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인쇄기의 습수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인쇄기(WETTING DEVICE OF PRINTER AND PRINTER COMPRISING THE SAME)

갈때까지가는거야 2018. 3. 2. 09:40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11) 공개번호 10-2018-0015556
(43) 공개일자 2018년02월13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B41F 31/02 (2015.01) B41F 1/16 (2006.01)
B41F 31/13 (2006.01)
(52) CPC특허분류
B41F 31/022 (2013.01)
B41F 1/16 (2013.01)
(21) 출원번호 10-2016-7022700
(22) 출원일자(국제) 2016년05월13일
심사청구일자 없음
(85) 번역문제출일자 2016년08월19일
(86) 국제출원번호 PCT/JP2016/064312
(87) 국제공개번호 WO 2016/194583
국제공개일자 2016년12월08일
(30) 우선권주장
JP-P-2015-112932 2015년06월03일 일본(JP)
JP-P-2015-226386 2015년11월19일 일본(JP)
(71) 출원인
아이머 플래닝 가부시키가이샤
일본 교토후 교토시 후시미쿠 시모토바 조슌가마
에쵸 112
(72) 발명자
이즈메 마사유키
일본 6128384 교토후 교토시 후시미쿠 시모토바
조슌가마에쵸 112 아이머 플래닝 가부시키가이샤
나이
(74) 대리인
김태홍, 김진회
전체 청구항 수 : 총 6 항
(54) 발명의 명칭 인쇄기의 습수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인쇄기
(57) 요 약
습수량 조정 장치(40)는, 물전사 롤러(8)의 축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각각이 하나의 에어 분출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에어 공급 박스(41)를 구비하고 있다. 에어 공급 박스(41)는, 에어 공급실(57) 내의 에어를 물전사 롤러
(8)의 외주면을 따라서 통과시켜, 에어 배출실(60) 내로 보내는 대략 U자형의 에어 통로(67)를 갖고 있다. 에어
통로(67) 도중에, 에어량을 증감시키는 밸브 기구(44)가 설치되어 있다.
대 표 도 - 도2
공개특허 10-2018-0015556
- 1 -
(52) CPC특허분류
B41F 31/13 (2013.01)
B41J 2202/07 (2013.01)
공개특허 10-2018-0015556
- 2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수원(水源)측의 하나 또는 복수의 롤러와, 인쇄부측의 롤러와, 습수량 조정 장치를 구비하고, 수원측의 롤러로
부터 인쇄부측의 롤러에 습수(濕水)가 전사되도록 이루어져 있는 인쇄기의 습수 장치에 있어서,
습수량 조정 장치는, 수원측의 어느 하나의 롤러의 축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배치되고, 롤러에 대한 에어 분무량
이 각각 별개로 밸브 기구에 의해 조정 가능하게 된 에어 분출부를 구비하고 있고, 각 에어 분출부는, 롤러의
외주면을 따라서 에어를 흘리는 에어 분무 통로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의 습수 장치.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각 에어 분출부는, 유량 제어 밸브를 통해 에어 도입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의 습수 장치.
청구항 3
제1항에 있어서, 각 에어 분출부는, 흡인 장치에 접속된 에어 배출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기의 습수 장치.
청구항 4
제1항에 있어서, 습수량 조정 장치는, 롤러의 축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각각이 하나의 에어 분출부를 형성하
는 복수의 에어 공급 박스와, 어느 하나의 에어 공급 박스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관과, 어느 하나의 에어
공급 박스로부터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 배출관을 구비하고,
각 에어 공급 박스는, 인접하는 에어 공급 박스에 연통하여 에어 공급관을 통해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
공급실과, 인접하는 에어 공급 박스에 연통하여 에어 배출관을 통해 에어가 배출되는 에어 배출실과, 인접하는
에어 공급 박스와 격벽에 의해 구획되고 있고, 에어 공급실 내의 에어를 롤러의 외주면을 따라서 통과시켜 에어
배출실 내로 보내는 에어 통로를 갖고 있고,
에어 통로 도중에, 에어량을 증감시키는 밸브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의 습수 장치.
청구항 5
제4항에 있어서, 각 에어 공급 박스의 에어 공급실에, 연통 구멍이 형성된 구획벽이 설치되어 있고, 밸브 기구
는, 연통 구멍의 전부를 폐쇄하는 위치, 연통 구멍의 일부를 폐쇄하는 위치 및 연통 구멍의 전부를 개방하는 위
치로 이동 가능한 마개와, 마개를 이동시키는 마개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의 습수 장
치.
청구항 6
잉크 공급 장치 및 습수 장치를 구비한 인쇄기에 있어서,
잉크 공급 장치는, 잉크통을 구성하는 잉크통 롤러에 근접하여, 잉크통 롤러의 길이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잉
크 호출 롤러가 배치되고, 각 잉크 호출 롤러는, 잉크통 롤러에 접촉하는 호출 위치와 잉크통 롤러로부터 떨어
지는 비호출 위치로 개별적으로 전환 밸브의 온ㆍ오프에 의해 전환되도록 되어 있고,
잉크 공급 장치의 제어 장치는, 잉크량의 목표치가 설정되는 목표치 설정 수단과, 목표치 설정 수단에 설정된
잉크량의 목표치에 따라서 전환 밸브의 온ㆍ오프의 시간을 결정하는 전환 밸브 온ㆍ오프 연산 수단을 구비하고,
습수 장치가 제1항 내지 제5항에 기재된 어느 하나가 되며, 그 에어 분출부의 수가 잉크 호출 롤러의 수와 동일
해져, 각 에어 분출부는, 구동 장치를 구동시켜 분출량이 조정되는 것으로 되어 있고,
습수 장치의 제어 장치는, 잉크 공급 장치의 제어 장치의 목표치 설정 수단에 비축되어 있는 목표치를 사용하여
공개특허 10-2018-0015556
- 3 -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인쇄기의 습수(濕水) 장치(급수 장치) 및 인쇄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오프셋 인쇄기에[0001]
있어서, 물탱크 등의 수원으로부터 인쇄부의 판통의 판면 등에 습수를 공급하는 인쇄기의 습수 장치, 및 이 습
수 장치를 구비한 인쇄기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오프셋 인쇄기에서는, 수원(水源)측의 수원(水元) 롤러와, 인쇄부측의 물축임 롤러를 구비하고, 수원 롤러로부[0002]
터 물축임 롤러로 습수가 전사되도록 이루어져 있는 습수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특허문헌 1).
