴으로써 펌프(24)(25)가 작동한다. 이에 따라 저압어큐뮤레이터(22)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브레이크 오일은 피스톤(24B)(25B)의 왕복운동에 의해 가압되며, 아웃렛밸브(24D)(25D)를 통해 고압어큐뮤레이터
(23)내로 토출되어 오일의 압력맥동이 줄어든다. 계속하여, 압력맥동이 저감된 오일은 개방 작동된 NO형 솔레노이드
밸브(21A)를 통해 유압브레이크(13)로 전달됨으로써 제동유압이 증가된다.

- 6 -
등록특허 10-0349534


그리고 ABS제어 중에서 유압브레이크(13)내의 제동압력이 최적의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상태에 이르거나, ABS제어
중에 파생되는 차량의 공진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제동압력을 일정상태로 유지하는 제동압력 유지작동이 필요하다.
즉, 압력 유지작동은 차량의 전륜과 후륜에 장착된 유압브레이크(13)내의 압력변화를 없게 하는데, 이것은 제동압력을
유지하고자 하는 유압브레이크(13)측의 NO형 솔레노이드밸브(21A)를 폐쇄 작동시켜 유압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펌프(24)(25)로부터 토출되는 가압오일은 마스터실린더(12)측으로 전달됨으로써, 제동압력 유지작동이 수
행된다.

이와 같이, 제동압력 증압작동 및 압력유지 작동 시 모터(40)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니들베어링(48)이 배치된 회전
축(44)의 편심부(44A)가 편심 회전하고, 이것에 의해 일측 피스톤(24B)과 타측 피스톤(25B)이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며 펌프장착용 보어(26) 내부를 왕복운동함으로써, 저압어큐뮤레이터(22)내의 오일은 가압되어 NO형 솔레노이
드밸브(21A) 또는 마스터실린더(12) 측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피스톤(24B)(25B)의 왕복운동 시 펌프장착용 보어(26)와 오링(24F)(25F)과의 클리어런스를 통해 오일이
유출되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이 오일은 오일흡수부재(29)에 흡수된다.

즉, 펌프장착용 보어(26)내에서 일측 피스톤(24B)과 타측 피스톤(25B)이 구동함에 따라 소량의 오일이 제1베어링보
어(27)와 제2베어링보어(28)를 통해 모듈레이터블럭(20) 측면 외부로 새어나오는데, 이것은 시트부(29A)에 안착된
오일흡수부재(29)에 흡수된다. 이 때, 오일흡수부재(29)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일 흡수력이 우수한 다공성 재
질로 구성되며, 모터(40) 커버(46)의 전면에 마련된 시일(47)이 압착되는 부위(G) 내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흡수된
오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경우는 발생되지 않는다.

결국, 펌프(24)(25)측으로부터 새어나온 오일이 모터(40) 하우징(41)내로 유입되지 않고 별도로 배치된 오일흡수부
재(29)에 모두 흡수됨으로써, 유출 오일에 의한 모터 전기구동부의 손상이 방지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블럭에 의하면, 니들
베어링과 볼베어링이 설치되는 베어링보어 주변부에 오일 흡수력이 우수한 오일흡수부재가 배치되어 있어서, 펌프측에
서 새어나오는 오일이 모터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오일흡수부재에 모두 흡수된다. 이에 따라 유출오일에 의한 모터의
고장이 방지됨과 동시에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품 신뢰성이 보다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57)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가로방향으로 펌프장착용 보어가 가공된 모듈레이터블럭과, 상기 펌프장착용 보어내에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쌍의 피스
톤을 구비하여 ABS 증압제동 또는 압력유지 제동작용 시 오일을 가압하여 토출하는 펌프와, 상기 모듈레이터블럭의 측
면에 장착되며 편심부로 이루어진 회전축 선단에 니들베어링이 설치되어 상기 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와, 상기 니
들베어링이 상기 한쌍의 피스톤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모듈레이터블럭의 측면에 상기 펌프장착용 보어의 중심부와
직교되게 가공된 베어링보어를 갖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보어(27)(28)의 주변부에는 상기 베어링보어(27)(28)를 통해 유출되는 오일을 흡수하기 위한 오일흡수
부재(29)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블럭.
- 7 -
등록특허 10-0349534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보어(27)(28)의 외측 주변부에는 단차지게 보어 가공된 시트부(29A)가 형성되고,
상기 오일흡수부재(29)는 상기 시트부(29A)에 안착되도록 도넛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모터(40)의 장착 시 상기
모듈레이터블럭(20) 측면과 상기 모터(40)의 전면 사이에서 압착되는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블럭.
청구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40)의 전면에는 상기 모듈레이터블럭(20)의 측면에 압착되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링형상의 시일(47)이 배
치되며,
상기 오일흡수부재(29)는 상기 시일(47)이 압착되는 부위(G) 내측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록 브레이크 시
스템의 모듈레이터블럭.
도면
도면 1
- 8 -
등록특허 10-0349534

도면 2
- 9 -
등록특허 10-0349534

도면 3
- 10 -
등록특허 10-0349534

도면 4
-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