또한, 오프셋 인쇄기의 습수 장치로서, 수원측의 수원 롤러와 인쇄부측의 물축임 롤러 사이에 물전사용 분할 롤[0003]
러 유닛이 배치되어 있고, 물전사용 분할 롤러 유닛이 상기 양 롤러의 축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물전사 롤러를
구비하고, 각 물전사 롤러가, 수원 롤러 및 물축임 롤러에 접촉하는 물전사 위치와 수원 롤러 및 물축임 롤러의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떨어진 비물전사 위치로 개별적으로 전환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도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또한, 오프셋 인쇄기의 습수 장치로서, 물전사 롤러의 축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배치되어 롤러에 에어를 분무하[0004]
는 에어 분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도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3).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05190호 공보 [0005]
(특허문헌 0002)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62785호 공보
(특허문헌 0003)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 공개 평11-58672호 공보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인쇄기의 습수 장치에서는, 예컨대 롤러의 축방향 길이보다 작은 폭의 인쇄물에 인[0006]
쇄하는 경우, 롤러의 양단부에 습수가 많이 존재함으로써, 인쇄물의 양단부 근방에서 잉크가 유화(乳化)를 일으
켜, 잉크가 튀거나 잉크의 점성이 없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안 면적이 좌측 절반부와 우측 절반부
에서 크게 상이한 등의 경우에 있어서도, 도안 면적이 적은 측에서 동일한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인쇄기의 습수 장치에서는, 각 물전사 롤러마다 습수의 양이 제어됨으로써 바람직[0007]
한 습수의 공급이 가능해져, 상기 문제가 해소된다.
그러나, 기존의 인쇄기의 습수 장치에서는, 롤러는 축방향으로 분할되어 있지 않고, 이러한 축방향으로 분할되[0008]
어 있지 않은 롤러를 사용하는 인쇄기의 습수 장치에 있어서도, 적절하게 습수를 공급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습수는 잉크 공급량에 대응하여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잉크 공급 장치와 습수 장치는 구조가 상이[0009]
하기 때문에, 종래 그와 같은 제어는 행해지지 않았다.
특허문헌 3과 같이 롤러의 축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배치되어 롤러에 에어를 분무하는 에어 분출부를 구비하고[0010]
있도록 함으로써, 축방향으로 분할되어 있지 않은 롤러를 사용하는 인쇄기의 습수 장치에 있어서도 습수량의 축
방향의 분포를 변경할 수 있지만, 단순히 에어를 분무하는 것만으로는 특허문헌 2와 동일한 성능을 얻을 수 없
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절한 습수의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인쇄기의 습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0011]
공개특허 10-2018-0015556
- 4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인쇄기의 습수 장치를 구비하고, 습수가 잉크 공급량에 대응하여 제어되는 인쇄기[0012]
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인쇄기의 습수 장치는, 수원측의 하나 또는 복수의 롤러와, 인쇄부측의 롤러와, 습수량 조정 장[0013]
치를 구비하고, 수원측의 롤러로부터 인쇄부측의 롤러에 습수가 전사되도록 이루어져 있는 인쇄기의 습수 장치
에 있어서, 습수량 조정 장치는, 수원측의 어느 하나의 롤러의 축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배치되고, 롤러에 대한
에어 분무량이 각각 별개로 밸브 기구에 의해 조정 가능하게 된 에어 분출부를 구비하고 있고, 각 에어 분출부
는, 롤러의 외주면을 따라서 에어를 흘리는 에어 분무 통로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인쇄부측의 롤러는 판통에 접촉하는 것(물축임 롤러로 칭해지는 롤러)을 말하고, 수원측의 하나 또는[0014]
복수의 롤러는, 판통에 접촉하는 롤러를 제외한 롤러(일부가 물탱크 내에 있는 수원 롤러 및 물축임 롤러와 수
원 롤러 사이에 설치된 하나 또는 복수의 물전사용 롤러 중 어느 것)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에어가 분무됨으로써, 에어가 분무된 롤러의 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습수의 양이 감소한다. 롤러에 대한 에어 분[0015]
무량을 도안에 따라서 조정함으로써, 인쇄 품질이 향상된다. 각 에어 분출부가 롤러의 외주면을 따라서 에어를
흘리는 에어 분무 통로를 갖고 있음으로써, 에어가 원활하게 흐르고, 조정을 정밀하게 행할 수 있다.
밸브 기구로는, 예컨대 개폐량을 제어 가능한 유량 제어 밸브를 사용할 수 있다. 밸브 기구는, 이것에 한정되는[0016]
것이 아니라, 에어 통로의 전부를 폐쇄하는 상태로부터, 에어 통로의 일부를 폐쇄하는 상태로 이행하고, 또한
에어 통로의 전부를 개방하는 상태로 이행 가능(그 반대의 이행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면 된다.
복수의 에어 분출부는, 도안 면적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해, 서로 인접하도록 축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0017]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 분출부는, 예컨대 인쇄물의 양단부에서 특히 일어나기 쉬운 습수량 과다에 대응하기 위
해, 롤러의 양단부에만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각 에어 분출부는, 유량 제어 밸브를 통해 에어 도입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있다. [0018]
유량 조정 밸브의 개폐량이 조정됨으로써 에어의 분무량이 증감하고, 에어의 분무량을 많게 함으로써 습수의 양[0019]
을 감소시킬 수 있어, 에어의 분무량을 적게 함으로써 습수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다. 유량 조정 밸브로는, 예
컨대 밸브체가 유로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버터플라이 밸브, 볼 밸브 등의 회전 밸브가 사용되
지만, 회전 밸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량 조정 밸브는, 유로의 개폐 정도를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전동
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량 조정 밸브의 개폐량은, 잉크량을 제어하는 잉크 공급 장치의 데이터, 인쇄물의
이송 속도, 롤러의 회전 속도 등에 기초하여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동 밸브로 함으로써 유량 조정 밸브
의 이와 같은 제어가 용이해진다.
각 에어 분출부는, 흡인 장치에 접속된 에어 배출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있다. [0020]
이와 같이 하면, 복수의 에어 분출부가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분출한 에어끼리 서로 간섭[0021]
하지 않고, 정밀한 에어 분무량의 조정이 가능해진다.
에어를 흘리는 방향은, 롤러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어도 좋지만, 롤러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하는[0022]
것이 바람직하다.
습수량 조정 장치는, 롤러의 축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각각이 하나의 에어 분출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에어[0023]
공급 박스와, 어느 하나의 에어 공급 박스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관과, 어느 하나의 에어 공급 박스로부
터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 배출관을 구비하고, 각 에어 공급 박스는, 인접하는 에어 공급 박스에 연통하여 에어
공급관을 통해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 공급실과, 인접하는 에어 공급 박스에 연통하여 에어 배출관을 통해 에어
가 배출되는 에어 배출실과, 인접하는 에어 공급 박스와 격벽에 의해 구획되고 있고, 에어 공급실 내의 에어를
롤러의 외주면을 따라서 통과시켜 에어 배출실 내로 보내는 에어 통로를 갖고 있고, 에어 통로 도중에, 에어량
을 증감시키는 밸브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있다.
에어 공급 박스의 에어 공급실은, 인접하는 것끼리 연통됨으로써 에어 도입관의 기능을 하게 되어 에어 도입관[0024]
을 생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에어 공급 박스의 에어 배출실은, 인접하는 것끼리 연통됨으로써 에어 배출관
의 기능을 하게 되어 에어 배출관을 생략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각 에어 분출부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도
입관 및 에어 배출관이 불필요해져, 습수량 조정 장치를 컴팩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공개특허 10-2018-0015556
- 5 -
에어 공급 박스를 구비한 습수량 조정 장치에 있어서, 각 에어 공급 박스의 에어 공급실에, 연통 구멍이 형성된[0025]
구획벽이 설치되어 있고, 밸브 기구는, 연통 구멍의 전부를 폐쇄하는 위치, 연통 구멍의 일부를 폐쇄하는 위치
및 연통 구멍의 전부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한 마개와, 마개를 이동시키는 마개 구동 장치를 구비하고 있
는 것이 있다.
마개는, 연통 구멍의 중심을 통과하는 원주를 따라서 이동하는 원판형의 것이어도 좋고, 연통 구멍과 동심의 축[0026]
선을 따라서 이동하는 원추형의 것이어도 좋다. 마개 구동 장치는, 예컨대 서보 모터이지만, 서보 모터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습수 장치를 구비한 인쇄기에서의 잉크 공급 장치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분할된 복수의 잉크 호출 롤[0027]
러를 구비하고, 각 잉크 호출 롤러가 잉크통 롤러에 접촉하는 시간의 조정에 의해 잉크통 내로부터 잉크통 롤러
에 공급되는 잉크의 양을 조정하는 것이어도 좋고, 잉크통 키를 복수 구비하고, 잉크통 키의 개방량의 조정에
의해 잉크통 내로부터 잉크통 롤러에 공급되는 잉크의 양을 조정하는 것이어도 좋고, 그 밖의 공지의 잉크 공급
장치이어도 좋다. 어느 것이든, 잉크 공급량의 제어와 습수량의 제어가 관련되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잉크 호출 롤러가 잉크통 롤러에 접촉하는 시간의 조정에 의해 잉크의 양을 조정하는 잉크 공급 장치와 조합[0028]
되는 경우에, 습수 장치의 에어 분출부의 수와 잉크 공급 장치의 잉크 호출 롤러의 수를 동일하게 함과 함께,
에어 분출부에서의 에어 유량의 제어시에, 잉크 공급 장치에서의 제어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습수량을 잉크
공급량에 대응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인쇄 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인쇄기는, 예컨대 잉크 공급 장치 및 습수 장치를 구비한 인쇄기로서, 잉크 공급 장치는, 잉크통을 구성[0029]
하는 잉크통 롤러에 근접하여, 잉크통 롤러의 길이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잉크 호출 롤러가 배치되고, 각 잉
크 호출 롤러는, 잉크통 롤러에 접촉하는 호출 위치와 잉크통 롤러로부터 떨어지는 비호출 위치로 개별적으로
전환 밸브의 온ㆍ오프에 의해 전환되도록 되어 있고, 잉크 공급 장치의 제어 장치는, 잉크량의 목표치가 설정되
는 목표치 설정 수단과, 목표치 설정 수단에 설정된 잉크량의 목표치에 따라서 전환 밸브의 온ㆍ오프의 시간을
결정하는 전환 밸브 온ㆍ오프 연산 수단을 구비하고, 습수 장치가 상기 어느 것이 됨과 함께, 그 에어 분출부의
수가 잉크 호출 롤러의 수와 동일해져, 각 에어 분출부는, 구동 장치를 구동시켜 분출량이 조정되는 것으로 되
어 있고, 습수 장치의 제어 장치는, 잉크 공급 장치의 제어 장치의 목표치 설정 수단에 비축되어 있는 목표치를
사용하여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인쇄기의 습수 장치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인쇄물의 폭방향의 위치에 따라 부분적으로 습수의 양을[0030]
조정할 수 있어, 적절한 습수의 공급이 가능해진다. 또한, 각 에어 분출부가 롤러의 외주면을 따라서 에어를 흘
리는 에어 분무 통로를 갖고 있음으로써, 에어가 원활하게 흐르고, 조정을 정밀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쇄기에 의하면, 잉크 공급량의 조정의 정밀도가 높은 잉크 공급 장치와 습수의 조정의 정밀도가 높[0031]
은 상기 습수 장치가 조합되어, 습수가 잉크 공급량에 대응하여 제어되고, 이에 따라, 인쇄 품질의 대폭적인 향
상이 가능해진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인쇄기의 습수 장치의 측면도이다. [0032]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인쇄기에서 사용되는 잉크 공급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인쇄기의 제어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인쇄기의 습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의 습수 장치의 복수의 에어 공급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복수의 에어 공급 박스를 정상벽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복수의 에어 공급 박스를 덮개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하나의 에어 공급 박스의 덮개에 평행한 중심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공개특허 10-2018-0015556
- 6 -
도 10은, 도 8의 X-X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XI-X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6의 에어 공급 박스를 롤러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3은, 제2 실시형태의 습수 장치의 밸브 기구가 도 9에 나타내는 에어 공급 박스 내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
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밸브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밸브 기구의 에어 통로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은, 밸브 기구의 에어 통로 개방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7은, 밸브 기구의 에어 통로 전체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의 좌측을[0033]
전, 도 1의 우측을 후로 하기로 한다. 또한, 도 2의 좌우를 좌우로 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기의 습수 장치(1)는, 수원인 물탱크(4)와, 물탱크(4)측의 수원 롤러[0034]
(5)와, 인쇄부의 판통(2)측의 물축임 롤러(6)와, 수원 롤러(5)와 물축임 롤러(6) 사이에 설치된 2개의 물전사용
롤러(7, 8)와, 한쪽의 물전사용 롤러(8)에 설치된 습수량 조정 장치(9)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판통(2)의 판면에 접촉하여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축임 롤러가 설치되어 있고, 잉크통에 있[0035]
는 잉크가, 잉크원 롤러, 잉크 호출 롤러, 복수의 잉크 니딩 롤러 및 잉크 왕복 롤러 등을 통해 잉크 축임 롤러
에 전달되어, 판통(2)의 판면에 공급된다. 인쇄부에 있어서, 잉크 장치로부터 판통(2)의 판면에 공급된 잉크가
직접 또는 고무통 등의 다른 통 또는 롤러 등을 통해 인쇄용지 등의 피인쇄체에 전사되어, 인쇄물을 얻을 수 있
다.
판통(2)의 판면에 대한 잉크의 공급과 함께, 물탱크(4) 내의 물이, 수원 롤러(5), 물전사용 롤러(7, 8) 및 물축[0036]
임 롤러(6)를 통해 습수로서 판통(2)의 판면에 공급된다. 습수는, 인쇄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적정하게 공급되는 것이 과제가 되고 있다.
판통(2), 수원 롤러(5), 물전사용 롤러(7, 8) 및 물축임 롤러(6)는 좌우 방향(수평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0037]
물축임 롤러(6)는 판통(2)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수원 롤러(5)는 금속제, 물축임 롤러(6)는 고무제로 되어
있고, 물전사용 롤러(7, 8)는, 한쪽 롤러(7)가 금속제, 다른 쪽 롤러(8)가 고무제로 되어 있다.
수원 롤러(5), 물전사용 롤러(7, 8) 및 물축임 롤러(6)는, 좌우 양단부에 있어서 인쇄기의 프레임에 회전 가능[0038]
하게 지지되고, 도시하지 않은 구동 장치에 의해, 서로 동기한 소정의 회전 속도로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연
속 회전된다. 수원 롤러(5)는, 하부가 물탱크(4) 내의 물에 침수된 상태로 항상 회전하고, 물축임 롤러(6)는,
판통(2)의 판면에 접촉한 상태로 항상 회전하고 있다.
습수량 조정 장치(9)는, 물전사용 롤러(8)의 축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배치된 에어 분출부(11)를 갖고 있고, 각[0039]
에어 분출부(11)로부터의 롤러에 대한 에어 분무량을 각각 별개로 제어함으로써, 습수의 물전사용 롤러(8)의 축
방향에서의 분포를 제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쇄물의 폭방향의 위치에 따라 물축임 롤러(6)의 축방향에서의
습수의 양이 조정된다.
에어 분출부(11)는, 선단부가 물전사용 롤러(8)의 외주에 접촉하는 한쌍의 측벽(21, 22)과, 한쌍의 측벽(21,[0040]
22)사이에 배치되어, 물전사용 롤러(8)의 외주 및 한쌍의 측벽(21, 22)과의 사이에 에어 통로(24)를 형성하는
통로 형성 블록(23)을 갖고 있다.
통로 형성 블록(23)은, 물전사용 롤러(8)의 외주에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곡면형의 대향면(23a)과, 한쌍의[0041]
측벽(21, 22)에 대향하는 한쌍의 평면형의 대향면(23b, 23c)을 갖고 있다.
한쪽 측벽(21)과 한쪽 평면형의 대향면(23b)에 의해 형성된 통로(24a)는, 그 개구부에 유량 조정 밸브(밸브 기[0042]
구)(26)를 통해 에어 도입관(25)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도입측 통로(24a)로 되어 있다. 에어 도입관
(25)의 타단은, 도입측 연결관(27)에 연결되어, 도입측 연결관(27)이 도시 생략한 고압의 에어 공급원에 접속되
공개특허 10-2018-0015556
- 7 -
어 있다.
유량 조정 밸브(26)는, 예컨대 볼밸브 등의 회전 밸브이며, 유로의 개폐 정도를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전동[0043]
밸브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에어 통로(24)의 전부를 폐쇄하는 상태로부터, 에어 통로(24)의 일부를
폐쇄하는 상태로 이행하고, 또한 에어 통로(24)의 전부를 개방하는 상태로 이행 가능(그 반대의 이행도 가능)하
게 하는 밸브 기구이면 된다.
다른 쪽 측벽(22)과 다른 쪽 평면형의 대향면(23c)에 의해 형성된 통로(24a)는, 그 개구부에 에어 배출관(28)의[0044]
일단이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배출측 통로(24c)로 되어 있다. 에어 배출관(28)의 타단은 배출측 연결관(29)에
연결되고, 배출측 연결관(29)은 배출측 연결관(29) 내의 에어를 강제적으로 흡인하는 흡인 팬(흡인 장치)(30)에
접속되어 있다.
도입측 통로(24a) 및 배출측 통로(24c)는, 서로 평행하고, 모두 물전사용 롤러(8)의 축방향에 평행한 선과 직교[0045]
하는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물전사용 롤러(8)의 외주와 곡면형의 대향면(23a)에 의해 형성된 통로(24b)는, 도입측 통로(24a)와 배출측 통로[0046]
(24c) 사이에 있고, 물전사용 롤러(8)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물전사용 롤러(8)의 외주면을 따라서 에
어를 흘리는 단면이 원호형의 에어 분출 통로(24b)로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에어 분출부(11)에는, 한쪽 측벽(21)과 한쪽 평면형의 대향면(23b)에 의해 형성된 도입측 통로[0047]
(24a)로부터 에어가 유입되어, 물전사용 롤러(8)의 외주와 곡면형의 대향면(23a)에 의해 형성된 에어 분무 통로
(24b)를 흐른 후, 다른 쪽 측벽과 다른 쪽 평면형의 대향면 사이에 의해 형성된 배출측 통로(24c)로부터 유출되
는 대략 U자형의 에어 통로(24)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에어 분출부(11)는, 서로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있지만, 에어 통로(24)가 상기와 같이 형성되어 있음으로[0048]
써, 대략 U자형의 에어 통로(24)로부터 분출된 에어끼리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유량 조정 밸브(26)의 개폐량은, 제어반(제어 장치)(31)에 의해 제어된다. 이 제어 장치(31)는, 잉크량을 제어[0049]
하는 잉크 공급 장치의 데이터, 인쇄물의 이송 속도, 각 롤러(5, 6, 7, 8)의 회전 속도 등에 기초하여, 유량 조
정 밸브(26)의 개폐량을 제어한다.
에어가 분무됨으로써, 에어가 분무된 물전사용 롤러(8)의 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습수의 양이 감소한다. 따라서,[0050]
에어 분출부(11)에서의 롤러에 대한 에어 분무량을 도안 면적에 따라서 조정함으로써, 적절한 습수의 공급이 가
능해지고, 인쇄 품질이 향상된다.
유량 조정 밸브(26)의 개폐량이 조정됨으로써, 에어의 분무량이 증감한다. 그리고, 에어의 분무량을 많게 함으[0051]
로써 습수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어, 에어의 분무량을 적게 함으로써 습수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상기 인쇄기의 습수 장치(1)에 의하면, 물축임 롤러(6)로부터 판통(2)의 판면에 공급되는 습수의[0052]
양이 개별적으로 에어 분무량이 조정된 에어 분출부(11)에 의해 조정된다. 이 때문에, 인쇄물의 폭이나 도안 면
적에 따라서 인쇄물의 폭방향에서의 습수의 양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물의 폭방향에서의 잉크량 제어
에 대응하여, 인쇄물의 폭방향에 대응하는 물축임 롤러(6)의 축방향 위치에서의 습수의 양이 조정되어, 바람직
한 잉크량의 공급에 따른 바람직한 습수의 공급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인쇄물의 폭방향의 위치에 따라 부분
적으로 습수의 양을 조정할 수 있고, 인쇄물의 양단부 또는 도안 면적의 분포가 좌우에서 크게 상이한 경우 등
에 특히 일어나기 쉬운 품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1에 있어서, 에어를 흘리는 방향은, 물전사용 롤러(8)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되어 있지만, 에[0053]
어를 흘리는 방향은, 물전사용 롤러(8)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에어 도입관
(25), 유량 조정 밸브(26) 및 도입측 연결관(27)으로 이루어진 에어 도입 유닛과, 에어 배출관(28), 배출측 연
결관(29) 및 흡인 팬(흡인 장치)(30)으로 이루어진 에어 배출 유닛을 교환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상기 습수 장치(1)가 사용되는 인쇄기의 잉크 공급 장치(90)는, 예컨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잉크통(91)을[0054]
구성하는 잉크통 롤러(92)에 근접하여, 잉크통 롤러(92)의 길이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잉크 호출 롤러(93)가
배치되고, 각 잉크 호출 롤러(93)가, 잉크통 롤러(92)에 접촉하는 호출 위치와 잉크통 롤러(92)로부터 떨어져
잉크 니딩 롤러(94)에 접촉하는 비호출 위치로 개별적으로 전환되도록 이루어지고, 소정의 간격을 둔 호출 타이
밍마다, 필요한 잉크 호출 롤러(93)의 위치를 전환하여 잉크를 호출하고, 잉크 호출 롤러(93)마다 잉크통 롤러
(92)에 접촉하고 나서 떨어지기까지의 잉크통 롤러(92)의 회전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잉크통 롤러(92)로부터 잉
공개특허 10-2018-0015556
- 8 -
크 호출 롤러(93)에 호출하는 잉크의 둘레 길이(1회전에서의 접촉 길이)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잉크 공급 장치(90)에 의하면, 인쇄물의 도안에 따라 폭방향의 위치에 따라 최적의 잉크량이 상이한[0055]
것에 대응하여, 잉크 호출 롤러(93)마다 잉크량이 제어되고, 이에 따라, 잉크량의 제어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도 4에, 습수 장치(1)의 제어 장치(31)를 나타낸다. 습수 장치(1)의 제어 장치(31)는, 잉크 공급 장치용 제어[0056]
장치(10)와 중계 컨버터를 통해 접속되어 있고, 잉크 공급 장치용 제어 장치(10)에서의 잉크 제어 데이터(그래
프값 및 기타 필요한 데이터)를 잉크 공급 장치용 제어 장치(10)로부터 수신하여 습수량의 제어를 행한다.
잉크 공급 장치(90)에서는, 상기와 같이, 접촉 회전 각도의 제어는, 잉크 호출 롤러(93)에 대한 호출 위치로의[0057]
전환 지령(접촉 지령)을 출력하고 나서 비호출 위치로의 전환 지령(비접촉 지령)을 출력하기까지의 시간(접촉
지령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행해지고, 잉크 호출 롤러(93)의 위치의 전환은, 전환 밸브(95)의 온ㆍ오프에 의해
행해진다. 그 결과, 인쇄면에 공급되는 잉크량이 그 폭방향의 위치에 따라 조절된다.
잉크 공급 장치용 제어 장치(10)는, 잉크량의 목표치가 설정되는 목표치 설정 수단(96)과, 목표치 설정 수단[0058]
(96)에 설정된 잉크량의 목표치에 따라서 전환 밸브(95)의 온ㆍ오프의 시간을 결정하는 전환 밸브 온ㆍ오프 연
산 수단(97)을 구비하고 있다.
인쇄되는 도안이 나타나면, 도안 면적 판독기를 사용하여 도안 면적률을 판독함으로써, 잉크 공급량에 대응하는[0059]
그래프값이 산출되고, 이 그래프값이 잉크 호출 롤러(93)와 잉크통 롤러(92)의 접촉 길이로 환산되어, 잉크 공
급의 제어에 사용된다. 그래프값은, 각 잉크 호출 롤러(93)마다 소정의 색의 잉크를 어느 정도 사용할지를 나타
내는 잉크량의 목표치로 되어 있고, 소정의 색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0%, 최대한 사용하는 경우를 100%로
하여, %로 표시된다. 따라서, 각 잉크 호출 롤러(93)가 대응하는 개소의 도안 면적에 따라서 30%, 40%, 10% 등
으로 설정된다. 이 % 표시의 그래프값에 기초하여, 잉크 호출 롤러(93)의 호출 시간(잉크통 롤러(92)와 잉크 호
출 롤러(93)의 접촉 시간, 즉 전환 밸브(95)를 온하는 시간)이 제어된다. 사용되는 색이 8색이면, 8개의 판통
(복수의 잉크 호출 롤러(93)로 이루어진 유닛이 8개)이 사용되고, 그래프값은 각 색(각 판통=잉크 호출 롤러 유
닛)마다 각 잉크 호출 롤러(93)마다 설정된다.
목표치 설정 수단(96)에 있어서는, 잉크 호출 롤러(93)마다 각 색마다의 그래프값(즉 목표치)이 설정되고, 이[0060]
목표치에 따라서, 제1부터 제N까지의 호출 롤러(93)의 접촉 길이의 목표치가 구해진다.
전환 밸브 온ㆍ오프 연산 수단(97)에 있어서는, 제1부터 제N까지의 호출 롤러(93)의 접촉 길이의 목표치가 제1[0061]
부터 제N까지의 전환 밸브(95)의 온ㆍ오프 시간으로 환산되고, 제1부터 제N까지의 각 전환 밸브(95)에 필요한
온ㆍ오프 신호를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제1부터 제N까지의 각 호출 롤러(93)마다 최적의 접촉 길이가 얻어지
도록 제어된다. 이렇게 하여, 각 색의 농도는 어느 위치에서도 일정해지도록 제어된다.
습수 장치(1)의 각 유량 조정 밸브(26)는, 예컨대 각각 서보 모터(32)로 구동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습수 장[0062]
치(1)의 제어 장치(31)는, 모터 회전량 연산 수단(33)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된다. 여기서, 습수 장치(1)의 제
어 장치(31)는, 전용의 목표치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고, 잉크 공급 장치용 제어 장치(10)에 중계 컨버
터 등을 통해 접속되어, 제1부터 제N까지의 호출 롤러(93)의 접촉 길이의 목표치 또는 이것의 계산에 사용되는
도안 면적의 목표치 등의 잉크 공급량 제어 데이터를 잉크 공급 장치용 제어 장치(10)로부터 수신한다.
모터 회전량 연산 수단(33)에 있어서는, 제1부터 제N까지의 각 호출 롤러(93)에 대응하는 잉크 공급량 제어 데[0063]
이터로부터 제1부터 제N까지의 유량 조정 밸브(26)의 개폐량에 대응하는 제1부터 제N까지의 서보 모터(32)의 모
터 회전량이 구해지고, 이것에 의해, 제1부터 제N까지의 각 유량 조정 밸브(26)마다 최적의 에어 유량이 얻어진
다.
도 5부터 도 18까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인쇄기의 습수 장치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제2 실시형태의 것은,[0064]
제1 실시형태와는 습수량 조정 장치가 상이하고, 이하에서는 습수량 조정 장치(40)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의 습수량 조정 장치(4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에어 공급 박[0065]
스(41)와, 어느 하나의 에어 공급 박스(41)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관(42)과, 어느 하나의 에어 공급 박스
(41)로부터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 배출관(43)과, 각 에어 공급 박스(41)마다 설치된 밸브 기구(44)를 구비하고
있다.
또, 에어 공급 박스(41)는, 도시를 간략하게 하기 위해 총 3개만 나타내고 있지만, 인쇄 대상에 따라서 적절하[0066]
게 그 수가 설정된다.
공개특허 10-2018-0015556
- 9 -
에어 공급 박스(41)가 후술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각 에어 공급 박스(41) 내에는, 제1 실(에어[0067]
공급실)(57)로부터 연통 구멍(64)을 통과하여 제2 실(에어 분출부)(58)에 들어가고, 에어 분출부(58)의 에어 분
출구(65)로부터 분출된 에어가 물전사용 롤러(8)를 따르는 제3 실(에어 분무 통로)(59)을 통과하여, 제4 실(에
어 배출실)(60)로 통하는 에어 이송구(66)로부터 배출되는 대략 U자형의 에어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연통 구멍
(64)의 개구량이 밸브 기구(44)에 의해 조정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물전사용 롤러(8)의 회전 방향이 시계 방향인 데 비해, 이 회전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즉 물전사용 롤[0068]
러(8)의 외주면을 따라서 반시계 방향으로 진행되도록, 물전사용 롤러(8) 상의 습수에 에어가 분무된다.
각 에어 공급 박스(41)는, 도 6부터 도 12까지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이 물전사용 롤러(8)를 향하는 한쌍의 측[0069]
벽(제1 측벽(51) 및 제2 측벽(52))과, 한쌍의 측벽(51, 52)의 일단 근방끼리를 연결하는 곡면형의 저벽(53)과,
한쌍의 측벽(51, 52)의 타단끼리를 연결하는 평탄형의 정상벽(54)으로 이루어지고, 좌우 양면이 개방된 케이싱
(50)을 갖고 있다.
제1 측벽(51)의 일단부에는, 물전사용 롤러(8)에 가까운 제1 굴곡부(51a)와, 제1 굴곡부(51a)에 이어진 제2 굴[0070]
곡부(51b)가 설치되어 있고, 제2 측벽(52)의 일단부에는 제1 굴곡부(52a)만이 설치되어 있다. 각 측벽(51, 52)
의 제1 굴곡부(51a, 52a)는, 0.5 mm 정도가 작은 간격이 물전사용 롤러(8)와의 사이에 존재하도록, 물전사용 롤
러(8)를 향하고 있다. 저벽(53)은, 2 mm 정도의 에어 통과 가능한 간격이 물전사용 롤러(8)와의 사이에 존재하
도록, 물전사용 롤러(8)를 향하고 있다. 정상벽(54)에는, 모터 부착용 관통 구멍(54a)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50)에는, 각 측벽(51, 52)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케이싱(50) 내를 제1 측벽측의 부분과 제2 측벽측의 부[0071]
분의 2개로 나누는 제1 구획벽(55)과, 제1 측벽(51)과 제1 구획벽(55) 사이에 이들에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케이
싱(50) 내의 제1 측벽측의 부분을 정상벽측의 부분과 저벽측의 부분의 2개로 구획하는 제2 구획벽(56)이 설치되
어 있다.
이에 따라, 에어 공급 박스(41)는, 제1 측벽(51)의 정상벽측의 부분, 정상벽(54)의 제1 측벽측의 부분, 제1 구[0072]
획벽(55)의 정상벽측의 부분 및 제2 구획벽(56)으로 둘러싸인 제1 실(57)과, 제1 측벽(51)의 저벽측의 부분, 제
2 구획벽(56), 제1 구획벽(55)의 저벽측의 부분 및 저벽(53)의 제1 측벽측의 부분으로 둘러싸인 제2 실(58)과,
저벽(53), 제1 측벽(51)의 제1 굴곡부(51a) 및 제2 측벽(52)의 제1 굴곡부(52a)으로 둘러싸인 제3 실(59)과,
제2 측벽(52), 정상벽(54)의 제2 측벽측의 부분, 제1 구획벽(55) 및 저벽(53)의 제2 측벽측의 부분으로 둘러싸
인 제4 실(60)로 나누어져 있다.
제4 실(60)은, 좌우 방향에서 볼 때 물전사용 롤러(8)의 외주면을 따르는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0073]
좌우에 인접하는 에어 공급 박스(41)의 경계 부분에는, 인접하는 제2 실(58)끼리를 구획하는 제1 격벽(61)과,[0074]
인접하는 제3 실(60)끼리를 구획하는 제2 격벽(62)이 설치되어 있다.
좌단에 있는 에어 공급 박스(41)의 좌측의 개구는, 좌측의 덮개(63)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0075]
좌측의 덮개(63)에는, 좌단에 있는 에어 공급 박스(41)의 제1 실(57)로 연통하는 관통 구멍(63a) 및 좌단에 있[0076]
는 에어 공급 박스(41)의 제4 실(60)로 연통하는 관통 구멍(63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실(57)로 연통하는 관통
구멍(63a)의 가장자리에 에어 공급관(42)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고, 에어 공급관(42)의 타단부는 에어원(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제4 실(60)로 연통하는 관통 구멍(63b)의 가장자리에 에어 배출관(43)의 일단부가 접속
되어 있고, 에어 배출관(43)의 타단부는 흡인 팬, 진공 펌프 등의 흡인 장치(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제2 구획벽(56)의 중앙부에는, 제1 실(57)과 제2 실(58)을 연통하는 단면이 원형인 연통 구멍(64)이 형성되어[0077]
있다. 저벽(53)의 제1 측벽측의 부분에는, 제2 실(58) 내의 에어를 롤러를 향해서 분출하는 단면이 장방형인 에
어 분출구(65)가 제1 측벽(51)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저벽(53)의 제2 측벽측의 부분에는, 롤러에 분무된
에어를 제4 실(60) 내에 보내는 단면이 장방형인 에어 이송구(66)가 제2 측벽(52)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에어 공급 박스(41) 내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 공급관(42)에 통해 있는 제1 실(57)[0078]
(즉, 에어 공급실(57)) 내의 에어가, 제2 구획벽(56)의 연통 구멍(64)을 통과하여 제2 실(58)(즉, 에어 분출부
(58))에 퍼지면서 유입되고, 제2 실(58)의 에어 분출구(65)(즉, 에어 분출구(65))로부터 나와 제3 실(60)
내(즉, 에어 분무 통로(59))에 들어가고, 제3 실(60) 내에 있어서 물전사용 롤러(8)의 외주면을 따라서 통과하
여, 에어 이송구(66)로부터 에어 배출관(43)에 통해 있는 제4 실(60)(즉, 에어 배출실(60)) 내에 유입되는 대략
U자형의 에어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각 에어 공급 박스(41)의 제1 실(57)끼리 및 제4 실(60)끼리는 서로 연통하고 있고, 에어 공급관(42)에 의해 좌[0079]
공개특허 10-2018-0015556
- 10 -
단에 있는 에어 공급 박스의 제1 실(57)에 공급된 에어는, 각 에어 공급 박스의 제1 실(57) 내에 순차적으로 공
급되고, 각 에어 공급 박스의 제4 실(60) 내에 있는 에어는, 에어 배출관(43)에 의해 좌단에 있는 에어 공급 박
스의 제4 실(60)을 통해 배출된다.
에어 공급 박스(41)는, 예컨대 격벽(61, 62)이 일체로 설치된 합성 수지제 성형품으로서 얻을 수 있고, 에어 공[0080]
급 박스(41)끼리를 접착, 용착 등에 의해 결합함과 함께, 양단에 접착, 용착 등에 의해 덮개(63)를 고정함으로
써 다수의 에어 공급 박스(41)가 일체화되어 양단이 폐쇄된 에어 공급 유닛을 얻을 수 있다.
각 에어 공급 박스(41) 내에 배치되어 있는 밸브 기구(44)에 관해, 도 13부터 도 17까지를 참조하여 설명한다.[0081]
또, 이하의 밸브 기구(44)의 설명에 있어서는, 편의상 에어 공급 박스(41)의 케이싱(50)의 정상벽측을 위, 저벽
측을 아래로 하는 것으로 한다.
밸브 기구(44)는, 제2 구획벽(56)의 연통 구멍(64)의 개구량을 증감시켜 연통 구멍(64)을 통과하는 에어량을 증[0082]
감시키는 것이며,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 구멍(54a)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50)의 정상벽
(54)에 부착된 서보 모터(71)와, 케이싱(50)의 정상벽(54)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서보 모터(71)에 의
해 회전되는 원형의 회전판(72)과, 회전판(72)의 외주 가장자리에 고정되어 하측으로 신장되는 편심축(73)과,
편심축(73)의 하단부에 끼워 넣은 마개(74)와, 편심축(73)에 끼워 맞춰 마개(74)를 하측으로 압박하는 압축 코
일 스프링(75)을 구비하고 있다.
마개(74)는 원기둥형이며, 그 상면에, 편심축(73)의 하단부를 끼워 넣은 원기둥형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0083]
마개(74)의 횡단면은, 연통 구멍(64)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원으로 되어 있다. 압축 코일 스프링(75)은, 그 상
면을 회전판(72)의 하면이 받치고 있고, 그 하면을 마개(74)의 상면이 받치고 있다.
도 15는, 밸브 기구(44)의 마개(74)가 연통 구멍(64)을 폐쇄하고 있는 에어 통로 폐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0084]
이 상태로부터, 서보 모터(71)에 의해 회전판(72)이 회전되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판(72)의 회전에
따라, 편심축(73)의 축심은, 회전판(72)의 중심축(O)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를 따라서 이동한다. 이 원주는, 연
통 구멍(64)의 중심선을 통과하고 있다.
따라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심축(73)의 축심이 연통 구멍(64)의 중심선과 일치했을 때, 연통 구멍[0085]
(64)은 마개(74)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고, 이 경우에는, 습수에 에어가 분무되지는 않고, 습수량이 최대가
된다.
그리고,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판(72)이 도 15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150° 회전하면, 마개는 연통[0086]
구멍(64)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된다. 이 경우에는, 습수에 분무되는 에어량이 최대가 되고, 습수량이 최소가 된
다.
이렇게 하여, 물전사용 롤러(8)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습수에 에어가 분무됨과 함께, 연통 구멍(64)의[0087]
개구량이 밸브 기구(44)에 의해 증감됨으로써, 에어 공급 박스(44)의 폭에 대응하는 물전사용 롤러(8)의 폭마다
습수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각 에어 공급 박스(41)의 곡면형의 저벽(53)에 의해, 물전사용 롤러(8)의 외주
면을 따라서 에어를 흘리는 에어 분무 통로(59)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에어가 원활하게 흐르고, 조정을 정밀
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상기에 있어서, 습수량 조정 장치(9)(40)는 물전사용 롤러(8)에 설치되어 있지만, 그 대신에 수원 롤러(5)[0088]
에 설치할 수도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기의 습수 장치에 있어서, 적절한 습수의 공급을 가능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인쇄 성[0089]
능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부호의 설명
1 : 습수 장치 5 : 수원 롤러(수원측의 롤러) [0090]
6 : 물축임 롤러(인쇄부측의 롤러) 8 : 물전사용 롤러(수원측의 롤러)
9 : 습수량 조정 장치 10 : 잉크 공급 장치용 제어 장치
11 : 에어 분출부 24b : 에어 분출 통로
공개특허 10-2018-0015556
- 11 -
25 : 에어 도입관 26 : 유량 조정 밸브
28 : 에어 배출관 30 : 흡인 팬(흡인 장치)
31 : 제어반(제어 장치) 32 : 서보 모터
33 : 모터 회전량 연산 수단 40 : 습수량 조정 장치
41 : 에어 공급 박스 42 : 에어 공급관
43 : 에어 배출관 44 : 밸브 기구
56 : 제2 구획벽(구획벽) 57 : 제1 실(에어 공급실)
58 : 제2 실(에어 분출부) 59 : 제3 실(에어 통로)
60 : 제4 실(에어 배출실) 62 : 제2 격벽(격벽)
64 : 연통 구멍 71 : 서보 모터(구동 장치)
74 : 마개 90 : 잉크 공급 장치
91 : 잉크통 92 : 잉크통 롤러
93 : 잉크 호출 롤러 95 : 전환 밸브
96 : 목표치 설정 수단 97 : 전환 밸브 온ㆍ오프 연산 수단
도면
도면1
공개특허 10-2018-0015556
- 12 -
도면2
도면3
공개특허 10-2018-0015556
- 13 -
도면4
공개특허 10-2018-0015556
- 14 -
도면5
도면6
공개특허 10-2018-0015556
- 15 -
도면7
도면8
도면9
공개특허 10-2018-0015556
- 16 -
도면10
도면11
도면12
공개특허 10-2018-0015556
- 17 -
도면13
도면14
도면15
공개특허 10-2018-0015556
- 18 -
도면16
도면17
공개특허 10-2018-0015556
- 19 -